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대학(과)

검색결과 769건 처리시간 0.021초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 분야 취업의도 영향요인 (Long-term care Employment Intention of Elderly Nursing College Students)

  • 황라일;김인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01-409
    • /
    • 2019
  • 본 연구는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 분야 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기관 취업의도는 평균 2.8점이었고,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 분야 취업의도는 노인과 살았던 경험유무,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의 정도, 가족 중에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은 경우, 장기요양보험제도의 관심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노인장기요양기관 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평소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과 가족 중 노인장기요양보험 수혜 여부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 분야 취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노인과의 상호작용 및 접촉을 통해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한편 노인장기요양제도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 융합 프로그램의 운영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성태도, 성고정관념, 자아존중감이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xual Attitude, Gender Stereotype and Self-Esteem on Gender Egalitarianism in Nursing Student)

  • 김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82-49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힉생의 성태도, 성고정관념, 자아존중감이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10월 15일부터 11월 31일까지 경북 G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서면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은 성별(t=-3.091, p=.002)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양성평등의식은 성고정관념(r=-.811, p<.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자아존중감(r=.345,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고정관념(β=-.787, p<.001)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5.4%였다. 간호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고정관념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 비교 (Comparison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es's Image Before and After Convergence-based Nursing History and Culture Program in Nursing Students)

  • 임소연;김희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85-9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 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남지역에 위치한 B대학 간호학과 1,2학년 학생 29명이고, 2016년 5월 12일부터 2016년 6월 22일까지 6차례에 걸쳐 대상자에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전 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 정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간호전문직관의 하위항목인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간호의 전문성과 간호사이미지의 하위항목인 간호사의 역할 및 대인관계 항목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이 간호전문직관 및 간호사이미지 향상을 위해 비교과프로그램으로 정착되고 다양한 개념으로 개발 될 것을 기대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자기주도학습능력, 감성지능, 그릿 및 간호전문직관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Grit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in the Post-corona era)

  • 노준희;김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519-526
    • /
    • 2021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자기주도학습능력, 감성지능, 그릿 및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전문직관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G광역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2021년 2월 22일부터 3월 28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공만족도, 감성지능, 그릿이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긍정적이었으며,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성지능과 전공만족도로 설명력은 61.7%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과활동 및 비교과 활동의 전략이 요구되며, 이러한 활동 전략이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어판 단축형 만성질환관리 자기효능감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Self-Efficacy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6-Item Scale)

  • 김숙남;이현주;김소영;이나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617-629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efficacy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6-item scale (SECD-6-K). Methods: The English version of the Self-Efficacy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6-item Scale first underwent forward and backward translation procedures. The SECD-6-K was then used to collect data from 350 adults diagnosed with chronic diseases. Content, construct,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riterion validity were all evaluated.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Cronbach's α. SPSS 25.0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 26.0 software. Results: The SECD-6-K consists of six items in two domains: disease management and health behavior. The results for construc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goo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duced eigen values between 2.27 and 3.28, with factors total explained cumulative variance of 91.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goodness of fit and reliability for the modified SECD-6-K model. The criterion validity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th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and 12-item Short-Form Health Survey version 2. Finally, reliability was found to be excellent.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CD-6-K. The SECD-6-K is an appropriate tool for determining Korean patients' self-efficacy in managing their chronic conditions. Therefore, this scale may be used in clinical settings as well as in educational and research settings.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의사결정 나무모형을 활용한 청소년 자살 시도 예측모형 비교: 2019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2차 자료분석 (Comparison of the Prediction Model of Adolescents' Suicide Attempt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19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이윤주;김희진;이예슬;정혜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0-5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compare the prediction model for suicide attempts by Korean adolescent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secondary data drawn from the 2019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 total of 20 items were select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5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10 of health-related behaviors, and 5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complex samples and decision tre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ver. 25.0 and Stata ver. 16.0. Results: A total of 1,731 participants (3.0%) out of 57,303 responded that they had attempted suicid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suicide attempts as determined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experience of sadness and hopelessness, substance abuse, and violent victimization. Girls who have experience of sadness and hopelessness, and experience of substance abuse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ost vulnerable group in suicide attempts in the decision tree model. Conclusion: Experiences of sadness and hopelessness, experiences of substance abuse, and experiences of violent victimization are the common major predictors of suicide attempts in both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models, and the predict rates of both models were similar. We suggest to provide programs considering combination of high-risk predictors for adolescents to prevent suicide attempt.

간호사의 경력 닻 개념분석 (Conceptual Analysis of Career Anchors of Nurses)

  • 오재우;김미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8-3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areer anchors of nurses by defining and organizing its concept. Methods: Using the Walker and Avant concept analysis, a total of 29 articles were analyzed through a literature search in this study. Results: The career anchors of nurses are individual career choice motives, a self-concept where in competency and values are harmonized, which act as a desire for growth and development in nursing, and are actions that maintain careers. Additionally, they indicate the direction for achieving individual career goals and act as a core value expected of nurses by nursing organizations, indicating continuous and integrated professional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fession. Conclusion: The career anchors of nurses identified in the results contribute to securing patient safety, providing quality care through policies, institutionalizing bases for career development, preventing nurse turnover, and retaining skilled nurses.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 생명의료윤리의식이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ral Sensitivity, Biomedical Ethics Awareness on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f Nursing Students)

  • 장영미;안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53-61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 생명의료윤리의식이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의 일개 간호학과 1, 2학년 학생 302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 정도는 보통 수준이었고, 생명의료윤리인식정도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덕적 민감성은 생명의료윤리의식(r=.149, p=.010), 연명치료중단(r=.223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연명치료중단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r=-.129 p=.025)를 나타내었다. 도덕적 민감성(${\beta}=.247$, p<.001)과 생명의료윤리의식(${\beta}=-.166$, p=.003)은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 생명의료 윤리의식 수준과 내용을 고려한 차별화된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교육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김정민;최혜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57-465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21년 3월 11일부터 5월 31일까지 C시, J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총 193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성지능은 긍정심리자본(r=.688, p=.000), 문제해결능력(r=.594, p=.015)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긍정심리자본은 문제해결능력(r=.730, p=.000)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성지능, 대인관계만족도,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복원력이었으며 설명력은 61.7%였다(F=31.606, p=.000).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 대인관계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