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격비

검색결과 2,575건 처리시간 0.031초

Experiments of flowfield of a square prism having a front vertical plate (정면에 수직 평판을 가진 정방형주의 유동장 특성실험)

  • Ro, Ki-Deok;Jo, Dong-Bae;Yoon, Young-Jun;Park, Seo-Ji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7호
    • /
    • pp.900-908
    • /
    • 2014
  •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fields of a square prism having a small vertical plate at the upstream side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of fluid force on the square prism and by visualization of the flow fields using PIV. The experimental parameters were the width ratios(H/B=0.2~0.6) of vertical plates to the prism width and the gap ratios (G/B=0~3) between the prism and the vertical plate. The drag reduction rate of the square prism was increased with H/B in case of the same G/B, and was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with G/B in case of the same H/B. The lift reduction rate of the square prism was hardly not affected by the width and gaps ratios, the average value was about 48.1%. In case of a square prism having a small vertical plate, the stagnation regions were represented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the square prism.

Digital Conversion Error Analysis in a Time-to-Digital Converter (시간-디지털 변환기에서 디지털 변환 에러 분석)

  • Choi, Jin-Ho;Lim, In-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0-521
    • /
    • 2017
  • The converted error is occurred by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interval signal and the clock in a Time-to-Digital Converter of counter-type. If the clock period is $T_{CLOCK}$ the converted error is a maximum $T_{CLOCK}$ by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start signal and the clock. And the converted error is a maximum $-T_{CLOCK}$ by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stop signal and the clock. However, when the clock is synchronized with the start signal and the colck is generated during the time interval signal the range of converted digital error is from 0 to $(1/2)T_{CLOCK}$.

  • PDF

Numerical analysis according to evaporator type (증발기 형태에 따른 수치적 해석)

  • Kim, Dae Yeong;Kim, Moon Ki;Yun, Hong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03-103
    • /
    • 2017
  • 증발기의 형태에 따라 수치적 해석을 진행하면서 최적의 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증발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증발기의 수치적 해석은 EE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계산의 검증은 자사의 제품의 성능과 비교하면서 검증하였다. 증발기의 수치적 해석의 구성은 지배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이용하여, 냉매의 총괄열전달계수, 관내외벽의 열전도율, 공기의 총괄열전달계수를 이용하여 총괄열전달계수를 계산하였으며, 총괄열전달계수를 이용하여 증발기의 열량을 계산하였다. 증발기의 수치적 해석과 자사 제품 5개의 제품과 비교하였고, 평균적으로 약 10%의 오차율을 보였다. 신뢰성이 확보된 계산식을 이용하여 Fin의 간격, 단위 질량유량, 열 교환 코일 길이, 풍량의 조건을 각각 변동시켜 증발기 열량 비교를 하며 경향성을 고찰하였다. Fin의 간격을 1mm에서 20mm으로 0.5mm 간격으로 변화 시켰을 경우, 핀 간격이 좁으면 공기 유속이 빨라져 열 교환 효율이 낮아지며, 반대로 넓어지면 냉매 유량에 비해 공기 유량이 많기 때문에 열 교환 효율이 낮아진다. 열 교환 코일 길이를 500mm에서 2400mm으로 50mm 간격으로 변화 시켰을 경우, 열 교환 코일 길이가 길어질수록 배관의 마찰력과 냉매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공기 온도와의 온도 차이가 줄어들어 열 교환 효율은 낮아진다. 풍량을 20cmm에서 400cmm으로 10cmm 간격으로 변화 시켰을 경우, 일정 풍량 이상 올라가면 공기 유속이 빨라져서 열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질량유량을 3g/sec에서 174g/sec으로 4.5g/sec 간격으로 변화 시켰을 경우, 질량 유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열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일정 질량 유량 이상에서는 공기 풍량에 비해 냉매 유량이 많기 때문에 반비례적으로 열량이 낮아진다. 이처럼 증발기의 설계는 Fin 간격, 열 교환 코일 길이, 풍량, 질량유량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증발기 설계를 해야 하며, 저장고의 크기, 부하, 사용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증발기를 설계하여야 한다.

  • PDF

Analysis of Effective Discharge for Hydraulic,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Rivers with High Coefficients of River Regime (하상계수가 큰 하천의 수리적, 지형학적 특성에 따른 유효유량 분석)

  • Jang, Eun-Kyung;Kwon, Yong-Sung;Kim, Nam-Il;Ji, 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9-413
    • /
    • 2011
  • 유효유량이란 수년에 걸쳐 연 유사량의 대부분을 이동시키는 유량으로 정의되며 유량-빈도분포곡선과 유사량 곡선을 이용하여 산정된다. 유효유량은 하도를 설계하거나 기존 하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기준유량이 될 수 있는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현재 국내의 경우 이에 대한 분석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아 특정한 패턴을 도출하기 힘든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하천은 연강수량의 약 70%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기후적 특성의 영향으로 하상계수가 미국과 유럽에 비해 10에서 25배 크게 나타나 외국사례를 국내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하도복원이 계획 또는 진행되어 유효유량 산정이 필수적이며 하상계수가 매우 큰 만경강, 청미천, 함평천을 대상하천으로 선정하여 유효 유량을 산정하고 수리적, 지형학적 특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효유량을 계산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유량빈도 간격 수와 유량빈도 간격의 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효유량 산정을 위한 유량 간격으로 산술등간격(Arithmeic Bin)과 로그간격(Logarithmic Bin)을 모두 사용하였으며 각각 간격수가 25개, 50개, 100개인 경우에 대해 유효유량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산술등간격과 로그간격을 사용한 유효유량 산정결과 중 최대,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의 평균값을 각 대상하천의 유효유량으로 선정하였다. 수리적, 지형학적 특성에 따른 대상하천 분석 결과 하상계수가 클수록 유효유량이 크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상 경사, 하상토의 중앙입경 크기와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심-하폭비와 사행도의 경우 유효유량과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rovement Effects of Soft Clay Soils with Varying Installation Area Ratio of Quicklime Piles (생석회말뚝 타설면적비의 변화에 따른 연약점토지반의 개량효과)

  • 임종석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제17권5호
    • /
    • pp.37-42
    • /
    • 2001
  • 생석회말뚝공법은 연약점토에 대한 유용한 지반개량공법으로서 그 개량효과는 매우 빨리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생석회말뚝 타설 면적비에 따라 연약점토지반의 함수비나 전단강도 등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철제상자에 연약점토로 모형지반을 조성하고 소요 면적비로 생석회말뚝을 타설한 후 적당한 시간간격을 두고 함수비와 전단강도를 측정하는 실내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면적비가 증가함에 따라 함수비의 감소량과 전단강도의 증가량은 커지지만 면적비가 약 10%를 초과하면 별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같은 면적비에서 생석회말뚝의 지름이 작고 간격이 좁으면 함수비의 감소량과 전단강도의 증가량은 더 크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같은 양을 사용했다면 생석회말뚝공법보다 생석회혼합공법을 적용한 흙의 전단강도 증가량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Consolidation Behavior of the Smeared Soil for Various Spacing Ratios of Vertical Drains (다양한 배수재 간격비에 따른 스미어 발생 지반의 압밀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 Yune, Chan-Young;Kang, Hee-Woong;Jung, Yo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77-87
    • /
    • 2011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ainage spacing and smear on the rate of consolidation and the efficiency of vertical drain method, a series of consolidation tests with a large consolidation chamber and special equipment for inserting mandrels were conducted. As the smeared region increases, total settlement in over-consolidated clay increases whereas apparent change in settlement does not appear in normally consolidated clay. Vertical drain generally accelerates the rate of consolidation, while it could also deteriorate the efficiency of vertical drain method even for the decreasing drainage length and spacing ratio.

Word Segmentation Algorithm for Handwritten Documents based on k-means Clustering (k-평균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필기 문서 영상의 단어 분리법)

  • Ryu, Jewoong;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8-4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필기 문서 영상을 분석하여 단어 단위로 요소들을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인쇄 문서에 비하여 필기 문서에서는 글자 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기자 또는 작성된 언어에 따라 특성이 매우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단어를 분리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로 간주되었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안하는 방법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글자 획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규화시킨 각 연결 요소간 간격과 간격 안에 존재하는 글자 픽셀의 수로 구성된 2 차원의 특징값을 추출하였다. 이 특징값을 바탕으로, 제안하는 방법은 k-평균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각 텍스트라인을 구성하는 연결 요소간 간격을 단어 사이의 간격과 단어 내부 글자간의 간격으로 분류하였다. ICDAR 2013 Handwriting Segmentation Contest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Measurment of Horizontal rebar Spacing in Concrete Specimens Using Radar (레이더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편 내 수평 배근 간격 탐사)

  • 임홍철;김우석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제4권2호
    • /
    • pp.65-72
    • /
    • 2000
  •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진 등으로 손상을 입었을 때 그 내부 상태를 파악하는 일은 구조물의 안전성 판단에 필요한 중요 과정중 하나이다 손상도 파악에 사용되는 비파괴 검사 방법 중 레이더법은 현재 콘크리트 부재의 두께와 매립된 철근 및 공동 탐사에 적용되고 있다 레이더법은 다른 비파괴 검사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측정된 신호의 처리와 해석에 따라 그 결과가 좌우된다 . 이논문에서는 상용 레이더 시스템에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트터를 개선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철근이 매립된 콘크리트 시편에 적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기편의 크기는 1,000mm(길이)$\times$600mm (폭) $\times$140mm(두께) 이고 철근의 매립깊이는 표면으로부터 철근 중심까지 60mm 이다 레이더 실측 실험에서 철근의 수평배근 간격을 60 90, 120, 150 mm 로 변화시켜 간격탐사가능성을 시험하였다 결과적으로 상용 시스템에 비해 샹상된 판별효과를 나타냈으며 배근 간격이 90, 120, 150mm 인 시편에서 그 간격을 정확히 찾아내었다.

  • PDF

Model Tests for Vertical Loads Acting on Embankment Piles (성토지지말뚝에 작용하는 연직하중에 대한 모형실험)

  • 홍원표;강승인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제16권4호
    • /
    • pp.171-181
    • /
    • 2000
  • A series of model tests were performed both to investigate the load transfer by soil acrching in fills above embankment pils and to verify of the theoretical analysis. In the model tests, the piles were installed in a row below the embankment and the cap beams were placed on the pile head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as of the embankment. The space between pile cap beams and the embankment height was focused as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load transfer in embankment fill. When the embankment fill was higher than the minimum required height, which was about 33% higher than the radius of the soil arch proposed by theoretical discussion in the previous study, not only the soil arching could be developed completely but also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The portion of the embankment load carried by model pile cap beams decreased with increment of the space between pile cap beams, while it increased with increment of the embankment height. Therefore, to maximize the effect of embankment load transfer by piles on design, the interval ratio of pile cap beams should be decreased under considerably high embankments by reducing the space between cap beams and/or enlarging the width of pile cap beams.

  • PDF

A segmentation method of abnormal liver using abdominal CT images (복부 CT 영상을 이용한 비정상 간의 세그멘테이션 기법)

  • Seong, Won;Park,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646-648
    • /
    • 2003
  • 일반적으로 복부 CT 영상에서 간암이나 다른 병변들을 갖고 있는 않은 정상 간은 고른 그레이값 분포 범위를 가지고 있다. 그 그레이값 범위는 대개 90 에서 92 사이의 값이다. 그러나. 복부 CT 영상에서 간암이나 여러 병변들을 가지고 있는 비정상간의 경우는 정상간의 경우와 같이 90 에서 92 사이의 일정 간격의 그레이값들만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비정상간의 경우는 병변들로 인하여 건강한 간의 실질 부분의 그레이값만을 나타내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복부 CT 영상에서 간 부분을 세그멘테이션할 때 정상간 부분과 비정상간 부분의 세그멘테이션 방식이 다를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보통 기존에 있는 정상간의 세그멘테이션 기법은 위치 정보와 함께 일정 간격의 그레이값 분포 정보를 이용하여 수월하게 간을 세그멘테이션 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비정상간을 세그멘테이션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간의 위치 정보, 거리 정보를 이용하고 각도선 조절 기법 등을 사용하여 비정상간을 세그멘테이션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세그멘테이션이 어려운 간암 보유 복부 CT 영상에 적용되어 효과적인 간의 세그멘테이션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