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에 관한 교대생과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 Received : 2012.07.31
  • Accepted : 2012.09.22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For this purpose, 459 student teachers and 289 in-service teachers has responded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12 core questions and 8 supplementary questions about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more seriously than student teachers. Seco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perceived the lack of parents' concern of their children and the disturbed friendship as major causes to arouse school violence, and insisted to improve students' emotional self-control and social skills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ird, in coping with students' violent behaviors they took the need to interview the student' parents and to invite them to meet each other halfway. Fourth, With government's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the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policy alternatives but made doubt of their effectiveness. Finally, both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approved of a plan to assign the required subject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to the student teachers, particularly student teachers approved more positively than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 교대생과 초등교사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교대생 600명과 초등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교대생 451명과 초등교사 289명의 응답 결과를 기초로 학교폭력에 노출된 경험과 심각성 인식, 학교폭력의 원인, 예방 및 대책에 대한 인식, 그리고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 관련 교과의 개설 및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여 반응 백분율과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 간 반응 차이의 유의도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대생과 초등교사의 절반 이상이 학창 시절 학교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고, 학교폭력이 상당히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초등교사가 교대생보다 유의하게 높다. 둘째, 그들은 '가정의 붕괴와 자녀에 대한 부모의 관심 부족'과 '왜곡된 친구관계와 학교폭력서클의 만연'을 학교폭력의 주요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감정조절 능력의 부족'과 '사회적 대처 기술의 부족'을 각각 가해 원인과 피해 원인으로 인식한다. 셋째, 그들은 학생들의 학교폭력을 목격할 때 관련 학생의 학부모와 면담하여 협조를 구하거나 책임교사(또는 상담교사)와 학교 당국에 알려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면서도 그와 관련된 어려움을 함께 호소하고 있다. 넷째, 그들은 정부의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에 대해 중요성은 비교적 높게 인식한 반면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다. 끝으로, 그들은 교사양성기관에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 교과목을 개설하는 것에 대체로 찬성하며, 그 비율은 교대생이 초등교사보다 유의하게 높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