•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사 복장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의사, 간호사 및 환자의 견해 (Attitudes of Physician, Nurse and Patient towards Physician's and Nurse's Uniform)

  • 정연희;김석범;강복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324-346
    • /
    • 1996
  •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견해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3월1일부터 1996년 3월31일까지 영남대학교 의료원에 근무하는 의사 130명, 간호사 147명과 입원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의상의 복장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모두 기존 코트 형태의 가운보다 다른 형태의 가운을 선호하였고, 특히, 의사보다 간호사들이 더 선호하였다. 환자에서 전체적으로 기존 형태와 다른 형태의 가운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력이 높을수록 다른 형태의 가운을 더 선호하였다(p<0.01). 의사의 가운 색상에 있어 의사와 간호사의 73.6%는 흰색을 선호하였으며, 환자는 86.3%가 흰색을 선호하였다. 남자의사가 여자의사와 간호사에 비해 흰색을 더 선호하였고(p<0.01), 환자에서는 색상 선호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진료시 넥타이를 착용해야 한다라는 응답률이 남자의사, 40세 이상 의사, 내과계 근무 의사, 그리고 교수에서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환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60세 이상군이 다른 연령군보다, 초등졸 이하군이 다른 학력군보다, 기타 시지역 거주자와 군지역 거주자가 대구시 거주자보다 더 높았다(p<0.01). 주말 및 휴일 진료시 의사의 캐주얼 복장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찬성하는 편이었고, 의사의 연령이 젊을수록 유의하게 선호도가 높았다(p<0.05). 간호사 복장에 대해서는 의사와 간호사 전체의 78%가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고, 간호사는 96%가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군과 외래, 지원 및 행정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100% 선호하였다. 환자들은 학력이 낮을수록 스커트를 선호하였고, 고학력군일수록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다. 간호사의 가운 색상에 대해서는 의사와 간호사 전체의 46.7%가 흰색을 선호하였고, 의사들은 흰색을, 간호사들은 다른 색을 더 선호하였다(p<0.01). 환자들은 79.1%가 흰색을 선호하였다. 캡 착용에 대한 문항에서 간호사들은 95.9%가 착용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군과 외래 및 특수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전원 캡을 착용하지 않아도 좋다라고 응답하였다. 반면에 환자들은 77.7%가 캡을 착용하여야 한다라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은 기존의 전통적인 형태와 색상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의사와 간호사 본인들과 환자들의 의견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시대적 흐름과 현실감각에 맞게 가운의 형태와 색상에 변화를 주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사료되었다.

  • PDF

일 지역 대학생이 지각한 바람직한 간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Factors that Influence Nursing Imag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 Park, Kyung-Ae;Song, Mi-Ryung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84-597
    • /
    • 2001
  • 목적: 간호전문직 위상정립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 이미지에 관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간호이미지와 바람직한 간호자질을 조사하여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이미지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N.시에 있는 1개 대학교의 간호학생 92명과 일반학생 100명으로 총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연구이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 이미지정도를 살펴보면, 비간호학생군(A군)에서는 영화나 TV를 통해서 간호 이미지가 형성된 것보다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F=4.81, p=.03),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의사의 보조역할로 비춰진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니타났다(F=3.41, p=.01). 반면에 간호학생군(B군)은10%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복장이나 행동을 보고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25, p=.0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 자질정도를 보면,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호이미지와 간호사 자질간의 상관관계에서는 r=.720(p=.000)으로 높은 순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간호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은 간호사 자질로 52% 설명할 수 있었으며, 여기에 영화나 TV를 통해 형성된 경우를 추가하면 54%, 간호학생인 경우를 추가하면 총 56%로 간호 이미지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겠다. 1. 간호 대학생들이 긍정적인 간호 이미지를 경험하도록 올바른 윤리와 간호전문성을 정립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2. 간호사 이미지 향상을 위한 대중매체의 활용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간호사의 복장 형태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조사 연구 (A Survey of the Image Conveyed by Different Types of Nurses따 Uniforms)

  • 김조자;이원희;허혜경;김창희;홍성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31-648
    • /
    • 1993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types of uniforms worn by nurses. Nurses, other medical center personnel, patients and their famillies were asked for their opinion on changing nurses’ uniforms and how the image of nurses is 1 elated to the type of uniform worn by the nurs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Feb. 25, 1993 to Mar. 26, 1993 at Y-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32 nurses, 137 other medical center personnel, 117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Nurses’ Image Scale(NIS) developed by Bown(1986), and an instrument to measure opinions of uniform and cap using photographs of nurses’ uniforms tha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rough a literture re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PS / PC package, Statistics used for analysis were frequencies, percentages, paired t -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Of the nurses, 84.3%, along with, 51.5% of the medical center personnel, 39.1% of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greed to a change in the color of nurses uniforms. 2. Similarly, 87.4% of the nurses,27.7% of the medical center personnel, 19.3% of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ere in favor of nurses not wearing caps. 3. Only 11.8% of nurses answered that a white uniform was important to the professional image of nursing. Only 2.4% of the nurses answered that a cap was very important to the professional image of nursing. 4. Only 1.6% of the nurses answered that a white uniform and cap were important to show the role of nurses in the twenty first century. 5. About 1/3, 36.5%, of the medical center personnel, the patient and their families answered that changing the color of the nurses' uniform will make a change in the image of nurses. 6. A White uniform and cap were seen as being im-portant in distinguishing nurses from other medical personnel in the hospital by 76.5% of the medical personnel,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7. Nurses gave high marks to the idea of no cap regardless of the color of the uniform which would still portray the symbol of the nurses’ role, identity and would differentiate the role from other jobs.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gave high marks to a white uniform with cap. 8. Generally, nurses, medical center personnel and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ought that a colored uniform with cap presented a good image of nurses. 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e among the three groups(F=24.65, P〈.001) to the figure in a white uniform with a cap, and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ought it was the best portrayal of the image of nur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F=9.03, P〈.001) to the figure in a white uniform with no cap and the nurses indicated that it was the beat portrayed of the image of nurs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to the figure in a colored uniform with ca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F=17.50, P〈. 001) to the figure in a colored uniform with no cap, and the nurses indicated that it was the best portrayal of the image of nurses. In summary, the nurses wanted to change the color of uniform and not to wear a cap. But many of the medical center personne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dicated they did not agree with this idea. Therefore, changing the type of uniform worn by nurses should be done only after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relation of the change to the professional role of nurses and the image of nurses held people in general. Suggestions arising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relation between the role of nurses and their uniform was surveyed, 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data when considering a change in uniforms. 2. A change in uniforms should be tried based on the norm established about uniforms. 3. The nurses did not want to wear a cap, but before a decision is definitely mad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hilosophy related to the symbol of the cap because the figure of a nurse with a cap portrayed a positive image of the nurses. If the cap is kept, the symbol of the cap should be redefined. 4. In this study, only the image related to the uniform was examined, but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the practicality of various types of uniforms.

  • PDF

척추·관절 전문병원의 환자 만족도와 추천 의향 (Patient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t spine and joint hospital)

  • 박영아;이정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307-314
    • /
    • 2021
  • 본 연구는 척추·관절질환 환자 만족도와 병원 추천 의향을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2019년 서울지역 소재 척추·관절 전문병원에서 환자 만족도와 추천 의향을 조사하였고, 인구·사회적 특성과 환자 만족도와의 관련성, 만족도 영향요인 및 추천 의향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래의 경우 직원 용모·복장의 단정함과 청결도, 직원 친절도, 시설환경 쾌적성에서 환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대기시간 관련 문항에서 환자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입원의 경우 간호 영역과 병원환경 영역에서 여성의 만족도가 높았다. 하위 영역별로는 간호 영역 중 고객 존중 및 예의, 고객 경청, 담당 간호사에서 환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병원환경 영역은 전반적인 병원 청결도와 안전 문항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환자 만족도와 주변에 해당 병원을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문항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환자 만족도와 병원 추천 의향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관절 질환 환자 만족도와 추천 의향 평가 결과는 척추·관절 전문병원에서 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병원경영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치과 내원환자들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가 치과위생사의 사회적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ntal Patients' Perception about Dental Hygienist on the Social Demand of Dental Hygienist)

  • 최정미;이은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2-403
    • /
    • 2012
  • 부산, 경남 지역 성인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이용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도를 파악하여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치과위생사의 정체성 확립에 이바지 하고 치과위생사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임의로 선정한 부산, 경남 지역의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치과이용 특성,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도간의 연관성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위생사에 대한 명칭을 인식하고 있는 대상자는 69.8%였으며, 치과위생사의 교육과정은 대부분 전문대 70.5%로 인식하고 있었다. 치과위생사를 구별하는 방법은 42.5%로 복장(가운, 명찰)을 보고 판단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치과위생사를 간호사로 호칭을 부르는 경우 27.6%로 가장 많았으며,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했을 때 치과위생사로부터 받아본 서비스를 복수응답으로 물었을 때 예방업무 58.2%가 가장 많았다. 2.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를 척도형으로 조사했을 때 이미지 요인은 '전문직이다'가 가장 높았고, 역할 요인은 '환자의 문제를 잘 파악하여 치료의 과정, 결과, 효과에 대해서 말해준다'가 가장 높았으며, 지식 요인은 '병원 서비스에 대한 친절 교육을 받는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치과위생사에 대한 요구도를 척도형으로 조사했을 때 이미지 요인은 '친절하면 좋겠다'가 가장 높았고, 역할 요인은 '업무전문성과 숙련도가 좋았으면 좋겠다'가 가장 높았으며, 지식 요인은 '치과치료에 필요한 주기적인 교육을 받으면 좋겠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50대가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으며, 20대, 대학교졸, 전문직이 치과위생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다. 학생이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역할에 대한 요구도는 학생이 가장 높았으며, 주부가 치과위생사의 지식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종합병원이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으며, 방문횟수 10회 이상이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고, 자가치료, 구강건강 관심도 '매우 많은 편이다' 가 치과위생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도는 가장 높았다. 자가치료가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역할, 지식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높았고, 방문횟수 5~9회가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치과위생사의 역할(${\beta}$=0.273)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이미지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치과위생사의 이미지(${\beta}$=-0.144)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이미지에 대한 요구도는 감소한다. 치과위생사의 역할(${\beta}$=0.228), 지식(${\beta}$=0.205)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역할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이미지(${\beta}$=-0.137)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이미지에 대한 요구도는 감소한다. 치과위생사의 지식(${\beta}$=0.224)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지식에 대한 요구도도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