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섬유화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7초

천연식물추출물(RIP)이 쥐의 간섬유화 치료에 미치는 영향 (Therapeutic Effects in the RIP-treated liver Fibrosis Rat Model)

  • 조수현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8권2호
    • /
    • pp.41-59
    • /
    • 2006
  • Chronic liver diseases and hepatic cancer have been reported as 10% of cause of death in Koreans. Regardless of various causes, chronic liver disease accompanies commonly hepatic fibrosis. But still the mechanism of hepatic fibrosis remains poorly understood. Using the dimethylnitrosamine(DMN)-induced hepatic fibrosis rat model, We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le therapeutic effect of RIP(extracts of Phellodendron amurense and Patrinia scabiosaefolia)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referential connective tissue proteins($TGF-{\beta}_1$, ${\alpha}$-smooth muscle actin, and vimentin) as a marker of fibrogenesis. For these purposes, liver tissues were stained with H & E, and Azan staining for estimation of developing fibrosis. In the DMN-treated rat liver tissue, fibrosis were developed forming incomplete septal fibrosis. Whereas, in the RIP-treated rat liver tissues, the fibrosis were decreased recovering to normal morphology. The expressions of $TGF-{\beta}_1$, ${\alpha}$-smooth muscle actin($\alpha-SMA$), and vimetin were increased in the DMN-treated rat liver tissues, but decreased in the various areas of RIP-treated rat liver tissu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RIP could be a possible therapeutic agent to reduce hepatic fibrosis, and the $TGF-{\beta}_1$, ${\alpha}$-SMA, and vimentin could be possible indicative markers of hepatic fibrosis development and recovery.

  • PDF

간질환 종류에 따른 비침습적 간섬유화 평가법의 유용성 분석 : C형 간염 보균자 중심으로 (Analysis on Usefulness of Non-invasive Liver Fibrosis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Liver Disease : Focused on Hepatitis C patients)

  • 남지희;김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5호
    • /
    • pp.345-350
    • /
    • 2019
  • Liver biopsy is the gold standard for diagnosing liver fibrosis, but it is invasive and has a risk for complications. For this reason, recently, stud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non-invasive liver fibrosis evaluation method. But, there is no established standard for the type of diffuse liver disease. Therefore, this study was suggest the usefulness and cut-off values of Fibroscan, FIB-4, APRI and AAR of patients with hepatitis C in Korea. According to the diagnosis, 240 people in hepatitis C are classified into fatty liver, chronic hepatitis, and liver cirrhosi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ANOVA to verify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ROC curve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usefulness and practical cut-off value. As a result, for all diseases, the AUC value for Fibroscan was 0.8 over and the APRI was 0.7 over. Cut-off value of serum based liver fibrosis markers was increased in order of fatty liver, chronic hepatitis and liver cirrhosis. If Fibroscan and serological liver fibrosis markers are applied to predict liver fibrosis, it is expected that excessive liver biopsy can be reduced.

실험적 간섬유화에서 Fat-storing Cell의 미세구조의 변화에 대한 연구 (Ultrastructural Changes of Fat-storing Cells in Experimental Hepatic Fibrosis)

  • 김미진;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224-238
    • /
    • 1992
  • 간 섬유화에서 fat-storing cell의 변화를 미세 구조학적 측면에서 관찰하고자, 사염화탄소를 mineral oil에 녹여 1 : 1로 회석한 후 Kg당 0.5 ml의 용량을 주 2회씩 12주간 흰쥐에 복강 주입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1주 간격으로 도살하고, 적출된 간조직을 광학현미경과 연역조직화학적 검사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학현미경적 소견상 소엽 중심주의 염증 반응 및 세포 침윤 현상은 사염화탄소 투여 후 1주부터 나타나서 4주 째 가장 심하였으며, 이시기에 desmin염색 반응 양성세포의 수도 증가되었다. 괴사 및 섬유화는 2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6주부터 결절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괴사성 병변은 8주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세포 침윤 정도는 감소되면서 desmin에 대한 반응성도 낮아졌고, 경변성 변화는 10주 이후부터 나타났다. 전자현미경적 소견상 fat-storing cell의 숫적 증가는 1주부터 관찰되었으며 지방적이 감소하고 rER이 팽창된 이행세포는 2주째 출현하여 4주에 가장 현저히 증가되었다. 섬유아세포는 3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rER이 확장되었으며 지방적은 없거나 1-2개의 소적이 세포돌기에서 관찰되었다. 섬유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행세포 및 fat-storing cell은 감소하고 섬유아세포는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fat-storing cell은 간섬유화 과정에서 활성화되고 증식하여 형태학적으로 이행세포 및 섬유아세포로 전환함으로써, 정지상태에 있는 섬유아세포의 전구체로서 간섬유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백서의 총담관 결찰에 의한 간 섬유화의 초미세구조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Ultrastructur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Hepatic Fibrosis after the Lig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n Rats)

  • 문경래;노영일;서우철;박영봉;김만우;서재홍;박상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185-193
    • /
    • 1999
  • 목 적: 답즙 정체를 주 소견으로 하는 만성 간질환의 대부분에서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가 관찰된다. 특히 간외 담도 폐쇄증에서 가장 현저하다. 그러나 섬유화의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총담관 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의 진행과정 및 간섬유화에 대한 Ito 세포의 역할을 형태학적으로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건강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총담관을 결찰한 후 15일, 21일, 24일, 28일째에 도살하여 담소관의 증식과 간 섬유화의 진행과정을 smooth muscle ac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과 전자현미경적 검사를 하였다. 결 과: 1)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간문맥 중심으로 담소관의 증식과 결체조직의 증식이 증가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에서 활성화된 Ito 세포는 smooth muscle actin에 양성반응을 보였고,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담소관주위와 동모양혈관 주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3)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총담관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Ito 세포가 증가하였으며, 지방적의 수가 감소한 근섬유모 세포를 닮은 Ito 세포와 근섬유모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다. 결 론: 총담관 결찰후에 볼 수있는 간 섬유화는 활성화된 Ito 세포의 증가와 Ito 세포가 교원질을 분비하는 근섬유 모세포로 변형되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009의 간섬유화 억제효과 검색

  • 김재백;손동환;김기영;박은전;김수웅;이승룡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02-202
    • /
    • 1994
  • G009의 hepatic cirrhosis animal model중 bile duct ligation/scission (BDL/S) rat에서의 항섬유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BDL/S 수술 후 4주간 투약군에는 G009 saline soln.(5mg/rat/day)을, 대조군에는 saline을 경구투여하였다. fibrosis가 최고에 달하는 4주후 rat를 도살하여, 혈청중 N-terminal procollagen type III peptide(PIIINP) level, 간 조직중 hydroxy proline content, serum biochemical value(ALT, AST, choleterol, total bilirubin, creatinine) 측정 및 간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혈청중 PIIINP의 경우, 투약군 BDL/S group(10.3ng/ml$\pm$2.2)이 대조군 (20.5ng/m1$\pm$3.9)에 비해 약 50%정도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1). 2) 간 조직중 hydroxy proline치 측정 결과, 투약군 BDL/S group(471$\pm$160$\mu\textrm{g}$/g liver)이 대조군(566$\pm$42.9$\mu\textrm{g}$/g liver)에 비하여 약 13%정도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p<0.05). 3) 간조직검사 결과 투약군의 BDL/S op. group이 대조군보다 necrosis, inflammetion, bile duct proliferation, connective tissue 침착 등이 약화되었다. 위 실험을 종합한 결과 G009는 biliary cirrhosis model에서 antifibrotic effect가 있음이 사료된다.

  • PDF

Superparamagnetic Iron Oxide-Enhanced MRI를 이용한 간섬유화의 평가: 영상의학적 비침습적 간섬유화 지표가 AST/혈소판 비와 상관 관계가 있는가? (Evaluation of Fibrosis in Liver Cirrhosis by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SPIO)-Enhanced MR Imaging: Does the Radiological Non-Invasive Fibrosis Index Correlate with the Laboratory Non-Invasive Fibrosis Index?)

  • 김신기;이창희;김경아;최재웅;이종미;박철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2호
    • /
    • pp.115-122
    • /
    • 2008
  • 목적: SPIO-enhanced MRI상에서 얻은 radiological non-invasive hepatic fibrosis index (RNHFI)와 AST/혈소판 비(AST to platelet ratio index, APRI)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5년동안 SPIO-enhanced MRI를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을 간경변 집단과 비(非)간경변 집단으로 분류했다. PACS를 이용, 각 환자의 SPIO-enhanced MRI에서 RNHFI (간실질 신호강도 표준편차의 평균(SD), 잡음교정 변이계수(CV))를 산출했고, 각 환자의 실험실 검사 결과를 이용, APRI를 산출했다.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두 집단간의 RNHFI와 APRI의 차이를 비교했다. 각 집단에서, RNHFI와 APRI간의 이변량 상관분석을 시행했다. 결과: 간경변 집단에서, SD, CV의 평균은 각각 $10.3{\pm}3.7$, $0.19{\pm}0.08$였다. 비간경변 집단에서, SD, CV의 평균은 각각 $6.5{\pm}1.6$, $0.08{\pm}0.05$였다. 두 집단의 평균 APRI는 각각 $2.04{\pm}1.7$, $0.32{\pm}0.32$였다. RNHFI와 APRI는 두 집단 사이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간경변 집단에서, SD와 APRI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5, p<0.001). 결론: SD값이 간섬유화의 간단하고 유용한 예측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 추출물의 간섬유화 억제활성 (Suppressive Activity of Extract of Termialia chebula Retz. on Hepatic Fibrosis)

  • 이현순;구윤창;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97-601
    • /
    • 2009
  • 간성상세포(HSC)는 간섬유화와 간경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간손상에 의해 둥근 모양의 간성상세포는 활성화되어 세포외기질(ECM)을 생산하는 myofibroblast와 같은 모양으로 활성화 된다.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의 특징은 빠른 증식 속도와 collagen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생산이다. 활성화된 간성상 세포의 제거방법은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이다. 가자 추출물은 정상 간세포(rat primary hepatocyte), 간세포주(HepG2) 및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주인 T-HSC/Cl-6에 $1,000{\mu}g/mL$의 농도까지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hepatocyte나 HepG2에서는 최고 농도에서도 독성이 없었으나 T-HSC/Cl-6는 U-shape 모양으로 사멸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T-HSC/Cl-6의 사멸이 apoptosis에 의한 것인지를 Annexin-V/PI double staining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apoptosis에 의해 T-HSC/Cl-6의 사멸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흰쥐의 간독성에 미치는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of Protaetia brevitarsis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the Mice)

  • 전정우;권해용;조유영;여주홍;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93-100
    • /
    • 2012
  • 본 연구는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질과산화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일차배양한 간세포와 간독성 흰쥐에서 GPT, bile acid, bilirubin 등의 활성 지표를 통해 간독성 회복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일차배양 간세포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하늘소 추출물의 간독성 회복효과는 각각 41.2%와 8.4%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간독성 회복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 추출별로는 흰점박이꽃무지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간독성 회복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독성이 유도된 흰쥐에 흰점박이꽃무지 물추출물 분획별로 처리하였을 때, 분자량 낮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분자량이 1,000이하의 분획물에서 32.1%로 간독성 회복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흰쥐에 사염화탄소를 복강투여로 간독성을 유발한 후 흰점박이꽃무지 물분획물을 경구투여할 경우에 혈청 GPT, bile acid와 bilirubin의 활성이 정상군보다는 높았지만 사염화탄소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섬유화와 관련된 hydroxyproline의 생성 억제에서는 분자량이 1000이하의 분획물에서 사염화탄소군보다 유의성 있게 생성을 억제하여 간섬유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중심정맥 쪽에 아주 경미한 허혈성 변성 이외에는 다른 병변을 찾을 수 없었고 세포내에 organelle이 유지된 편이고 콜라겐 형성이 매우 많이 줄어들어 병리조직학적으로도 간보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간독성 지표 활성을 긍정적으로 결과를 확인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간질환 치료보조제나 건강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백굴채(白屈菜)가 간섬유화 과정 중 간성상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ater Celandine (Chelidonium majus L.) on Rat Hepatic Stellate Cells with Liver Fibrosis)

  • 이홍일;김영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4-518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fibrogenic effect of greater celandine on cultured rat hepatic stellate cells. Materials and Methods : Hepatic stellate cells (HSC-T6)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reater celandine extract for 24, 48, and 72 hours. The extraction was done with distilled water. After the treatment, cell viability, proliferation, mRNA of the ${\alpha}SMA$, TIMP-1, TIMP-2, collagen I ${\alpha}$ 1, MMP-2, IL-6, TGF-${\beta}1$, PDGFr-${\beta}1$, Bcl-2, Bax, Bcl-xl, caspase-3, caspase-9 and the activities of SOD and catalase were measured by using MTT assay, BrdU assay, real-time PCR, superoxide dismutase assay and catalase assay. Results : The viability, proliferation, mRNA expression and synthesis of collagen of the hepatic stellate cells were inhibit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which indicates the herb has an inhibitory effect on fibrogenesis of the liver by regulating the fibrosis associated genes in transcript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eater celandine would be beneficial in the treatment of fibrotic patients as well as for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