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접비용모델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2초

강변여과수내 철망간 저감 및 투수성 개선 (In situ iron/manganese removal and permeability improvement at the river bank filtration site)

  • 김병우;김병군;허영택;김동섭;김홍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8-228
    • /
    • 2018
  • 강변여과는 지하수 인공함양 방식 중 유도함양(induced recharge) 또는 간접함양 방식에 속한다. 이는 하천 및 강변 부근에 집수시설을 설치한 후, 미고결층 대수층(unconsolidated aquifer)의 자연 오염 저감능을 이용하여 지표수를 간접 취수하는 방식으로 수질이 불량한 지표수가 대수층을 관류하면서 희석, 화학적 이온 교환 및 반응, 흡착, 생물막(biofilm; 미생물에 의한 자연저감), 여과 등을 통하여 수질이 개선된다. 강변여과수내의 용존 농도가 높은 철과 망간은 수처리 비용증가, 용수관정 및 시설물의 수명단축을 초래한다. 따라서 강변여과 지역의 미고결 대수층에서 효과적인 철과 망간 동시 제거(vyredox)를 위해 에어서징(air surging)과 블록 서징(block surging)을 실시하기 위해서 실내 물탱크 모델(water tank model)에서 에어서징에 따른 공기 순환 우물시스템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장시험(Test bed)에 적용하였다. 미고결 대층수층에서의 철 망간은 음용수 기준치(각각 0.3 mg/L)를 초과하고 있으며, 강변여과 취수 개발 및 이용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에어서징과 블록서지 기술은 자갈층 및 미고결 대수층에 충진된 슬라임 및 폐색(clogging)을 제거함과 동시에 관정 주변의 대수층의 투수성 개선과 산화환경으로 치환되며, 대수층에 잔존하는 철/망간의 산화물들을 관정내로 빼낼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서징에 따른 폐색 제거효율을 검토한 결과에서 철 망간 이온농도 저감효과와 관정 주변의 수리전도도(hydraulic conductivity) 및 저류계수(coefficient of storage)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강변여과에 의한 폐색은 미고결층내 공기주입 및 블록서지를 통하여 철/망간 이온농도 저감 및 수리특성 개선 효과에 유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 PDF

개인 의사결정유형과 공급체인 동적특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ecision Style and Supply Chain Dynamics)

  • 김태현;문성암;이정환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7권1호
    • /
    • pp.87-10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동태적인 공급체인을 설정하여 개인의 의사결정 유형이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설문조사, 실험,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고 있다. 공급체인 참여자의 의사결정 유형은 Rowe와 Boulgarides(1992)에 의해 만들어진 의사결정유형 측정목록을 통해 구분하였으며, 채찍효과는 공급체인에서의 최대주문량과 재고량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공급체인 모델 설정시 주안점은 주문량 결정식이다. 공급체인 참여자들은 통상 고객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재고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적정 주문량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맥주배송게임을 통해 기본 공급체인 모델을 설정하고 설정된 공급체인 모델을 바탕으로 개인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현상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연구결과 개인 의사결정유형에 따라 전체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효과가 달리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개인의 특성이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는 대조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현상의 원인을 규명하는 작업에서 조직이나 시스템 관점에서의 접근과 개인 특성 위주의 접근 중에서 전자에 비중을 실어주는 연구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구조나 시스템 차원에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함을 본 연구의 의의로 들 수 있다.

  • PDF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기계학습 기반 콘크리트 균열 감지 프레임워크 (Machine Learning-based Concrete Crack Detection Framework for Facility Maintenance)

  • 지봉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10호
    • /
    • pp.5-12
    • /
    • 2021
  • 시설물의 노후화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노후화된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 균열을 감지하고 이를 추적하면서 시설물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균열 감지는 노후화된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 필수적 역할을 하며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더 이상의 노후화를 막기 위한 활동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균열 감지는 전문가의 판단에만 의존하기에 시설물의 면적이 큰 경우 비용과 시간이 과도하게 사용되고, 전문가의 역량에 따라 다른 판단 결과가 발생할 수 있어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계학습 기반의 콘크리트 균열 감지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데이터 분류, 기계학습 모델 학습, 학습된 모델의 검증과 테스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로 완전 자동화된 콘크리트 균열 감지가 가능하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통해 학습된 기계학습 모델은 콘크리트 균열 이미지와 정상 이미지를 96%의 높은 정확도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기존의 전문가 중심의 시설물 유지관리보다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시설물의 유지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화 투자비용 및 투자효과: 국내기업 현황 분석 및 실증 연구 (Information Technology Investment and Effectiveness: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and Performing Empirical Research)

  • 박소현;구본재;함유근;이국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3호
    • /
    • pp.201-223
    • /
    • 2006
  • 이 연구는 국내기업의 정보화 투자비용과 투자효과 현황을 분석하고, 수집 데이터를 토대로 여러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IT효과 창출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2005년 국내 기업의 IT예산은 매출액 대비 2.53%로서 종전에 비하여 약간 증가하였으며, IT효과 역시 예전보다 상당히 높아진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 예상과는 달리, 여러 선행 연구에서 논쟁 중인 IT예산과 IT효과 사이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이 외에도 일부 연구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CEO 리더십, IT부서 역량, IT부서와 현업부서 사이의 협력 수준, 이용자 만족도 등은 IT효과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T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보시스템 기술적 품질, 자원배분에 관한 CIO 리더십, 그리고 현업부서의 정보화 추진의지 및 활용능력 3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IT관리자와 연구자에게 필요한 사실정보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볼륨 렌더링에서 산란자 템플릿을 이용한 재질별 산란광 표현 (Scattered Light Represen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aterial Using Scatterer Template in Volume Rendering)

  • 이병준;권구주;신병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12호
    • /
    • pp.677-684
    • /
    • 2016
  • 사실적인 볼륨 렌더링을 위해서는 음영처리 뿐만 아니라 조명 효과를 계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높은 품질의 결과영상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전역 조명을 표현할 필요가 있는데, 빛의 직접적인 영향과 산란에 따른 간접적인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원이 필요하고, 특히 볼륨 데이터처럼 대용량의 데이터로 렌더링 할 때는 매우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본 논문에서는 각 재질에 대해 물리적 법칙에 따른 산란자 템플릿을 생성한다. 각 물체들이 가지는 재질 특성을 고려하여 램버트 조명 모델을 기반으로 템플릿의 광자들을 저장한다. 본 논문에서 볼륨 렌더링을 할 때, 볼륨 내부에서 샘플링 되는 복셀을 기준으로 템플릿에 저장된 광자를 이용해 차폐를 검사하고, 산란에 따른 전역 조명을 표현한다. 재질별로 템플릿을 생성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물질들로 구성된 것만 아니라면 적은 자원을 필요로 하며, 간단한 연산을 통해 적은 비용으로 볼륨 내부의 산란을 표현할 수 있다.

모델축소법을 이용한 교각-차량 충돌변위 예측 및 직접충돌해석법과의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f Model Reduction Method with Direct Impact Analysis of Truck-column Collision)

  • 이재하;김경진;정유석;김우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75-682
    • /
    • 2015
  • 미국 AASHTO LRFD(AASHTO, 2012)나 국내의 도로교설계기준(2012)의 차랑충돌에 대한 교각설계기준을 참조하면 교각 설계 시 차량충돌에 대해 정적인 하중을 고려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한편 2003년 미국 네브래스카 주에 트럭이 교각에 충돌하여 교각 및 교량 상부구조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차량충돌에 의한 교량붕괴사고는 홍수에 의한 교량붕괴사고에 이은 두 번째 요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화물차량의 대형화와 도로시스템의 개선으로 인하여 이러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중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각 설계시 차량충돌에 대한 동적 해석을 수행하게 되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실용적인 측면에서 연구결과가 쉽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충돌해석 비용과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모델축소법(model reduction)을 이용한 해석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그 효용성을 최종변위에 대해 직접충돌해석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평가하였다.

Hardware In-the Loop Simulation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제동제어기의 설계 (An Antilock Brake Controller Design Using Hardware In-the Loop Simulation)

  • 이기창;전정우;황돈하;이세한;김용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320-2322
    • /
    • 2004
  • 전자제어식 미끄럼방지 제동장치 (ABS, Antilock Brake System)는 차량의 급제동시 발생할 수 있는 바퀴의 슬립을 방지하여 차량의 제동거리를 단축시키고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 내 안전장치이다. 지난 몇 년 동안 공압식 제동시스템을 사용하는 대형차량에 적합한 미끄럼방지 제동 제어기를 연구해 왔다. 이 제어기는 바퀴의 슬립율과 그 변화량을 이용한 제어 법칙을 유도하여, 제어 파라미터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 파라미터의 튜닝에는 맡은 반복적인 실험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차량의 제동을 실시간으로 모사 할 수 있는 HILS (Hardware In-the Loop Simulation) 시스템을 개발, 구축하였다. 개발 HILS는 공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14 자유도를 가지는 차량 동역학 모델 및 타이어-바퀴 동역학을 소프트웨어 모델로 사용하고, 개발 중인 전자제어식 미끄럼 방지 제동 제어기를 하드웨어로 사용하여, 바퀴속도 센서 신호 모의 장치 및 공압 엑추에이터 모의 신호등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제동중인 차량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 및 감시할 수 있다. 이 개발 HILS를 이용하여 제동 제어기의 제어 파라미터의 튜닝을 짧은 시간에 성공적으로 끝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HILS 실험을 마친 제어기는 미끄럼 방지 제동 시험장에서 실차 주행 시험을 무사히 마침으로써, 개발 기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시뮬레이션의 효용성을 간접적으로 증명하였다.

  • PDF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해외건설 프로젝트 시공성 평가 모델 (Constructability Assessment Model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Using Structural Equation)

  • 이용욱;이상구;장우식;한승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941-951
    • /
    • 2015
  • 국내 건설기업들은 해외건설 시장에서 6천 8백억 불 수주를 달성하는 등 양적성장을 지속해 왔으나, 원천기술과 사업관리 역량이 선진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지고 있으며 최근 무리한 저가수주로 인해 대규모 적자가 발생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천기술과 사업관리역량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며 시공성 개념은 이러한 대안의 하나이며 해외 선진국에서 다양한 연구결과가 실무에 적용되고 있다. 국내기업이 해외 EPC건설공사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공성 개념의 실무적용이 필요하다. 시공성이란 건설공사에서 전체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범위를 의미하며, 시공용이성과 프로젝트의 품질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건설공사에 대한 시공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에서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고 구조 방정식 모델을 활용한 시공성 평가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여러 변수들 간에 복잡하게 연결된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으며 직 간접효과를 동시에 도출하여 해외건설 프로젝트 시공성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외건설공사의 시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소는 문헌고찰, 기업보고서 및 전문가 자문, 설문조사를 통하여 8개의 잠재변수와 34개의 측정변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은 해외건설공사의 시공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비용절감, 공기단축, 품질향상 측면에서 전략적 대응방안을 수립함으로써 사업의 최종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인정보보호투자의 성과측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vestment Performance)

  • 김영일;이재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99-106
    • /
    • 2013
  • 최근 기업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한 금전적 손실이 점차 증가추세에 있으며 대외 이미지 손실 등의 간접적 피해도 무시 못 할 상황이 되었다. 이 같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개인정보보호투자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투자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보호투자의 비용효과 분석 및 정성적 효과분석이 모두 반영된 성과측정 방법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외 개인정보보호 투자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및 정성적 성과측정이 가능한 개인정보보호투자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 보호투자 및 IT 투자성과측정 관련 기존 연구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고, 개인정보보호 특성과 현실적용 가능성 측면을 고려하여 정량적 및 정성적 측정이 모두 가능한 WiBe 접근 방법론을 선택하였다. WiBe 방법론을 기반으로 개인정보보호 투자에 적절한 성과측정 모델과 16개의 성과측정 지표를 제시하였다. 특히, 정량적 효과측정에서 사전위협평가방법을 기반으로 기업 및 조직의 성격에 따른 개인정보보호의 투자의사 결정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성과 측정 지표의 검토 결과, 성과측정 지표는 실현 가능성 및 중요성 측면에서 모두 의미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SOC사업의 설계 인터페이스 관리 모델 구축 (The Establishment of the Design Interface Management Model for SOC Projects)

  • 오재욱;김우영;이규진;서상욱;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16-123
    • /
    • 2000
  • SOC 사업은 그 특성상 규모가 크고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SOC 사업의 설계업무도 여러 조직의 복잡한 프로세스를 거처 수행된다. 따라서 일반건설공사와 비교할 수 없는 수많은 정보가 생성ㆍ소멸되며, 정보를 필요로 하는 조직간의 원활한 정보교류가 사업의 성공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SOC사업의 설계단계에서 정보교류 방법론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아 정보교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SOC사업의 설계단계에서 설계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참여주체간 필요정보를 규명하여 인터페이스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에는 업무수행 조직 중심의 조직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인터페이스 향상 방안, 전문가들의 파트너링을 통한 협력설계 의사결정 방안, 정보표준화를 통한 개방형 설계 정보 통합 시스템 구축 방안 등이 포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