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종양

검색결과 696건 처리시간 0.026초

악성 폐쇄성 황달 환자에 있어서 간문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Porta Hepatis Irradiation in Relieving Malignant Obstructive Jaundice)

  • 양광모;서현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79-84
    • /
    • 1990
  • 1984년부터 1988년까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에서 전이성 암에의해 발생한 악성 폐쇄성 황달환자 13명을 대상으로 간문을 포함하는 국소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총 3명의 환자중 추적가능한 7명은 표준 방사선 조사야에 2.6주에서 6주 동안에 걸쳐 $2600\~5480$cGy의 방사선 조사를 받았으며 이중 5명은 완전관해, 1명은 부분 관해를 보여주었다. 전체 13명의 환자에서의 평균 생존기간은 3개월 이었으며 7명의 추적가능한 환자에서는 10.5개월이었다.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 5명중 2명은 황달의 재발없이 1년 이상의 생존기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간문의 전이성 암으로 인해 발생한 악성 폐쇄성 황달 환자에 있어서 간문을 포함하는 조사야의 국소적 방사선 치료는 황달 해소와 증상완화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외상 후 발생한 지연성 무명동맥류의 수술적 치료 -1예 보고 - (Surgical Treatment of Delayed Traumatic Anuerysm of the Innominate Artery - A case report-)

  • 박훈;금동윤;김형태;구자현;고성민;최세영;박남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62-165
    • /
    • 2006
  • 무명동맥에 단독으로 발생하는 동맥류는 드문 질환으로 외상, 감염 또는 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례는 36세 남자 환자로 16년 전 교통사고의 병력 이외에는 특이한 과거력이 없었으며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우상종격동 종양이 발견되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컴퓨터단층촬영에서 흉골과 경계가 불분명한 5 cm크기의 진성 무명동맥류를 볼 수 있었으며 동맥류의 내부에는 혈전이 관찰되었다 수술은 중등도 이상의 저체온법을 이용하여 체외순환 하에서 Dacron Y-이식편을 사용하여 상행대동맥과 우측 경동맥 및 쇄골하동맥 사이에 우회도관을 연결하였으며 동맥류는 절제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 없이 회복되어 퇴원하였고 현재 추적 관찰 중이다.

전자선 에너지 및 조사야에 따른 유효선원 피부 간 거리 변화 (Variation of Effective SSD According to Electron Energies and Irradiated Field Sizes)

  • 양칠용;염하용;정태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57-163
    • /
    • 1987
  • It is known that fixed source to skin distance (SSD) cannot be used when the treatment field is sloped or larger than the size of second collimator in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inverse square law using effective ssd should be adopted. Effective SSDs were measured in different field sizes in each 6, 9, 12, 15 and 18MeV electron energy by suing NELAC 1018D linear accelerator of Kosin Medical Center. We found important parmeters of effective SSD. 1. Minimum effective SSD was 58.8cm in small field size of $6\pm6cm$ and maximum effective SSD was 94.9cm in large field size of $25\pm25cm$, with 6MeV energy. It's difference was 36.1cm. The dose rate at measuring point was quite different even with a small difference of SSD in small field $(6\times6cm)$ and low energy (6 MeV). 2. Effective SSD increased with field size in same electron energy. 3. Effective SSDs gradually increased with the electron energies and reached maximum at 12 or 15 MeV electron energy and decreased again at 18MeV electron energy in each identical field size. And so the effective SSD should be measured in each energy and field size for practical radiotherapy.

  • PDF

개에서 발생한 결장 평활근종에 대한 동적 컴퓨터 단층촬영 소견 1례 (Dynamic Computed To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olorectal Leiomyoma in a Dog)

  • 박노운;정욱헌;한재웅;엄기동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0-204
    • /
    • 2015
  • 12년령 중성화 수컷 시추가 변비와 배변곤란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사진상 결장이 팽대되어 있으며 천추 수준에서 연부조직밀도의 종괴가 결장을 복측으로 압박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컴퓨터 단층촬영상 종괴는 균일한 연부조직 정도의 감약성을 보이며 변연이 뚜렷하고 전이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동적 컴퓨터 단층촬영상 종괴는 촬영간 지속적인 낮은 조영증강을 보였으며 관류성 및 모세혈관 투과성은 둔부근육과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영상진단학적 검사상 종괴는 신생혈관 발달이 약한 골반강 내 양성 종양으로 잠정진단되었다. 종괴는 둔성분리를 통한 외과적 절제로 제거되었으며 조직검사결과 평활근종으로 진단되었다.

세포동영상의 자동분석을 위한 효율적인 세포추적방법 (Efficient Cell Tracking Method for Automatic Analysis of Cellular Sequences)

  • 한찬희;송인환;이시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2-40
    • /
    • 2011
  • 저속촬영이 가능한 현미경을 통해 얻어진 세포동영상에서 세포활동의 추적 및 분석은 종양의 전이, 바이러스의 침입, 상처회복, 세포분열과 같은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세포추적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각 프레임에서의 세포검출, 전후 프레임 내 세포들의 상관관계 조사, 새로운 세포의 인식 및 세포분열의 확인 등과 같은 일련의 작업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효과적인 자동 세포 추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첫 번째 프레임에서는 세포영역의 특성 분석을 통해 얻어진 특징벡터를 이용하여 각 세포의 마커 영역을 추출하고, 여기에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세포 분할을 수행한다. 연속된 프레임들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분할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서의 분할 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각 세포의 기하학적 특성과 밝기 특성의 결합 비용함수를 사용하여 전후 프레임 간 세포의 올바른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추적의 정확도를 개선한다. 실험에서 세포영상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CellProfiler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제안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설암의 조직간내 라디움치료에 관하여 (Interstitial Radium Implantation and Cobalt-60 Irradiation of the Tongue Cancer (IbidI))

  • 안경성;박주방;윤용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2년도 춘계종합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6.1-16
    • /
    • 1972
  • 설암의 치료방법에는 방사선치료, 수술적료법, 화학적료법 및 이들의 병용법을 들 수 있는데, 최근에 와서는 방사선치료가 치료성적의 향상과 혀의 기능을 보존한 채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다는 관점 때문에 설암이 $T_3이하일$ 때에는 많이 선택되고 있다. 방사선치료라고 하면 대개는 X-선심부치료와 원격조사치료만을 생각하기 쉬우나 그 외에도 감사선을 이용한 라디움 혹은 코발트 등의 체강내치료와 라디움, 코발트 및 Gold needle 등을 조직간내에 치료하는 방법도 있다. 본 연자등은 제일차로 연세의료원 암센타에서 1971년도에 설암환자중, 조직간내라디움 치료법과 경부에 원격조사치료를 병행한 5례를 대상으로 그 치료방법과 치료 전후의 원병소의 변화를 시기적으로 비교, 관찰하여 그 중간보고를 하는 바이다. 5례중 남자가 3명, 여자가 2명이었고 병리조직학적소견으로 4례는 상피세포암, 나머지 1례는 Cystic Adeno-carcinoma환자였다. 이는 1966년도에 타액선종역이 발생하여 수술후 X-선심부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었다. 조직간내라디움 요법의 선택은 종양의 크기로 결정하는데 종물의 직경이 3~4cm가 넘어서는 안되고, 그 두께가 2~2.5cm이하 일 때에 $(T_1,$ $T_2)$ 한하여 시행한다는 원칙하에 2종류의 라디움 needle 즉 I형의 라디움 needle은 전장이 4.4cm로 Active length가 3.0cm이고, II형은 전장이 2.8cm, Active length가 1.5cm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방법은 원병소의 크기를 측정하여 용적을 산출하고 Quinby chart에 기술된 mahr를 찾은 후 6,000Rads를 평균조사량으로 필요한 mghr로서 5~6일로 나누어 나오는 mg을 다시 2mg으로 나누어 원병소에 필요한 량의 라디움 needle을 국소마취하에 후측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전단부위까지 이상적인 배열로 조직간내에 하였다. 약 6,000Rads가 조사될 수 있는 시간이 경과한 후 라디움 needle을 제거하고 평균 2주부터 1개월 이내에 원병소를 촬영하여 치료전후의 변화를 제1보로 소개하며 앞으로 modified Berkson-Gage 방법으로 결과를 매년 보고하는 한편 15년간 단속 followup할 예정이다.

  • PDF

소아의 원발성 악성 간종양에 대한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Analysis of Primary Malignant Hepatic Tumor in Childhood)

  • 임기윤;정연준;정성후;김재천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9권1호
    • /
    • pp.12-1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hildren who underwent hepatic resection for primary malignant hepatic tumor in the period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2001. A total of 8 patients, seven with hepatoblastoma (HB) and one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were studied. One HCC was resectable at the initial diagnosis, but five cases of unresectable HB received two cycles of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before operation. One patient with an unresectable HB with bone marrow metastasis was operated after one cycle of TACE and one cycle of systemic chemotherapy based on CCG-823F protocol. Another unresectable HB patient received systemic chemotherapy instead of TACE before operation. Postoperative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all of the patients after complete surgical resection on CCG-823F protocol. All 6 patients who underwent TACE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showed marked reduction in tumor volume and a clear outline of the lesion. Major complication was not noticed. Mean alpha-fetoprotein (${\alpha}$-FP) level at diagnosis,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after postoperative chemotherapy was 9,818 (42-35,350), 664, and 10.1 ng/mL, respectively. Half life of the ${\alpha}$-FP after complete resection was 5.1 days (3.0-8.7 days). Median follow up period was 57.1 months (10-97 months) and all the patients are alive with NED. In conclusion, preoperative chemotherapy, especially TACE, is effective, safe, and useful to treat initially unresectable hepatoblastoma, and serial level of the serum ${\alpha}$-FP is a useful tumor marker for diagnosis and monitoring therapeutic responses.

  • PDF

진행된 성문 상부암 환자에서 p53의 발현과 임상적 의의 (Association of p53 Protein Expression with Clinical Outcome in Advanced Supralottic Cancer)

  • 강진오;홍성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1-6
    • /
    • 1998
  • 목적 : 진행된 성문 상부암 환자에서 p53 발현의 빈도와 예후 인자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완전 또는 부분 후두 절제술을 받고, 방사선 치료를 받은 성문 상부암 환자 21 예를 대상으로 하여 antihuman monoclonal p53 antibody를 이용하여 면역 염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3기 환자 6명 중 3명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고 4기 환자 15명 중 4명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양군간의 발현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0.608). p53 음성 환자 군과 양성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93\%$$86\%$이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776). p53의 발현은 연령(p=0.64), T stage(p=0.877), N stage(p=0.874) 등과도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 p53의 발현은 전통적인 임상 인자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진행된 성문 상부암에서 면역 염색을 통한 p53 발현의 검색은 예후 인자로서 임상적 유용성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여러 종류의 표면 진동원에 대한 연조직에서의 진동 변위 비교 (Comparison of Vibrational Displacements Generated by Different Types of Surface Source in a Soft Tissue)

  • 박정만;권성재;정목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69-483
    • /
    • 2012
  • 인체 연조직에서 기계적인 진동의 전달 특성은 조직의 탄성 특성에 의존한다. 연조직의 진동 특성으로부터 암이나 종양을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의 전달 특성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논문은 연조직의 표면에 위치하는 여러 형태의 응력 진동원에 의해 연조직 내에 발생되는 변위 패턴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진동원으로는 수직하중, 접선하중, 그리고 면외전단하중이 고려되었다. 점탄성 단일층에서의 변위에 대한 이론적 표현식을 구하였고, 수치계산은 반공간 및 무한평판조직에서 수행되었다. 그리고 유한크기조직에서의 변위패턴을 유한요소법으로 시뮬레이션하였다. 응력 형태, 진동원 크기 및 주파수, 그리고 경계면이 변위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다.

딥러닝을 이용한 CT 영상의 간과 종양 분할과 홀로그램 시각화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Liver and Tumor Segmentation and Hologram Visualization of CT Images Using Deep Learning)

  • 김대진;김영재;전영배;황태식;최석원;백정흠;김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57-768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ystem that visualizes a hologram device in 3D by utilizing the CT image segmentation func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The input axial CT medical image is converted into Sagittal and Coronal, and the input image and the converted image are divided into 3D volumes using ResUNet, a deep learning model. In addition, the volume is created by segmenting the tumor region in the segmented liver image. Each result is integrated into one 3D volume, displayed in a medical image viewer, and converted into a video. When the converted video is transmitted to the hologram device and output from the device, a 3D image with a sense of space can be checked. As for the performance of the deep learning model, in Axial, the basic input image, DSC showed 95.0% performance in liver region segmentation and 67.5% in liver tumor region segmentation. If the system is applied to a real-world care environment, additional physical contact is not required, making it safer for patients to explain changes before and after surgery more easily. In addition, it will provide medical staff with information on liver and liver tumors necessary for treatment or surgery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and help patients manage them after surgery by comparing and observing the liver before and after liver re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