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각도 변위 검출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변형측량에서 자유망조정기법의 신뢰성 분석 (A Reliability Analysis of Free- Network Adjustment in the Deformation Surveying.)

  • 유복모;정영동;이석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6-64
    • /
    • 1987
  • 측점으로 이루어진 측량망내에 변위점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변위점검출을 위해 오차타원 및 신뢰타원 개념이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측량망내에서 고정점의 선택과 기하학적 조건의 변화가 미지점 좌표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측점들의 변위를 조사하기 위해 고정망 조정방법과 자유망조정 방법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유망조정에 의한 방법이 수평위치 결정의 정확도 향상과 변위점 검출에 있어 더 신뢰성 있는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비접촉 미소변위 측정 시스템에 대하여

  • 민옥기;김수경
    • 기계저널
    • /
    • 제29권3호
    • /
    • pp.317-325
    • /
    • 1989
  • 광학시 비접촉 미소 변위 계측 장치의 응용예는 앞서 소개한 응용 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즉, 주행 중인 차량 바퀴의 얼라이먼트(alignment) 계측에 이용되기도 하며, 파괴 역학 분야에서 크랙 개구단부(COD)의 변위량 측정에도 이용되며, 충격 역학 분야에서는 변위의 출력 응답 특성이 경시적으로 대단히 복잡하게 변하는 동적 파괴 현상의 원인 규명의 목적으 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더욱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재료 요소 기술 및 센서 기술의 도움으로 앞으로는 이러한 비접촉식 미소 변위 측정 시스템이 보다 더욱 다양하게 사용되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점차 성능 및 가격적 측면에서도 고성능의 계측 시스템을 손쉽게 큰 부 담이 없이 구입 가능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고정도의 물리량의 계측은 꼭 최신의 고가의 장비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과, 이러한 계측 시스템의 활용 시에는 기본 검출 원리 및 특성의 이해와 더불어 각 시험 경우에 따른 측정치에 대한 검증 작업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된다는 점도 아울러 당부하고자 한다.

  • PDF

이중 증분 엔코더에 기초한 초정밀 회전각도 변위 검출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Detecting Angular Bisplacement with High Accuracy Based on the Dual-Encoder)

  • 이세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29-36
    • /
    • 2008
  • An optical rotary encoder is easy to implement for automation system applications. In particular, the output of the encoder has a digital form pulse, which is also easy to be connected to a popular digital controller. By using an incremental encoder and a counting device, it is easy to measure angular displacement, as the number of the output pulses is proportional to the rotational displacement. This method can only detect the angular placement once a pulse signal comes out of the encoder. The angular displacement detection period is strongly subject to the change of the angular displacement in case of ultimate low velocity range. They have ultimate long detection period or cannot even detect angular displacement at near zero velocity.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for detecting angular displacement by using a dual encoder system with two encoders of normal resolution. The angular displacement detecting algorithm is able to keep detection period moderately at near zero velocity and even detect constant angular displacement within nominal period. It is useful for motion control applications in case of changing rotational direction at which there occurs zero velocity. In this paper,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for the angular displacement detection algorithm.

이동물체의 변위 예측을 위한 시간솎음 탐색 방향 알고리즘 (Decimation-in-time Search Direction Algorithm for Displacement Prediction of Moving Object)

  • 임강모;이주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38-34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이동물체의 변위 예측을 위한 시간솎음 탐색 방향 알고리즘 제안하여 고속이동물체의 추적과 속도 측정을 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이동물체의 이동 방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초기 방향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과거 두 프레임에서 이동물체를 검출하고 이동 각도와 이동 거리를 구하여 초기화하였다. 현재 프레임에서 이동물체의 이동 방향은 시간솎음 탐색 방향 마스크를 적용하여 이동물체의 이동 방향을 구하였다. 시간솎음 탐색 방향 마스크는 연속 프레임에서 프레임을 시간 솎음하여 이동물체를 검출하고, 이동물체의 진행방향의 예측은 8 방향 중에서 이동물체의 이동 각도를 구하여 탐색 마스크를 결정하고, 탐색 마스크에 의해 이동물체의 이동 방향을 예측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고속으로 주행 중인 자동차의 추적과 속도를 측정하고,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역탐색기법과 제안된 방법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에서는 이동물체 변위 탐색 횟수가 평균 91.8$\%$ 감소하였고, 추적 처리 시간은 평균 32.1ms 임을 보임으로서 이동물체 추적을 실시간적으로 실행할 수 있음을 보였다.

GNSS 측위방법에 따른 해양조석하중 성분 검출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Ocean Tide Loading Constituent Detection Using GNSS Positioning)

  • 윤하수;최윤수;권재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99-308
    • /
    • 2016
  • 오늘날 우주측지기술은 측위정밀도를 높이고 시간과 비용적 측면에서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정밀측위를 위하여 지구의 물리적 현상을 보정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그 중 해양조석하중의 보정은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과 제주의 조위관측소 GNSS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양조석하중에 의한 수직지각변위를 산출하고 지각변위를 일으키는 각 분조의 조석성분을 검출하였다. GNSS 측위방법과 자료처리 시간에 따른 해양 조석하중 성분 검출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대측위와 정밀절대측위로 GNSS 데이터를 처리하여 주요 8개 조석성분의 진폭을 산출하고 전지구 해양조석하중 모델의 진폭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조석분조 진폭 검출에는 2시간 간격의 자료처리와 정밀절대측위 방법이 해양조석하중 분조 검출에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에는 장기간 자료를 이용하여 장주기 조석성분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개선된 검출 마스크를 이용한 에지추출 방법들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Edge Extract Methods Using Improved Detect Mask)

  • 신충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91-199
    • /
    • 2009
  • 본 논문에서 에지를 검출하기 위해 개선된 에지 검출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며, 정확하고 빠른 검출을 위해서 임계값을 사용한 이진화 영상들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각 방법들의 실험적인 분석을 위해서 기존방법들과 개선된 방법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기존방법들은 소벨, 로버트, 프리위트방법들이다. 그리고 개선된 방법들은 기존 방법들의 마스크 변위를 적용하였다. 개선된 방법들의 장점은 에지들의 침식이 많이 발생하지 않았고, 명확하게 에지를 검출할 수 있었다. 특히, 실험적인 분석을 위해서 의료영상에 그레이 영상을 사용하였고, 명확한 에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결과영상에 대해서 임계값을 적용하였다. 각 방법들의 정량화 된 분석을 위해서 의료영상에 대해서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존 방법들과 개선된 방법들을 다수의 의료영상들의 분석적인 그래프에 적용시켜서 개선된 방법들의 장점을 증명하였다.

  • PDF

균열의 고조파 발생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Harmonics Generation by Cracks)

  • 양승용;김노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573-577
    • /
    • 2009
  • 균열에 초음파가 입사될 경우, 반사파와 투과파가 발생한다. 균열에 의해 발생한 반사파와 투과파는 구조물 내부의 균열을 검출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4가지 균열의 경사각도에 대해 균열주위의 모니터링 포인트에서의 동적변위를 계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푸리에 변환을 적용시켜 균열 주위에서 위치에 따라 주파수 특성이 변하는 경향을 조사하였다. 모델은 2차원 평면응력 경우를 고려하였고,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은 ABAQUS/Explicit을 사용하였다.

경사면을 주행하는 차륜형 역진자를 위한 속도 추정기 기반 제어기 설계 (A Controller Based on Velocity Estimator for a Wheeled Inverted Pendulum Running on the Inclined Road)

  • 이세한;이상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83-28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차륜형 역진자에 적용되는 속도 추정기 기반 제어기 설계와 다양한 수치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차륜형 역진자는 불안정한 평형점과 안정한 평형점을 동시에 갖는다. 불안정한 평형점에 대하여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차륜형 역진자는 지속적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제어기의 입력으로 차륜형 역진자 몸체의 각도, 각속도, 변위 속도 등이 필요하다. 필요한 속도는 모터에 부착된 에코더 신호를 차분하여 얻어지며, 엔코더의 해상도에 민감하게 의존한다. 저해상도 엔코더와 속도 추정기에 기반하여 개선된 속도 검출법이 제안되고 경사면에서 유효함을 보이기 위해서 다양한 수치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사진측량법과 다시점 카메라를 이용한 구조물의 변위계측 (Displacement Measurement of Structure using Multi-View Camera & Photogrammetry)

  • 여정현;윤인모;정영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141-114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목적으로 변위를 감시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진측량 기법은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2차원 이미지로부터 대상물의 정밀한 3차원 형상을 얻어내는 기법으로써 구조물의 변형을 분석하기에 매우 정확하면서도 편리하다. 본 논문은 카메라보정, 표정점(coded target)을 이용한 특징점의 획득, 획득된 특징점의 3차원 복원 및 정확도 분석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논문에서 사용되는 다시점 카메라 각각의 카메라는 일정한 거리와 시차로 배치하였다. 카메라 보정은 다시점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3장의 영상에서 7개 이상의 대응점들로부터 트라이포컬텐서를 구하고 이로부터 유클리드 카메라를 구하는 자기교정(self-calibra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특징점 획득 과정에서, 정확한 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외곽형상으로부터 중심점의 좌표를 정확하게 계산해내는 서브픽셀 기법을 사용하고 패턴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특징점을 자동으로 검출하였으며, 실세계 좌표상에서의 실측값을 구하기 위하여 스케일 바를 사용한다.

  • PDF

촬상단면내의 MRI 체동 아티팩트의 제거 (Cancellation of MRI Motion Artifact in Image Plane)

  • 김응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4호
    • /
    • pp.432-44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촬상단면 내의 평행이동에 기인한 MRI 아티팩트를 제거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으로서, 수렴에 대한 보증이 없는 기존의 반복적인 위상탐색에 의한 알고리즘과는 달리, MRI 촬상원리에 근거한 체동량을 탐색하기 위한 직접적인 방법이 제안된다. 기존의 접근방법에는 x(read out) 방향과 y(phase encoding) 방향의 체동이 동시에 탐색되었다. 하지만 x 방향과 y 방향에 대한 각각의 체동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본 방법에서는 이들의 체동특성의 해석에 기초해서 두 단계의 서로 다른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x 방향과 y 방향의 각 체동이 제거된다. 우선, x 방향의 체동은 MRI 신호의 x 방향 스펙트럼 변위에 해당하고, 그 스펙트럼의 비제로 영역(non-zero area)은 밀도함수의 x축 투영영역과 일치함에 주목한다. 따라서 체동은 스펙트럼의 비제로 영역과 제로영역(zero area)의 경계를 검출함으로써 추정되며, x 방향의 체동은 역방향으로 스펙트럼을 변위시킴으로써 제거된다. 그 다음으로, y 방향의 체동은 그 체동성분과 실제의 화상성분을 분리할 수 있는 구속조건을 적용함으로써 제거된다. 최종적으로 phantom 화상을 사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본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포괄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