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장

검색결과 1,983건 처리시간 0.03초

간장을 첨가한 양하 피클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ha (Zingiber mioga Rosc) Pickle with Soy Sauce during Storage)

  • 김명현;한영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0-270
    • /
    • 2016
  • 간장 첨가량을 달리한 양하피클을 제조하여 90일 저장기간 동안 pH, 당도, 염도, 수분함량, 색도, 환원당, 경도, 총균수 등의 품질평가와 관능평가를 비교하였다. 간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 염도, 당도가 높아졌다(p<0.001). 양하 피클의 수분 함량은 간장량이 증가할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양하 피클의 경도는 제조 0일차에는 $202.6{\sim}235.9g/cm^2$이고, 90일차에는 $352.2{\sim}368.3g/cm^2$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고, 간장함량이 증가될수록 높았다. 명도는 간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고, 적색도는 J1이 높았으며, 황색도는 저장기간 동안 J1을 제외하고 증가하였다. 양하 피클의 관능적 특성 결과, 양하 피클은 매운맛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결과 값을 나타냈으며, 맛, 향,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간장 10%를 첨가한 J2가 유의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양하 피클의 외관과 색은 간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낮아졌다. 따라서 양하를 이용한 피클은 오랫동안 저장하여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피클로서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등어 가공잔사를 이용한 어간장의 제조 (Preparation of Fish Sauce from Mackerel Scrap)

  • 이응호;박향숙;안창범;황규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1-206
    • /
    • 1986
  • 어류가공부산물로서 생산되는 미이용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고등어를 가공할 때 생기는 잔사를 원료로 하여 자가소화법으로 고등어간장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마쇄한 고등어잔사에 동량의 물을 첨가하여 $55^{\circ}C$에서 4시간 가수분해시키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이때의 가수분해율은 65%였다. 고등어간장의 조단백질함량은 6.5%로 재래식 콩간장과 비슷하였고 염도는 12.3%로 약간 낮았다. 또한 색조는 재래식콩간장이나 멸간장과 비숫하였다. 무기질은 칼슘함량(35.1ppm)이 재래식 콩간장(19.9ppm)보다 높았고, 중금속증 아연함량은 콩간장과 비슷하였으나 다른 것은 모두 콩간장보다 함량이 낮았다. 양적으로 많은 아미노산은 필수아미노산인 leucine(22.8%), isoleucine(15.0%), phenylalanine(12.6%) 및 valine(12.5%)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자가소화법에 의하여 고등어잔사로 만든 고등어간장은 재래식 콩간장에 비해 품질면에서 손색이 없었다.

  • PDF

숫자로 본 메디체크 - 정밀검사로 조기발견! 메디체크 간장질환 검진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8권8호
    • /
    • pp.4-5
    • /
    • 2014
  • 간은 우리 몸에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담즙산 빌리루빈 비타민 무기질 호르몬 대사, 해독 및 살균 작용 등에 관여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한국건강관리협회 메디체크는 정밀한 간장질환 검진을 통해 간장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으며, 건강생활실천상담실과 연계하여 다양한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PDF

랫드 간장에서 Creatine 섭식에 의한 metabolites의 변화 (Effects of Dietary Creatine on Tissue Metabolite Contents and Uptakes in Rat Liver)

  • 정규식;박상준;민병길;류시윤;조성환;김무강;김성호;권오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4-29
    • /
    • 1997
  • 흰쥐 간정맥 및 간문맥에 PE10 튜브를 마취하에 이식시킨 후 5일째부터 고형사료와 10% creatine을 함유한 고형사료를 5일 동안 섭식 시켜 급속 냉동 시켰다. 냉동시킨 흰쥐 간장, 뇌 및 근육에서 creatine을 포함한 간장 metabolites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또한 간장세포내의 water compartment의 변화를 동시에 실시 하였다. Creatine을 섭식시킨 실험군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섭식에 의한 간세포내의 water compartment 에 벼노하를 주지 않았고 간장 세포내의 creatine농도에 있어서는 약 43배 이상 세포내 증가를 유도하였으며, 이는 세포외 및 세포내의 creatine의 gradient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고, 또한 동시에 뇌, 근육 등에서는 섭식에 의해 유의성 있는 농도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세포 외액속에 함유된 creatine 이 여러 수송기전에 의하여 간세포내로 흡착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으나, 간세포 분리 시험법에로 Creatine Kinase 효소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non-parenchymal hepatocytes에서만 거의 100% 효소 활성도가 있음을 증명 하였다.

  • PDF

간장과 어육장의 색도 및 갈색색소 패턴 (Chromaticity and Brown Pigment Patterns of Soy Sauce and UHYUK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 Sauce)

  • 김지상;문갑순;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42-649
    • /
    • 2006
  • 본 연구는 전통적 방법으로 간장 및 어육장을 제조하고 담근 용기는 투명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숙성온도(4$^{\circ}C$, 20$^{\circ}C$)와 숙성 기간(360일)에 따라 색도 및 갈색색소의 패턴을 측정하여 간장과 어육장의 색소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pH는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났고 간장 5.52${\sim}$6.26, 어육장 5.11${\sim}$6.13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20$^{\circ}C$에서 어육장은 숙성기간에 따른 pH의 현저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42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시료 종류와 숙성 온도에 상관없이 숙성 기간 180일까지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가장 높은 흡광도는 간장 4$^{\circ}C$(240일), 어육장 20$^{\circ}C$(360일), 간장 20$^{\circ}C$와 어육장 4$^{\circ}C$의 경우 숙성 180일에 나타났다. 흡광도 400/500 nm에 대한 흡광 비율은 간장 4$^{\circ}C$(1.37${\sim}$5.29), 간장 20$^{\circ}C$(1.37${\sim}$5.02), 어육장 4$^{\circ}C$(1.37${\sim}$5.02), 어육장 20$^{\circ}C$(1.37${\sim}$4.32)의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기간 증가에 따라 간장의 경우 비율이 일정하지 않았으나 어육장 20$^{\circ}C$는 300일까지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계 측정 결과 L값은 간장의 경우 숙성 기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4$^{\circ}C$(240일), 20$^{\circ}C$(180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이후 숙성기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어육장의 경우 4$^{\circ}C$(60일), 20$^{\circ}C$(360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값은 어육장 20$^{\circ}C$를 제외한 간장에서 숙성기간 120일까지 녹색도가 커졌으며, 특히 간장 20$^{\circ}C$, 어육장 4$^{\circ}C$는 120일 이후 녹색도가 작아지는 경향으로 모든 시료에서 음의 값이 나타나 적색보다는 녹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b값은 간장 20$^{\circ}C$과 어육장 4$^{\circ}C$는 180일까지 증가하였으나 숙성 기간에 따른 b값은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UV-VIS Spectra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가 숙성기간에 상관없이 220${\sim}$320 nm 부근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다. 간장 4$^{\circ}C$(240일), 20$^{\circ}C$(180일), 어육장 4$^{\circ}C$와 20$^{\circ}C$는 360일에서 가장 높은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으며 220${\sim}$320 nm에서 완만한 peak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model melanoidin의 특성은 간장 4$^{\circ}C$(240일), 20$^{\circ}C$(120${\sim}$300일), 어육장 4$^{\circ}C$(360일), 20$^{\circ}C$(240일)에서 나타나 어육장이 간장보다 melanoidin 형성 기간이 길며, 어육장 20$^{\circ}C$에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melanoidin 색소 특유의 패턴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aillard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유도체(2.4-DNPH)와 3DG 함량을 측정한 결과 유도체(2.4-DNPH) 함량범위는 간장 4$^{\circ}C$(0${\sim}$14.36 mg), 20$^{\circ}C$(0${\sim}$11.76 mg), 어육장 4$^{\circ}C$(0${\sim}$12.48mg), 20$^{\circ}C$(0${\sim}$8.56 mg)으로 나타났으며 3DG 함량범위는 간장 4$^{\circ}C$(0${\sim}$5.65 mg%), 20$^{\circ}C$(0${\sim}$5.34 mg%), 어육장 4$^{\circ}C$(0${\sim}$3.74 mg%), 20$^{\circ}C$(0${\sim}$3.01 mg%)으로 어육장보다는 간장의 3DG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어육장의 갈색 색소 형성이 간장의 갈색색소 형성과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장 부패균의 생육에 미치는 Astradix-P의 영향 (The Effect of Astradix-P on the Growth of Yeast for Putrefing Soy Sauce)

  • 이귀주;김상달;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1
    • /
    • 1974
  • 항효모성 물질인 Astradix-P가 간장 유해효모에 대해서 나타내는 항균효과를 조사한 바 통상적인 효모배지에 유효농도의 Astradit-P를 첨가하였을 때는 효모의 증식이 조해되나 간장을 첨가한 효모배지에서는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본 Astradix-P가 간장부패에 대한 보존효과는 전연 기대할 수 없다고 본다. 이와같이 간장에 Astradix-P를 첨가하여도 그 효과를 얻지 못하는 이유는 간장중에 함유되어 있는 basic amino acid 인 arginine, histidine, lysine 등이 Astradix-P에 길길적으로 작용하여 비활성화시키는 결과라고 추측된다.

  • PDF

학교급식에서 사용되는 간장의 유형 및 안전성 연구

  • 김영성
    • 대한위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위생학회 2004년도 심포지움
    • /
    • pp.95-105
    • /
    • 2004
  • 정부의 방침에 따라 학교급식을 실시하는 학교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따라서 일생에 있어 건강의 기초를 형성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는 초$\cdot$$\cdot$고등학교 시기의 학생들은 학교급식을 통해 식생활을 영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한국인의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간장은 우리나라 조미식품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데 화학적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산분해간장의 위해성에 대한 논란이 그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학교급식을 통해 성장기를 지내고 있는 초$\cdot$$\cdot$고등학교 학생들이 섭취하고 있는 간장의 종류를 조사하여 학교급식을 통한 안전성 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노원구 및 경기도 의정부시의 초$\cdot$$\cdot$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양조간장의 사용 율이 $46.3\%$로 가장 높았고 혼합간장 $4l/8\%$, 산분해 간장$11.9\%$의 사용 율을 보였다.

  • PDF

새우 부산물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의 제조 및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Teriyaki Sauce Processed with Shrimp Remnants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조은혜;김경묘;이양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4-196
    • /
    • 2011
  • 본 연구는 새우 육을 분리하고 남은 부산물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한 데리야끼 소스에서 추출한 향기성분을 이용하여 상품 가치를 극대화하고 특별하고 독특한 맛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소스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데리야끼 소스 제조방법인 장어뼈를 이용한 데리야끼 소스와 새우 부산물 데리야끼소스의 비교에서 주재료는 동일시하고 간장을 다르게 첨가해 제조한 데리야끼 소스의 품질 평가 비교에서는 국내산 M간장으로 제조한 소스가 일본산 G간장을 이용한 소스보다 단맛과 어취가 다소 강하게 나타났으며 짠맛, 쓴맛은 일본산 G간장을 사용한 소스가 더 강하였지만 소스의 표면 광택과 간장 자체에 대한 향과 전체적인 선호도는 국내산 M간장보다 더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석장(간장소금)의 이화학적 특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eok-jang)

  • 황수정;김예슬;강귀훈;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5-5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석장(간장소금)의 이화학적특성을 연구하여 새로운 소금소재로써의 적합성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H는 석장이 7.76으로 가장 높았으며, 천일염은 6.40, 간장이 4.35 순서로 낮았다. 환원당은 천일염이 0.052%로 0.045%의 석장보다 약간 높았으며 간장은 2.389%를 나타내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천일염이 $11.67^{\circ}Brix$, 석장이 $11.87^{\circ}Brix$로 석장이 천일염보다 조금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간장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58.13^{\circ}Brix$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천일염 0.68%, 석장 0.69%, 간장 3.74%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불용성분 및 사분은 식품공전상의 규격에 준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천일염의 색도 $L^*$, $a^*$, $b^*$ 값은 각각 85.87, 0.52, 4.36을 나타내었고 석장은 58.86, 6.19, 18.2의 값을 나타내어 적색도와 황색도에서 더욱 높은 값을 띠었다. 무기질 함량에서 Mg은 천일염이 제일 높게 나타내었으며, 석장의 P, Na, Fe 및 Al 함량이 천일염과 간장보다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으며, 또한 Ca 함량은 천일염과 석장이 5.17 ppm과 5.18 ppm으로 간장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중금속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식품공전의 규격을 모두 충족하였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석장은 간장의 가용성 고형분 및 melanoidin 색을 띠는 적색도와 황색도의 특성을 모두 보유하여 간장 소스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되며, 또한 석장의 환원당, 아미노태 질소, 불용성분 및 사분 등 함량이 천일염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이에 반해 무기질 중 Fe 함량이 아주 풍부한 것으로 보아 새로운 소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약용식물 추출물을 첨가한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Herbs Ganjang)

  • 심성례;유근영;김원;전삼녀;서혜영;한규재;김준형;송현파;조남철;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3-25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간장을 개발하고자 기능성 간장을 제조하여 일반 간장과 특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일반 간장과 3% 및 5%의 약용식물 추출물을 첨가한 기능성 간장에 대한 일반성분 분석결과, 성분 조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향기성분 분석 결과, 일반 간장과 기능성 간장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추출물에서 유래된 paeonol과 senkyunolide A 및 cnidilide들이 기능성 제품에서도 관찰됨으로써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간장의 개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관능검사에서는 각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지 않아 약용 식물추출물이 관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체적으로 약용식물 추출물 3% 첨가와 5% 첨가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기능성 간장 제조 시 3% 첨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