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지수

검색결과 46,031건 처리시간 0.057초

잡영블럽 검출에 의한 잡영가지 제거 방법의 개선 (Enhancement of Removing Parasitic Branches by Detecting Noise Blobs)

  • 김성옥;임은경;김민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170-175
    • /
    • 2002
  • 영상분할이나 연결요소 추출 등에 의해 구해진 물체 영역의 경계 부분에 잔가지 모양으로 나타나는 잡영가지는 물체의 형상 특징 연산 및 인식 과정에서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한 픽셀 두께의 잡영가지만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 두 픽셀 이상이 뭉쳐져 둥그스름한 덩어리(blob, 블럽)를 형성하고 있는 잡영가지도 4-8-방향 윤곽선 추적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잔가지를 구성하고 있는 픽셀과 물체 영역을 구성하는 픽셀을 개략적으로 분리한 후, 윤곽선 추적물 하면서 사용자가 정의한 크기보다 작은 블럽을 포항한 잔가지를 추출해낸다. 이어서, 이러한 잔가지를 사용자가 정의한 잡영가지의 크기와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 변수에 따라 잡영가지에 대한 개념을 보다 확장하여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도록 명시화 함으로써, 영상의 특성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잡영가지를 정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치질은 고칠수 있나

  • 김예흠
    • 건강소식
    • /
    • 제3권5호통권20호
    • /
    • pp.24-27
    • /
    • 1975
  • 이른바「질」자가 붙는 병치고 잘 낫는 병이 없다. 그렇다고 죽지도 않는다. 병의 형태도 가지가지 이고, 치료법도 가지가지다-치질도 그런 병의 한 가지. 그러면 치질은 왜 생기며, 완전하게 고칠 수도 있을가.

  • PDF

대인(Personal) 감성 이미지 평가 기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Evaluati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 황상민
    • 감성과학
    • /
    • 제2권2호
    • /
    • pp.105-113
    • /
    • 1999
  •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어휘 요인으로 나타났다. 우아한-천박한, 신선감-답답함, 편안함-불편함, 순수함-가식적인, 세련미-촌스러운, 진취성-보수성, 여성성-남성성,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엇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대인(Personal) 감성 이미지 평가 기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 황상민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0-317
    • /
    • 1999
  •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 어휘 요인으로 나누어졌다.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 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잡영블랍 검출에 의한 잡영가지 제거 방법의 개선 (An Enhancement of Removing Noise Branches by Detecting Noise Blobs)

  • 김성옥;임은경;김민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419-428
    • /
    • 2003
  • 어떤 물체 영역의 골격(skeleton)을 얻기 위해 세건화(thinning)하는 과정에서 잔가지(parasitic branch)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것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중에서 잔가지가 한 픽셀 두께의 가지로 나타나는 속성에 착안하여, 윤곽선 추적에 의한 대칭 경로(symmetric path)를 검출함으로써 잔가지를 제거하는 방법이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방법을 영상 분할이나 연결 요소 추출 등에 의해 구해진 물체 영역의 윤곽선 부분에 나타나는 잡영가지 (noise branch)를 제거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방법을 제안한다. 즉, 한 픽셀 두께의 잡영가지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두 픽셀 이상이 뭉쳐져 둥그스름한 덩어리(잡영블랍, noise blob)를 형성하고 있는 잡영가지도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을 제안한다. 대칭 경로를 찾기 위해 4-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잡영블랍이 포함된 경우에는 준대칭(quasi-symmetric) 경로를 정의하여 추출한다. 제안한 방법의 시간 복잡도는 윤곽선 픽셀수의 선형 함수로 표현되며, 사용자가 잡영블랍과 잡영가지의 크기를 임의로 설정하도록 하여 융통성있고 다양하게 잡영가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 형상과 인위적 형상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조경수에 발생되는 병해-수지가 많이 흘러나오는 푸사리움가지마름병

  • 이상현
    • 조경수
    • /
    • 통권106호
    • /
    • pp.23-24
    • /
    • 2008
  • 최근 소나무류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푸사리움가지마름병은 외국의 경우 pitch canker(수지궤양병)라 불리며, 그 유래는 가지, 순, 노출된 뿌리에 발생한 궤양에서 많은 양의 수지가 흘러나오는데서 이름 지어 졌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도 도입된 리기다소나무에서 이 병이 발견되었으며, 점차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푸사리움가지마름병은 미국의 남동부지역 플로리다에서 1946년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조림지, 종자원 묘포장에서 만성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병으로 1976년 이후 이병은 지역적인 질병에서 국가적이고 범세계적인 중요 질병으로 발달하였다.

  • PDF

상태당 가지수를 가변시킨 HMM을 이용한 화자적응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aker Adaptation in HMM Using Variable Number of Branches in Each State)

  • 김광태;서정일;한유수;홍재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0-9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CHMM인 CDHMM과 ARHMM을 이용하여 화자적응화 하는 방법을 각각 연구하였다. CDHMM에서는 최대사후화확률 추정법에 의하여 각 상태마다 하나의 가 지를 이용하여 화자에 적응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다양한 음향학적 특징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태마다 여러 개의 가지를 갖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상태마다의 적절한 가지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상태에 속하는 프레임 수와 특징 벡터들의 분산행렬의 행렬식값을 이용 하였다. ARHMM에서는 특징벡터로 선형예측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대사후화확률 추정 법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화자독립모델을 이용하여 적응화자에 대한 음성을 Viterbi 알고리듬으로 상태별로 분할한 후 k-means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각 상태마다 하나 의 가지를 갖는 모델로 적응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통합 편집 환경을 지원하는 시각적 XML 편집기 (Visual XML Editor Supporting Integrated Editing Environment)

  • 최상길;정영우;곽지현;김건우;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249-251
    • /
    • 1998
  • XML은 W3C에서 권고안으로 채택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한 CDF, RDF, WIDL, WebBroker 등과 같은 많은 웹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XML은 HTML과 같은 단일하고 고정적인 문서 구조에서 벗어나서 자신만의 구조를 가지는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문서의 내용과 그 내용의 표현이 분리되어 있어, 원 문서의 내용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여러 가지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확장된 기능을 가지는 XML 문서를 보다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XML 편집기를 제안한다. 본 시각적 XML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문서를 편집하는데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기획시리즈 - 조경수에 발생되는 병해 -소나무류에 피해를 주는 피목가지마름병-

  • 이상현
    • 조경수
    • /
    • 통권110호
    • /
    • pp.18-19
    • /
    • 2009
  • 피목가지마름병은 Cenangium ferruginosum에 의하여 발생되는 병해로 전 세계적으로 적송, 곰솔, 잣나무 등의 소나무류에 흔히 발생하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피해는 경미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최근 남부지역 소나무류 집단고사는 강수량 부족에 의한 스트레스가 유인되어 수세가 약화된 상태에서 피목가지마름병의 피해가 가속화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병은 기상요인과 관련이 높기 때문에 가지치기, 임목밀도조절 등 재배환경을 조절하고 관리가 잘 되도록 신경을 써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PDF

안전한 컨텐츠 유통을 위한 방안 연구

  • 이형우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8-54
    • /
    • 2002
  • 스테가노그래피 기반 정보은닉 기술은 디지털 컨텐츠 보호 기술에 일부 적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한 방안으로도 접목 가능하다.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고 이를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해 디지털 워터마킹, 정거프린팅 및 DRM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워터마킹은 컨텐츠 내부에 저작권자 및 판매권자의 소유권 정보를 삽입하는 방식이며, 디지털 핑거프린팅은 구매자에게 고유한 저작권 및 사용권 정보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두 가지 기국은 각기 다른면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부분에서 많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두 가지 기술 구조를 안전한 컨텐츠 유통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