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접 측정

Search Result 1,01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Measurement of Earth's Current -Toward an indirect observation of Ionosphere (지구전류의 측정 -전리층 간접측정 모색)

  • Kwak, J.;Kim, S. Y.;Koh, J.;Kwon, M.;Choi, E.;Lee, S.;Kim, D.;Min, S.;Park, D.;Kim, D.;Choi, J.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4 no.1
    • /
    • pp.47-54
    • /
    • 1987
  • Earth currents with 10~20 ${\mu}A$ flow due to a magnetic induction by large currents flowing through the ionosphere. In order to measure the behaviour of ionosphere indirectly, earth currents will be measured and the results will be reported.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measurement domain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centered on extensive quantity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측정 영역 비교·분석: 외연량을 중심으로)

  • Lee, Seung Eun;Lee, Jeong Eun;Park, Kyo Si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1 no.1
    • /
    • pp.19-37
    • /
    • 2018
  • In this study, the actual state of teaching seven extensive quantities (time, length, capacity, weight, area, angle measure, volume) of measurement domain are analyzed comparatively betwee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the 2017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Japan in terms of comparison in measurement, direct measurement, indirect measurement, and estimation in measurement. From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some implications for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nex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the next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can b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clarifying the range of handling of comparison, direct measurement, indirect measurement, estimation of seven extensive quantities respectively.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doing direct comparison when intuitive comparison is difficult.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reconsidering indirect comparison of weights. Fourth,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reconsidering measurement using arbitrary units in case of angular measures. Fifth,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dealing with estimating the area of $1cm^2$ and $1m^2$ and the volume of $1cm^3$ and $1m^3$ for the purpose to make rough guesses their size respectively.

Tracking of Contaminant Concentration in River Using High-performance GPS Electronic Drifter (고성능 GPS 전자부자를 이용한 하천에서의 오염물질 농도 추적)

  • Lee, Chang Hyun;Nam, Su Han;Lee, Jeong Min;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6-166
    • /
    • 2021
  • 국내·외 유해화학물질 유출로 인한 하천오염사례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이때 수질의 농도측정은 직접 도섭으로 하천의 정보 대한 정보를 취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간접적인 방법으로의 정보취득이 중요시 되어야 한다. 그에 따른 방법으로 주입식의 표면부자를 활용한 방법 이용한 수질농도 측정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런 농도추정은 이동확산으로 인한 변위가 커지게 되어 시간간격 설정에 대한 어려움 등이 있고, 수질오염에 대한 추적이 가능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분석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수질농도의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고성능 GPS전자부자를 이용한 추적이 필요하다. Lab-Scale에서 GPS 전자부자를 이용하여 수질정보취득에 일반항목인 수온, PH, EC, DO을 측정함으로써 일반항목에 대한 상관관계와 그에 따른 관계곡선을 제시하고, 고성능 GPS 전자부자를 이용한 측정결과와 YSI를 이용한 측정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농도경향에 대한 추적으로 오염물질이나 유해화학물질의 정보전달을 통해 원인분석 및 예상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간접적인 측정을 통해 진행되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질측정에 접근성 및 안정성 까지 확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홍수시 사용뿐만 아니라 기본에 사용되는 수질측정 방법의 한계점까지 보완할 수 있다. GPS 전자부자의 지속적인 연구는 향후 하천 측정 시스템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of shearbond strength between metal and indirect resin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ditionings (표면처리에 따른 금속과 간접복합레진간의 전단결합강도 비교연구)

  • Choi, Su-Young;Choi, Hyunmin;Moon, Hong-Seok;Shim, June-Sung;Park, Young-Bum;Lee, Geun-Wo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5 no.3
    • /
    • pp.264-27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bond strength of four different indirect composites to the gold alloy and Ni-Cr alloy according to type of metal surface treatment after water storage. Materials and methods: Type IV gold alloy and Ni-Cr alloy were used for casting alloy while four types of indirect composite resins (Gradia, Tescera Sinfony and in;joy) were used in this study. Metal specimens were produced by casting and total of 240 specimens (60 specimens per one indirect composite group) were prepared. After bonding indirect composite resin and undergoing 24 hours of polymerization, customized jig was attached to the metal specimen and shear bond strength were measur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Also,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before and after water storage for 240 hours were also measured. Results: In the measurement of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the metal surface treatments, bead group showed high strength followed by loop and flatting group (P<.05). After being stored in water bath for 240 hours, Gradi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bond strength compared to other indirect composite resins in all groups (P<.05). Conclusion: Shearbond strength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metal surface treatment and type of metal used after storage in water. Further studies need to be developed for clinical practices as three are still problems of microleakage, stain or wear.

Effects of filler addition to bonding agents on shear bond strength (FILLER함량이 BONDING AGENT의 전단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 Oh, Young;Oh, Myung-Hwan;Cho, Byeong-Hoon;Son, Ho-Hyun;Kwon, Hyuk-Choon;Um, Chung-M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1
    • /
    • pp.44-53
    • /
    • 2002
  • 목적 : 최근 개발된 bonding agent 중 일부는 다양한 함량의 filler를 포함하고 있으며 filler의 첨가는 bonding agent의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접착력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주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함량의 filler를 포함한 adhesive를 실험적으로 만들어, filler의 함량이 전단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임상적으로 가장 적절한 filler의 함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 adhesive의 간접인장강도를 측정하여 adhesive의 기계적인 물성과 접착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방법 : 발거된 건전한 70개의 대구치를 투명 레진에 매몰하고 상아질면을 노출시켰다. 3M사의 Scotchbond Multipurpose의 etchant와 primer를 제조사의 지시대로 적용하고 1$\mu\textrm{m}$크기의 barium glass filler를 0, 5, 10, 15, 20, 30, 45wt% 포함하도록 실험적으로 제작한 adhesive를 도포한 후 레진을 충전하여 시편을 완성하였다. Instron으로 0.5mm/min의 속도에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그 단면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파절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Filler함량에 따른 adhesive의 후경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Sigmascan을 이용하여 그 후경을 측정하였다. 또, 지름 4mm 높이 6mm의 원통형 시편을 제작하여 Instron로 간접인장강도의 측정을 시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시행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관관계를 분석을 위해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1) Filler함유량에 따라 전단접착강도는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Filler함량의 증가에 따라 전단접착강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여 15% 수준에서 가장 높은 갈(19.9$\pm$1.38Mpa)을 보였으며 20% 이상의 수준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3) Adhesive의 간접인장강도는 20% 수준까지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p>0.05), 30% 이상에서는 유의할 만한 감소를 보였다(p<0.05). 4) Adhesive의 후경은 0% 수준에서 5.97$\pm$1.23$\mu\textrm{m}$부터 45%수준에서 73.37$\pm$11.7$\mu\textrm{m}$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Filler함량에 따른 Adhesive의 간접인장강도와 전단접착강도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Suction air flow method for EFI system (EFI시스템을 위한 흡입공기량의 측정)

  • 조진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9 no.1
    • /
    • pp.33-39
    • /
    • 1987
  • 기관의 실린더 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질량이 정확히 계량 된다면 일정의 이론혼합비를 얻기 위한 연료의 분사량은 쉽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실린더로 흡입되는 실제의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수단은 없고 다음에 설명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그 량을 측정하고 있다.

  • PDF

Effects on Injection Time. Filling Pressure, and holding Time on Injection-molded Lens Pats (렌즈 성형품에 대한 사출시간, 충진 압력, 그리고 보강시간의 영향)

  • 송영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4 no.2
    • /
    • pp.116-126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형내압 파형제어 시스템, 초고속, 사출성형, 그리고 금형진공 시스템 등을 갖춘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정밀 구면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러한 목적을 위해 성형공정 변수인 사출시간 충전압력 그리고 보압시간이 성형품에 미치는 영향을 중량과 곡률반경 구면 정밀도 그리고 구면오차의 간접무늬를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그결과로서 성형품의 중량(칫수)과 곡률반경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는 충전압력 이며 사출시간과 보압시간은 곡률반경과는 무관해 보이고 중량의 증가에는 기여하지만 공정 사이클 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지적된다. 구면정밀도 측정실험 결과 길지도 짧지도 않는 15∼20초 사이의 보압시간 4초이내의 빠른 사출시간 그리고 860kg/cm2 이상의 높은 충전압 력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구면의 형상에 대한 간접무늬 측정결과는 성 형공정을 이해하는데 강력한 도구가 됨을 발견하였다.

  • PDF

Quantitative Evaluation of Machinability of Free-Cutting Phosphor Bronze Alloy by using a Piezoelectric Tool Dynamometer

  • Cho, Hoon;Lee, Byoung-Soo;Ryu, Ho-Yeun;Jo, Hyung-Ho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27 no.5
    • /
    • pp.217-220
    • /
    • 2007
  • 절삭특성은 재료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해 재료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할 경우 그 가공성이 쉽거나 어려움에 대한 정도로 전의될 수 있는데 동합금 소재의 절삭특성은 절삭시 발생된 칩의 형상이나 길이를 측정하거나 또는 공구계에 부착된 토오크 미터에 의해 절삭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상기의 평가방 법은 절삭특성의 간접적인 평가방법이라는 한계와 정확도에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압전형 공구동력계(Piezoelectric Tool Dynamometer)를 쾌삭인청동합금 피절삭물에 직접 부착하여 절삭가공시 절삭력은 정량적으로 직접 측정하고자 하였다. 쾌삭인청동합금의 소둔 열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결정립의 성장에 의한 연화현상과 납입자의 군집화(Clustering)는 관찰되었으나 그로 인한 절삭력 및 절삭에 필요한 에너지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The evaluation of color and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ayering placement of Incisal shade composites on the body composites of the indirect resin restoration (간접 수복용 복합레진의 Incisal 색상 적층 두께에 따른 표면 색상 및 색차의 평가)

  • Park, Su-Jung;Lee, Han-Young;Nah, Myong-Yun;Chang, Hoon-Sang;Hwang, Yun-Chan;Oh, Won-Mann;Hwang, In-Na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6 no.1
    • /
    • pp.37-49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face color of indirect resin restoration according to the layering placement of different shade of incisal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CIE $L^*a^*b^*$ value of 16 Body composite of Tescera ATL (Bisco, Schaumburg IL,USA)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NF999, Nippon Denshuku, Japan), and compared to CIE $L^*a^*b^*$ value of Vitapan shade guide. Nine shade Incisal composite of Tescera ATL were buildup to 1 mm thickness on Body composites inlay block, and CIE $L^*a^*b^*$ value was measured. Incisal composite was ground to 0.5 mm thickness and CIE $L^*a^*b^*$ value was re-measured. Color difference between Body composite and Incisal composites layered on Body composite was calculated as a function of thickness. Results: Color difference between corresponding shade of Tescera Body composite and Vitapan shade guide was from 6.88 to 12.80. $L^*$ and $b^*$ value was decreased as layering thickness of Incisal composite on Body composite was increased. But, $a^*$ value did not show specific change tendency. Conclusions: Surface color difference between Body composites and Incisal composites layered on Body composite was increased as the layering thickness of Incisal composite increased (p < 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