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치 유형

Search Result 1,18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Holland의 직업성격유형과 직업가치가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자를 중심으로 -

  • Gong, Jong-Ho;Park,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29-29
    • /
    • 2017
  • Holland(1997)의 직업성격유형은 네 가지 가정을 기초로 한다. 이 가정에 기초하여 직업성격유형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사람의 성격과 그 사람의 작업환경에 대한 지식은 진로선택, 직업변경, 직업성취 등에 관해서 중요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성격유형을 6가지 (R IASEC )로 분류한 이론을 본 연구의 대상인 일반 창업자(대학생, 청년, 장년 등)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즉, Holland(1997)의 직업성격유형이론에 의한 현실적(Realistic)유형, 탐구적 (Invest igat ive)유형, 예술적 (Art ist ic)유형, 사회적 (Soc ia l)유형, 설득적(Enterprising)유형, 관습적(Conventional)유형의 분류를 본 연구에 적용하여 일반 창업자에게도 적용가능한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일반 창업자의 직업성격유형, 직업가치유형 (내적직업가치, 외적직업가치)에 따른 창업성과에 대한 변수간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조 모형에서의 효과와 영향력을 분석하여 Holland의 직업성격유형과 창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결과를 정립하고자 한다. 셋째, Holland의 직업성격유형 및 직업가치가 창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직업가치유형(내적직업가치 외적직업가치)이 창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 PDF

소셜벤처 비즈니스 모델 통합 유형 선호도가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셜임팩트 긍정적 정서의 매개 효과 검증

  • 홍유정;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157-162
    • /
    • 2023
  • 소셜벤처는 하나의 조직 안에 경제적, 사회적 가치라는 두 가지 미션을 동시에 추구해야하며 이를 하이브리드 조직이라 한다. 소셜벤처의 사회적 가치는 기상정한 사회적 대상이 그 수혜자이고, 경제적 가치는 소셜벤처의 투자자가 수혜 대상이 된다. 두 가지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기업 활동의 중첩 정도는 소셜벤처 기업 조직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소셜벤처에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활동에서 경제적 가치도 함께 창출된다면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두 가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고, 두 가지 가치를 위한 활동을 각각 전개해야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라면 사회적 가치를 위한 기업 활동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해내지 못하는 활동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치의 중첩에 따른 비즈니스모델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재고하고, 유형별 선호도를 독립변수로 지정, 각 유형별 투자 의도를 알아보고자한다. 특히 소셜벤처에 대한 긍정적 정서가 투자의도에 매개효과로써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소셜벤처의 투자 생태계에서 긍정적 정서에 대한 중요성을 밝히고자 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Types and Life Satisfaction: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Affectivity (가치 유형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 긍정 정서의 매개효과)

  • Joo, Mijung;Chong, Young-Sook;Lee, Jaesik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8 no.2
    • /
    • pp.911-92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types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275 students' scores for value types, positive·negative affectivity,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obtained using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s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all negative affectivity and all value was not significant. Second, conformity, benevolence, self-direction·stimulation, hedonism, achievement and security value typ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affectivity, whereas, conformity, benevolence, universalism and security value typ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the student's higher scores of conformity, benevolence and hedonism value types induced higher level of positive affectivity, which, in turn, increase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value types can indirectly influence life satisfaction through positive affectivity.

The Effects of Tangible Asset Revaluation on the Market Prices (유형자산 재평가기업의 회계정보 가치관련성)

  • Kim, Dong-Heo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9 no.4
    • /
    • pp.1-22
    • /
    • 2010
  • There have been arguments in Korea that fair value accounting system improves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hrough the asset revaluation. These arguments are based on the fact that investors prefer fair value to cost value information. Others argue that cost principles may offer more proper information to the investors because financial statements applied the cost principles are more objective and thus more reliable. Prior researches focused mainly on the motives of asset revaluation but I examined the effects of the tangible asset revaluation on the stock prices.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 (1) the gains on the tangible asset revalua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tock prices; (2) the net book values applied the cost principles explain stock prices better than the net book values applied fair values. My findings suggest that the gains on the tangible asset revaluation constitute a part of the firms' values but the accounting informations measured fair value are not always useful to the investors in the capital market.

  • PDF

Research on a new type of Computer Market Failure Factors - Focusing on Consumer not Acceptance of Netbook -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의 시장실패 요인에 관한 구조적 연구 - 소비자의 넷북 미수용을 중심으로 -)

  • Kwon, Soon-Hong;Lim, Y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405-40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제품을 대체하고 보완하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가 시장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아 실패하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제품실패의 원인을 소비자가 제품의 가치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에 두고, 가치 지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여 얻게 되는 혜택과 제품을 사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으로 구분하여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넷북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한 결과 소비자가 신제품의 가치에 대해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은 사용의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가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에 대해 지각하는 비용은 신제품의 가치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데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비자가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에 대해 혜택을 부정적으로 지각하더라도 이는 가치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Character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Value Type of the Human (인간 가치 유형에 기반한 캐릭터 분석 방법론 제안)

  • Song, Mi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9
    • /
    • pp.650-660
    • /
    • 2017
  •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method of analyzing personality types of characters in narrative. First, we examined the history of the taxonomy of character types that existed in narrative theories so far. Until now, the classification of character types in narrative theory consisted largely of a formal classification based on roles in narrative, a content classification based on human internal qualities, and a complementary classification in which the two classification criteria are united. The problem with the existing character classification type is difficult to categorize it in spite of the usefulness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based on human internal qualities. 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role of the character in the narrative does not help as much as a practical analysis methodology because the classification is formal. In this study, we try to solve this problem by introducing Shalom Schwartz's human value type, and to make human character's value type and human rol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s a new character analysis methodology. Schwartz's study of value type is a very effective method to grasp the motivation of human behavior, and it seems to be very meaningful in analyzing the directivity of characters.

An Analysis of Customers' Value System Using APT Laddering Technique: Difference Comparison and Strategy Suggestion Among Hair Salon Types (APT 래더링 기법을 적용한 고객의 가치체계 분석: 헤어살롱 유형별 차이 비교 및 전략제시)

  • Miok, Se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1 no.2
    • /
    • pp.21-36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s-end chain theory more concretely through the APT hard laddering technique. This is carrying out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users by hair salon type, and the items drawn from the qualitative laddering technique are applied. The technique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attribute, consequences, and value item by analyzing each step's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airdresser's ability, acceptance of individual-customized opinions, and cheap price were the most mentioned items in the selection attributes. As for the consequences items, image transformation, neatness, novelt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were drawn in order. The items indicated as important among the value items were satisfaction, followed by happiness, confidence, beauty, and bond. Second, the remarkable selection attributes, irrelevant of hair salon type, was revealed as hairdresser's ability and the key values pursued when using a hair salon were drawn as satisfaction, confidence, and beauty. From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meeting the desire of consumers using hair salons can be linked with ultimately pursued values. It was also verified that partial differences were shown by hair salon type and this meant that consumers' desire and expected benefits were different by hair salon type. Although this study drew value perception through comparison with hair salon types based on the means-end chain theor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attribute was hairdresser's ability and they select and use hair salons to gain satisfaction and confidence.

Study 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rections of Different Housing Types through an Analyses on Expected Value and Perceived Value (기대가치와 인지가치 분석을 통한 주택유형별 주거환경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Jin, Hyun-Soo;Kim, Kyong-Hoon;Kim, Jae-J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3 no.4
    • /
    • pp.382-390
    • /
    • 2013
  • Recently, the housing problem has been recognized as a matter of housing supply with a certain environmental level and not simply a matter of handing as a quantitative problem, and the demand for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requirements for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house type, as the requirements and levels of satisfaction differ. This study aimed to deduce the level of resident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according to house type, and determine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achieve th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ouse types was analyzed through ANOVA analysis and T-Test, and the major factors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derived through Action-grid analysis.

특허가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 Park, Seong-Taek;Lee, Seung-Jun;Kim, Ye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269-277
    • /
    • 2008
  • 지식기반경제에서는 기식을 창출하거나 활용하는 능력이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국가적 경쟁우위의 기본이 된다. 산업경제에서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이 가속화됨에 따라 부동 산 및 설비 등 유형자산 보다는 노하우, 특허권 등의 무형자산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다. 유형자산과 마찬가지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무형자산인 특허권의 합리적 가치평가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특허 가치의 정확한 평가는 기술 거래 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고 또한 기업의 특허전략 수립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형자산과는 달리 무형자사인 특허권의 정확한 가치평가는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허가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함에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제품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 PDF

A Study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 Qualitative Approach (의복 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 Kim, Sun-hee;Lim, Sook-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21-1632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설명할수 있는 가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복 소비가치의 구체적 유형을 밝히고,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의복 소비가치 척도를 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th(1991)의 소비 가치 이론과 의류학 및 소비자 행동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의복의 구매와 착용의 선택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Sheth(1991)의 5가지 소비가치 유형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및 의복제품의 특성에 따른 자기표현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가치는 물리적 속성, 물리적 기능, 도구적 성과와 관련되었으며, 사회적 가치는 사회계층, 준거집단, 인구통계 적 특성 집단, 문화-민족적 집단과의 관련성 에 대 한 가치로 구성되었다. 감정적 가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심미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취적 가치는 다양성추구행동 요인 및 유행성의. 새로움 추구 요인과 관련되었다 또한 상황적 가치는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 커뮤니케이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표현적 가치는 성격, 이미지 표현, 개성추구, 유행추구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