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이예측모델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of Simple Prediction Model for Fillet Welding Deformation (필릿 용접변형에 대한 간이 예측 모델 개발)

  • 김상일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40 no.2
    • /
    • pp.49-56
    • /
    • 2003
  • The welding deformation of a hull structure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is Inevitable at each assembly stage. The geometric inaccuracy caused by the welding deformation tends to preclude the introduction of automation and mechanization and needs the additional man-hours for the adjusting work at the following assembly stage. To overcome this problem, a distortion control method should be applie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ccurateprediction method which can explicitly account for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the welding deformation. The validity of the prediction method must be also clarified through experiments. This paper is aimed at deriving the simple prediction model for fillet welding deformations. For this purpose, the thermal elasto-plastic analysis varying the welding conditions and plate thickness has been performed. On the basis of numerical results, the formulae for angular distortion and transverse shrinkage have been deriv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Experimental work has been also carried out to clarify the validity of numerical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numerical results show a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experiments

Non-Fourier 열전달에 대한 소고

  • 김우승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8
    • /
    • pp.735-744
    • /
    • 1991
  • 확산모델과 파모델의 결과에 있어 큰 차이가 일어나는 경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과도기 간이 짧다. 2) 작동온도가 아주 낮다. 3) 온도구배가 상당히 크다. 이때3)의 경우는 서로 다른 물질들이 접촉된 경우 또는 높은 열유속이 있는 경우 또는 얇은 표면층 등을 갖는 문제들의 공 통적인 특징이다. Non-Fourier 열전도 문제를 이용해 온도 분포를 예측해야 하는 실제적인 몇 가지 예를 살펴 보면 레이저 기술 또는 절대온도 영(zero)에 접근하는 온도에서의 액체 헬륨을 다루는 저온공학연구 또는 1/$10^{6}$Inch 정도의 표면조도가 관심사인 정밀공학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당히 높은 강도의 열원이 작용될 때 고체에서의 크랙이나 보이드(void) 같은 국소 결함은 확산거동이 나타나기에 요구되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 구간에서 발생되어질 수 있으며, 크랙발생의 방향과 같은 것들은 hyperbolic 모델에의해 예측되어져야만 한다. 특히 움직이는 열원 또는 propagating crack tip을 갖는 경우에 그들 주위에서의 온도장을 규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 수는 열마하수 M이며, 아음속에서 초음속 영역으로 천이될 때 물리적 양들의 변화에 있어서 일어나는 현상들은 열충격의 형성에 기인하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확산 모델로서는 예측될 수 없는 특징들이다. 이상에서 살펴볼 때 non-Fourier 모델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Simple Prediction Model for V-groove butt welding deformation (V-개선 맞대기 용접변형에 대한 간이 예측 모델 개발)

  • 김상일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41 no.2
    • /
    • pp.106-113
    • /
    • 2004
  • The block assembly of ship consists of a certain type of heat processes such as cutting, bending, welding, residual stress relaxation and fairing. The residual deformation due to welding is inevitable at each assembly stage. The geometric inaccuracy caused by the welding deformation tends to preclude the introduction of automation and mechanization and needs the additional man-hours for the adjusting work at the following assembly stage. To overcome this problem, a distortion control method should be applie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ccurate prediction method which can explicitly account for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the welding deformation. Systematic and quantitative theoretical works to clarify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the welding deformation have rarely been foun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such as welding process and gravity on the butt welding deformation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a number of numerical analyses.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a simplified analysis method to predict the butt welding deformation in actual plate structure. For this purpose, a simple prediction model for butt welding deformations has been derived based on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mplified analysis method has been applied to some examples to show its validity.

Environmental Analysis in Rain Shelters with Crop Cultivation (작물재배를 고려한 간이시설의 환경특성 분석)

  • 손정익;김문기;권영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5.10a
    • /
    • pp.93-96
    • /
    • 1995
  • 비가림 시설은 대표적인 간이시설로써 시공이 간편하며 강우차단 효과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 기대되는 등 경제성 높기 때문에 하절기 재배에 많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비가림 시설(관행형태 및 재량형태)의 형태별 효율성 평가를 위하여 적정 외부 풍속 및 일사량 조건에 대하여 각 시설의 환기율 및 실내온도 등을 포함한 환경해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설내의 공간을 재배중인 작물의 형태에 따라 몇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시설내의 환기저항을 고려한 시설의 환기량 및 실내온도 예측이 가능한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비가림 시설의 효율성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중략)

  • PDF

Prediction and Control of Welding Deformation for Panel Block Structure (평 블록 구조의 용접변형 예측 및 제어)

  • Kim, Sang-Il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2 no.6
    • /
    • pp.95-99
    • /
    • 2008
  • The block assembly of ship consists of a certain type of heat processes such as cutting, bending welding residual stress relaxation and fairing. The residual deformation due to welding is inevitable at each assembly stage. The geometric inaccuracy caused by the welding deformation tends to preclude the introduction of automation and mechanization and needs the additional man-hours for the adjusting work at the following assembly stage. To overcome this problem, a distortion control method should be applie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ccurate prediction method which can explicitly account for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the welding deformation. The validity of the prediction method must be also clarified through experiments. This paper proposes a simplified analysis method to predict the welding deformation of panel block structure. For this purpose, a simple prediction model for fillet welding deformations has been derived based on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simplified analysis method has been applied to some examples to show its validity.

Prediction of Residual Deformation and Stress Distribution for a Thermo-Elastic-Plastic Beam Using a Simplified Numerical Analysis (간이 수치해석에 의한 열탄소성보의 잔류변형 및 응력분포의 예측)

  • S.H. Jun;K. Choi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3 no.3
    • /
    • pp.22-34
    • /
    • 1996
  • Regarding the plate bending process by line heating method, in this study a simplified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for a beam model to predict its residual deformation and stress distribution. Using the modified strip theory and beam finite element method, a PC-based simulation program is developed for a thermo-elastic-plastic beam. The plate bending problem can be approximately replaced by a beam model using distributed springs to account for the effect of adjacent strips. The spring constants are chosen as the best fit with experiments. In this paper, it is assumed tha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s already given and the temperature-dependent material properties are considered. To verify the simulation program, the results using present numerical algorithm are compared with other published experimental results and similar numerical studies. The comparison shows good agreement. The present PC-based computer program also shows good efficiency in computing time.

  • PDF

1kW RPG design and its stack performance model development (1kW급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설계 및 스택 성능 예측 모델 개발)

  • Kim, Min-Jin;Sohn, Young-Jun;Lee, Won-Y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287-287
    • /
    • 2009
  • 연료전지는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동시에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높고 유해 배기물이 거의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따라서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오늘날, 고효율 친환경의 연료 전지는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보일러와 계통선에서 열과 전기를 공급받는 기존방식에 비해 연료전지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의 경우 20%이상 에너지 절감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 10kW이하의 소용량 발전설비의 경우 대형 발전소와 같은 수준인 30%이상의 전기 효율을 기대할 수 없으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를 적용할 경우 1kW급에서도 35%의 전기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열회수까지 고려할 경우 80%에 가까운 열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4)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이외에, 연료변환장치, 급기설비, 열 및 물관리 설비, 전력변환장치 그리고 제어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연료전지 시스템 성능은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에 가장 의존적인데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은 같은 스택이라도 운전 및 제어 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실제로 연료전지 스택 자체의 전기 변환 효율은 최대 40% 까지로 매우 높으나, 다양한 운전 조건에 따라 효율이 30~40% 수준에서 변화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시스템을 설계할 때에는 종합화된 시스템 측면에서의 운전까지 고려한 설계와 성능 해석이 필요하다. 그간 연료전지를 활용한 가정용 열병합 발전분야에서는 시스템 설계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성능 해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연료전지 스택의 경우 간이화된 성능 모델식을 사용하여 이로 인한 성능 예측모델의 오차가 크게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 최적화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설계 개발하였으며 이 중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모델을 실험기반으로 구축하였다. 먼저 가정용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설계는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되며 이는 1) 시스템 개념 설계, 2) 연료전지 스택 설계, 3) 주변장치 설계, 4) 제어시스템 설계로 이뤄진다.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모델은 고분자연료전지의 성능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스택 성능을 예측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으며 이는 간단한 이론 모델의 구조에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기법으로 이뤄졌다.

  • PDF

Digital twin river geospatial information, water facility modeling, and water disaster response system (디지털 트윈 하천 공간정보 구축, 시설물 모델링 및 수재해 대응 시스템 구축 사례)

  • Park, DongSoon;Yoo, Hojun;Kim, T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6-6
    • /
    • 2022
  • 최근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물관리 환경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피해 심화와 댐과 하천 시설의 노후화 점증, 하천관리일원화 등 정책적 변화, 그리고 포스트코로나 디지털 혁신 등 복합적 대전환 시대 진입에 따라 복잡다단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디지털 트윈은 디지털 대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지능화와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본 국가 시범사업에서는 170 km에 달하는 섬진강 유역 전체를 대상으로 홍수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K-Twin SJ)을 구축하고 있다. 본 플랫폼은 국가 인프라 지능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공간정보와 시설물 모델링, 홍수 분석 등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수자원 분야의 다학제적인 강소기업들과 K-water에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의 내용은 섬진강 댐-하천 유역에 대하여 고정밀도 3D 공간정보화, 실시간 물관리 데이터 연계, 홍수 분석 시뮬레이션, AI 댐 운영 최적화, AI 사면 정보 생성, 하천 제방 안전성 평가, AI 지능형 CCTV 영상분석, 간이 침수피해 예측, 드론 제약사항 조사 체계 개발을 포함하고 있다. 물관리 데이터와 하천 시설정보를 트윈 플랫폼 상에서 위치기반으로 시각화 표출하기 위해서는 유역의 공간정보를 3차원으로 구축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GIS 기반의 섬진강 하천 중심 공간정보 구축을 위해 유역의 국가 정사영상과 5m 수치표고모형(DEM)은 최신성과를 협조 받아 적용하였으며, 홍수 분석을 위한 하천 중심 공간정보는 신규 헬기에 LiDAR 매핑을 수행하여 0.5m 급 DEM을 신규 구축하였다. 또한 하천 시설물 중 섬진강댐과 79개 주요 하천 횡단 교량과 3개 보 시설을 지상기준점 측량과 드론 매핑, 패턴 방식의 경량화 작업을 통해 트윈에 탑재할 수 있는 시설물 3D 객체 모델을 제작하였다. 홍수 분석을 위해서는 섬진강 유역에 대해 K-Drum, K-River, K-Flood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AI 하천 수위 예측 학습 모델을 개발하였다. 섬진강 디지털 트윈 유역 물관리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똑똑한 물관리를 구현하고자 한다.

  • PDF

Warpinging and Budding Prediction Model of Wooden Hollow Core Flush Door due to Moisture Content Change (II) : Simple Method of LMC and MOE, and Monte Carlo Simulation for Calculating Reject (목제(木製) 프러쉬 문의 함수율 변동에 따른 틀어짐과 좌굴 예측모델 (II) : 치수변동과 탄성계수의 간이측정법과 불량율 예측 Monte Carlo 시뮬레이션)

  • Kang, Wook;Jung, Hee-S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8 no.1
    • /
    • pp.18-27
    • /
    • 2000
  • Even the same materials are assembled in flush door skin panel, warping is not simply prevented under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since wood and wood-based material have large variations in their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parameters such as linear movement coefficient(LMC), modulus of elasticity (MOE), required to predict warping could be estimated by oven drying method and dynamic method instead of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ASTM) procedure. The relationship between warping and LMC was curvilinear, while it between warping and MOE was linear. LMC had a larger effect on warping than MOE. Material propensity of skin panel such as hardboard and plywood showed normal distributions. The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ies, however, was much larger in plywood than in hardboard. Monte Carlo simulation also indicated that rejection ratio of flush door due to the occurrence of warping could be predic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of warping and parameters of probability distribution of MOE, LMC, and moisture cont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