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결과분류체계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보건의료정보 자료 세트의 비교 및 간호정보 표준화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Minimum Data Sets and Standardized Nursing Classifications)

  • 염영희;이지순;김희경;장혜경;오원옥;차보경;박창승;천숙희;이정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2-85
    • /
    • 1999
  • The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ree data sets(Uniform Hospital Discharge Data Set, Nursing Minimum Data Set, and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 and six major nursing classifications(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es Association Taxonomy I, Omaha System,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ursing Intervention Lexicon and Taxonomy,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Patient Outcome). The reviewed data sets and nursing classification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urpose, structure, and user.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and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were linked to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but others not. The data set and nursing classifications need to be linked to other data sets and classifications.

  • PDF

모바일 응용 기반 간호과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Process based on Mobile Application)

  • 조훈;홍해숙;김화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190-1201
    • /
    • 2011
  • 본 연구는 간호사 및 간호학생을 위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분류체계의 간호과정 프로그램을 모바일 응용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연구재료는 표준화된 분류체계인 북미간호진단협의회의 간호진단 분류체계와 아이오와 대학을 중심으로 개발된 간호중재 분류체계, 간호결과 분류체계를 사용하였다. 기존 연구 방법은 간호과정의 일부분만을 선택하여 개발하므로 환경에 제한적인 프로그램으로 임상에 일반화시켜 환자들에게 적용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진단-결과-중재의 전체를 연계시킨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므로 어떠한 임상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가이드라인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한글판으로 3월부터 앱 스토어에 등록되었으며 간호교육 도구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C와 스마트 폰 기반 임상간호분류체계 교육 코스웨어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ware for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PC and Smartphone)

  • 홍해숙;이인근;조훈;김화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56
    • /
    • 2011
  •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간호사나 간호학생들의 평생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분류체계를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실무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북 가이드라인과 개발된 PC 기반 가이드라인의 검색 시간을 비교한 결과 3.5배 이상 빠른 결과를 획득하였다. 오류율도 4배 이상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 실무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중재 및 평가 가이드라인에 접근하므로 환자에게 정확한 중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간호결과 분류체계)의 한글 명명화에 대한 타당성 연구 (Standardization and Validity study of Korean Nomenclature of NOC)

  • 박현애;조인숙;황지인;근효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6-26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of the standardized Korean nomenclature of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developed by Johnson & Maas at the University of Iowa. The four phases of the study were: (1) translation of the NOC into Korean by the research team, (2) four nursing professors and eight nurses with various clinical backgrounds reviewed each nomencla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definitions and nursing activities. The modified Delphi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nomenclature for each term; (3) Twenty four academic and clinical experts in nursing were given a questionnaire to rate each Korean nomenclature using a 5 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very inappropriate to very appropriate; (4) the team determined the most appropriate Korean nomenclature for each class of the NOC. The mean validity score of 190 items was 4.54, but several nursing outcome had a score lower than 4.0. They included 'adherence behavior(3.3)', 'ambulation : walking(3.57)', 'transfer performance (3.57)', 'caregiving endurance potential(3.57)'.

  • PDF

뇌혈관질환자에게 적용가능한 간호결과 분류체계의 타당성 검증 (Validation of the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on Cerebrovascular Patients)

  • 김영화;소향숙;이은주;고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89-49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ortance and contribution of 9 nursing outcomes and their indicators that could be applied to cerebrovascular pati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5 neurosurgical nurses working at two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s and five secondary hospitals located in Gwang-ju. The Fehring method was used to estimate outcome content validity(OCV) and outcome sensitivity validity(OSV) of nursing outcomes and their indicators. Stepwise regression was used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outcome and its indicators. Results: The core outcomes identified by the OCV were Tissue Perfusion: Cerebral, Nutritional Status, Neurological Status, and Wound Healing: Primary Intention, whereas highly supportive outcomes identified by the OSV were Oral Health, Self-Care: ADL, and Nutritional Status. All the critical indicators selected for Fehring method were not included in stepwise regression model. By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indicators explained outcomes from 19% to 52% in importance and from 21% to 45% in contributio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core and supportive outcomes and their indicators which could be useful to assess the physical status of cerebrovascular patien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the revision and development of nursing outcomes and their indicators at neurological nursing area.

  • PDF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준비도 영향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Preparedness on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 김명자;정향미;김남희;이연희;김묘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83-292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재난간호 지식, 중증도 분류 지식 및 재난간호 준비도를 파악하고 재난간호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6월 12일부터 10월 16일까지 B시와 G도의 간호학과 5곳의 3,4학년 간호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IBM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재난간호 지식은 12.04±3.56점, 중증도 분류 지식은 6.24±2.64점, 재난간호 준비도는 79.98±12.16점이었다. 대상자의 재난간호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낮은 재난간호 자신감(β=-.22, p<.001)과 재난간호 지식(β=.15, p=002)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0.2%이었다. 그러므로, 간호학생들의 재난간호 준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재난간호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재난간호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환자안전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n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서은주;서영선;홍은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55-266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구성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PRISMA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생, 중재방법은 환자안전교육, 결과는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의 수치화된 보고 또는 서술적 보고, 연구유형은 무작위실험설계, 유사실험설계, 단일군 연구설계, 설문조사, 질적연구를 포함하여 수행하였다. Medline, Embases, CINAHL, DBpia, Riss, KISS를 통해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총 2,46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PICO에 따라 자료를 추출한 결과 총 9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교육의 특성을 교육 방법과 기간, 결과변수 및 측정도구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결과 환자안전교육은 다양한 주제로 이루어졌으며, 강의식, 임상실습, 실험실, 그리고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교육되고 있었다. 교육 기간 또한 다양하였다. 결과변수는 지식, 태도, 기술 여부를 주로 확인하였는데, 이를 측정한 도구는 다양하였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교육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주제, 방법, 기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환자안전 역량을 갖춘 간호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교육기관과 실무기관에서 일관되고 통합적인 환자안전교육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사례관리 만족도 측정에 관한 고찰 (Review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Case Management)

  • 박은준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1-320
    • /
    • 2007
  • 연구 목적: 사례 관리(CM) 환자 만족도 측정에 관한 연구 결과를 고찰하여 사례관리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MedLine, CINAHL에서 주요용어로 case management, care management, 주제어로 patient satisfaction, client satisfaction을 이용해 문헌 검색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만족도에 대한 개념은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하며, 서로 다른 이론적 접근을 하고 있으므로 그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신뢰할 만한 만족도 측정을 위해서는 설문 문항을 서술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측정 척도의 종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혼란변수들을 주의 깊게 고려하여야 한다. 만족도는 사례관리 연구에서 흔히 측정되는 성과이지만 대부분의 관련 연구에서 사례관리의 특징이 반영된 측정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섯 개의 사례관리 만족도 측정 도구를 제시하고 그 특징을 소개하였다. 또한, 간호성과분류체계(The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에 제시된 만족도 측정항목들 중 사례관리와 관련이 높은 약 40%의 항목들을 발견하였다. 결론: 사례관리 만족도 측정 도구가 매우 부족하므로 표준 사례관리 측정도구 개발이 시급하다. 한편 사례관리사들은 만족도 측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존 연구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례관리 만족도 평가가 이뤄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 PDF

지식에 관한 간호결과도구의 타당성 조사 (Validation of Nursing Care Sensitive Outcomes related to Knowledge)

  • 이은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25-632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ortance and sensitivity to nursing interventions of four nursing sensitive nursing outcomes selected from the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Outcomes for this study were 'Knowledge: Diet', 'Knowledge: Disease Process', 'Knowledge: Energy Conservation', and 'Knowledge: Health Behavior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83 nurses working in 2 university hospitals. Fehring method was used to estimate outcome and indicators' content and sensitivity validity. Multiple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used to evaluate relationships between each outcome and its indicators. Result: Results confirmed the importance and nursing sensitivity of outcomes and their indicators. Key indicators of each outcomes were found by multiple regression. 'Knowledge: Diet' was suggested for adding new indicators because the variance explained by indicators was relatively low. Not all of the indicators selected for stepwise regression model were rated for highly in Fehring method. The R² statistics of the stepwise regression models were between 18 and 63% in importance by selected indicators and between 34 and 68% in contribution by selected indicators. Conclusion: This study refined what outcomes and indicators will be useful in clinical practice.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for the revision of outcome and indicators of NOC. However, this study refined what outcomes and indicators will be useful in clinical practice.

간호결과 분류체계의 타당성 검증 - 지역사회 간호결과를 중심으로 - (Validation of the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to Nursing in Korea)

  • 이은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23-531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ortance and sensitivity to nursing interventions of six sensitive nursing outcomes selected from the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The outcomes in this study were Self-Ca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Car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eatment Behavior: Illness or Injury, Knowledge: Health Promotion, Caregiver Performance: Direct Care, and Caregiver Physical Health.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97 visiting nurse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s located in a province and a capital city. The Fehring method was used to estimate outcomes and indicators for content validity.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used to evaluate relationships between each outcome and its indicators. Results: Results confirmed the importance and nursing sensitivity of the outcomes and their indicators.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key indicators of each outcome. Self-Care: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needed to be revised. Neither all of the indicators nor the indicators showing the highest importance and contribution ratio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stepwise regression model. The R2 of the regression models ranged from 29 to 56% in importance by selected indicators and from 56 to 83% in contribution. Conclus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the revision of outcomes and their indica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