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해 학생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in South Korea: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lict norms (초등학생의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의 관련성: 학급 갈등규범의 조절효과)

  • Sim, Jae-Ryang;Park, Jong-Hyo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
    • v.32 no.3
    • /
    • pp.549-56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among schoolchildren and to test whether conflict norms in the classroom moderated this relationship. The analysis used the third year data derived from ClassNet research (Park, et al., 2017)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sample comprised fourth-grade through sixth-grade students in 52 classrooms of 7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N = 1194). A series of multi-level analyses were performed to fulfill the study's purpose using variables obtained by peer nomination, such as social rejection, victimization, bullying perpetration, and teacher-student conflict. The results found that boys experienced more victimization than girls and peer rej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victimization. Furthermore, conflict norms in the classroo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Peer rej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tent of victimization in classrooms with relatively high levels of conflict norms.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n the significance of conflict norm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a focus on ways that teachers can facilitate healthier classroom environments.

A longitudinal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dropping out: Focusing on the change pattern of dropout, changes in school violence and school counseling. (전국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중단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학업중단 변화양상에 따른 유형탐색, 학교폭력 및 학교상담의 변화추이를 중심으로-)

  • Kwon, Jae-Ki;Na, Woo-Y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59
    • /
    • pp.209-234
    • /
    • 2017
  • This study viewed schools as a cause of students dropping out and posited that dropping out of high school would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school from which students were dropping out. Therefore, focusing on schools, we longitudinally investigated the change patterns of school dropout across high schools in the country, and the types of changes in dropping out of high school. In addition, we predic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students were dropping out from,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major factors (i.e., school violence and school counseling) affecting school dropout, and reviewed schools' long-term efforts and outcomes in relation to school dropout. For this purpose, KERIS EDSS's "Secondary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Data" were used. The final model included data collected five years20122016) from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dropping out of high schools, a latent growth models analysis was conducted, and it revealed that, as time passed, the dropout rate decreased. Second, growth mixture modeling was used to explore types according to the change patterns of the school students were dropping out from. The results showed three types: the "remaining in school" type, the "gradually decreasing school dropout" type, and the "increasing school dropping out". Third,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by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public schools, vocational schools, and schools with a large number of students who have below the basic levels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increasing school dropout" type. Further, the larger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remaining in school" type or the "gradually decreasing school dropout" type. Lastly, growth mixture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trend of school violence and school counseling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The focus was on the "gradually decreasing school dropout" type. In the case of the "gradually decreasing school dropout" type, it was found that as time passed, the number of school violence cases and the number of offenders gradually decreased. In addition, in terms of change in school counsel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placement of professional counselors in schools increased every year and peer counseling was continuously promoted, which may account for the "gradually decreasing school dropout" type.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Bullying (예비유아교사의 따돌림 인식에 대한 연구)

  • Bae,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5
    • /
    • pp.417-426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o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bullying for the prevention and respon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scene of the bullying that occur by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bullying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31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PSS Win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ANOVA. (1)The perception of bully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and experience of child care practice, classroom observation, education program for taking preventive measure. (2)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action that can be seen as bullying followed by 'apply the violence, such as kicking, or were frequent', 'shared in things that often prevents','often to another carrier or shame in front of a friend'. (3)Perception about characteristics of bullying Perpetrators was 'aggressive behavior and talk much' and perception about characteristics of bullying victims was 'shy and not much'. (4)The reason of bullying perpetrators was 'Just for fun without a special reason' and the cause of bullying victims was 'problem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home environment'. (5)Important institutions to combat bullying prevention followed by teacher, parents and family, community and the natio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Teachers guidance content of combat and prevent bullying was 'to be isolated from the class to infants continue to monitor'. Parents guidance content of combat and prevent bullying was 'communicate a lot and attention to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guidance content of combat and prevent bullying was 'operations to come up with the bullying prevention education in educational time'.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increasing perception of bullying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에 관한 교대생과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 Song, Jae-Hong;Kim, Kwang-Soo;Park, Sung-Hee;Ahn, Ie-Hwan;Oh, Ik-Soo;Eun, Hyuk-Gi;Jeong, Jong-Jin;Cho, Bung-Hwan;Hong, Jong-Kwan;Hwang, Mae-Hyang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 /
    • v.11 no.3
    • /
    • pp.485-504
    • /
    • 2012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For this purpose, 459 student teachers and 289 in-service teachers has responded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12 core questions and 8 supplementary questions about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more seriously than student teachers. Seco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perceived the lack of parents' concern of their children and the disturbed friendship as major causes to arouse school violence, and insisted to improve students' emotional self-control and social skills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ird, in coping with students' violent behaviors they took the need to interview the student' parents and to invite them to meet each other halfway. Fourth, With government's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the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policy alternatives but made doubt of their effectiveness. Finally, both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approved of a plan to assign the required subject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to the student teachers, particularly student teachers approved more positively than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PDF

Environmental Factors, Types of Bully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Outcomes for the Bullies (괴롭힘 가해자의 환경적 요인, 괴롭힘 행동유형, 가해자의 심리.행동적 결과에 대한 연구)

  • Lee, Myung-Shi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1
    • /
    • pp.29-61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types of bullying behavior, and the effects of types of bullying behavior on the bullies.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s among 6 environmental factors, 5 types of bullying behavior, and 5 outcome variables for the bullies was develop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177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bullied the other students, the hypothetical model was tested. For data analysis, a path analysis was used, and the best-fitting model was found (df=78, GFI=0.953, CFI=1.0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l, types of bullying behavior were found to be determined by the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Isolation was determined by 2 factors (feeling of isolation from friends, exposure to bullying), social bullying by 2 factors (lack of support from parents, exposure to bullying), verbal bullying by conflicts with parents, physical bullying by 3 factors (lack of support from parents, exposure to isolation and exposure to bullying), and instrumental bullying by lack of support from parents. On the other hand, the pleasure that the bullies feel after bullying behavior was increased by isolation, verbal bullying and physical bullying, while decreased by instrumental bullying. Guilt feeling was decreased by isolation and instrumental bullying, while increased by physical bullying. Isolation increased the tendency of blaming the victim. Isolation and instrumental bullying increased bullies' self-esteem, while social bullying decreased self-esteem. Verbal bullying increased the extent of bullying, while instrumental bullying decreased the extent of bullying. Based on the findings, the intervention strategies to change the bullies' attitudes toward victim, and to increase social support from the significant others as well as the effective ways to reorganize the school environment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bullying behavior were suggested.

  • PDF

Factors Influencing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During Adolescents and Early Adulthoods (청소년기 및 초기 성인기의 성지식과 성인지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ae Su Na;Sun Goo Lee;Kang Min Baek;Woo Young Im;Seung-Gul Kang;Seong-Jin Cho;Kyoung-Sae Na;Jae Myeong Kang;Seo-Eun Cho;Seung Min Bae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31 no.1
    • /
    • pp.25-32
    • /
    • 2023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and factors influencing on them among Korea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Methods : 129 questionnaires from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ith consent forms, collected from July to December of 2022, were analyzed. After identification of participants' gender, age, major, their report of the practicality of sex education, and their experience of violence or sexual assaults, participants' level of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were compared. Results : Females showed higher gender sensitivity, regardless of age and group (p=0.004). The early adulthood group (≥19 years old) showed higher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compared to those adolescents (<19 years old). Among college students, those who majored in health science were identified with higher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compared to non-health science major students(p<0.001; p=0.005).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according to sex, age, and majors in adolescents and early adults.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differences in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among age, sex, and majors when establishing public policy or legislation for sex crimes, including digital sex crime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