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in South Korea: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lict norms

초등학생의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의 관련성: 학급 갈등규범의 조절효과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among schoolchildren and to test whether conflict norms in the classroom moderated this relationship. The analysis used the third year data derived from ClassNet research (Park, et al., 2017)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sample comprised fourth-grade through sixth-grade students in 52 classrooms of 7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N = 1194). A series of multi-level analyses were performed to fulfill the study's purpose using variables obtained by peer nomination, such as social rejection, victimization, bullying perpetration, and teacher-student conflict. The results found that boys experienced more victimization than girls and peer rej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victimization. Furthermore, conflict norms in the classroo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Peer rej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tent of victimization in classrooms with relatively high levels of conflict norms.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n the significance of conflict norm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a focus on ways that teachers can facilitate healthier classroom environments.

본 연구는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의 관계에 대한 학급 갈등규범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클래스넷 3차년도 데이터의 일부로서, 전국 소재 총 초등학교 7개교, 52개 학급의 4~6학년 학생 1,19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또래지명 방식으로 측정한 또래거부, 괴롭힘 피해행동, 괴롭힘 가해행동, 교사-학생 갈등 변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괴롭힘 피해행동 수준이 높았으며,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은 유의한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둘째, 학급 갈등규범은 학급마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괴롭힘 피해행동의 학급 차이도 유의하였다. 셋째, 다층분석 결과에 의하면, 또래거부가 많을수록, 괴롭힘 피해행동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갈등규범 수준이 높은 학급에서 괴롭힘 피해행동 수준도 높았다. 특히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의 관계는 학급의 갈등규범 수준이 조절하였다. 즉, 갈등규범 수준이 낮은 학급에 비해, 갈등규범이 높은 학급에서 또래거부는 괴롭힘 피해행동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또래거부가 괴롭힘 피해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학급 갈등규범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담임교사의 역할에 대해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