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중치 함수

Search Result 54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Weight Function on the Fuzzy Set membership and its Application to the Defuzzification (퍼지 집합의 소속함수에 대한 가중치 함수와 비퍼지화에서의 적용)

  • 정성원;이광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31-33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퍼지집합의 소속함수에 대한 가중치 함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가중치 함수는 퍼지집합의 소속함수에 곱해지는 형태로서 적용되어지며, 이것은 소속함수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의미한다. 제안하는 가중치 함수의 개념은 기본적으로 소속함수를 사용하는 어떤 퍼지 집합의 응용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본 논문에서는 그 중 한가지 경우로 비퍼지화 방법을 적용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제안하는 가중치 함수가 비퍼지화 방법에 있어서 가지는 의미를 보이며, 기존의 비퍼지화 방법들에서 이러한 가중치 함수의 개념이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지를 보인다. 또한 기존의 비퍼지화 방법들이 개녀멩 적용되지 않은 형태의 가중치 함수를 선택하여, 비퍼지화 방법에 특정 가중치 함수를 적용하였을 때의 특성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가중치 함수를 퍼지집합의 소속함수에 적용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선호도를 퍼지집합의 형태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Multi-Objective based Updating of Finite Element Model of Bridge Using Modal Properties (교량의 모드 특성을 이용한 다중 목적함수 기반 유한요소 모델의 개선)

  • Jin, Seung-Seop;Lee, Jong-Jae;Lee, Chang-Geun;Yun, Chung-Bang;Jung, Hyung-J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7-31
    • /
    • 2011
  • 차량의 대형화 및 고속화, 그리고 기존 교량의 노후화를 고려하였을 때, 교량의 건전성 평가는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거동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유한요소 모델의 신뢰도는 이상적인 가정과 모델링 오차, 교량의 노후화 등에 의해 실제 거동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유한요소 모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실제 교량의 거동을 계측하여, 이를 기반으로 물리적 의미를 가지는 변수들과 지점의 조건을 수정하는 모델의 개선이 주로 행해진다. 이러한 모델 개선은 최적화 기법을 통해 수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함수간 가중치에 의한 모델 개선 결과의 영향과 다중 목적 함수 최적화 기법을 통해, 가중치의 영향을 줄이고, 다양한 개선 모델들을 구하는데 적용하였다. 팔곡 3교의 실제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일 다중 목적 함수 기반의 모델 개선을 수행하였다. 단일 목적 함수의 경우, 정의되는 목적함수는 주로 고유진동수와 모드 형상에 관한 차이의 가중치 합으로 표현되어 지며, 이러한 가중치에 따라, 모델 개선의 결과에 영향을 가함을 확인하였다. 다중 목적 함수 기반의 모델 개선을 통해, 구해진 모델 개선 결과를 단일 목적 함수 기반 모델 개선의 결과들과 비교하였으며, 모델 개선에 대한 다중 목적 함수 최적화 적용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Automatic Learning of Weight Decay Neural Network (가중치감소 신경망의 자동학습에 관한 연구)

  • Hwang, Chang-Ha;Na, Eun-Young;Seok, Kyung-H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2 no.2
    • /
    • pp.1-10
    • /
    • 2001
  • Neural networks we increasingly being seen as an addition to the statistics toolkit which should be considered alongside both classical and modern statistical methods. Neural networks are usually useful for classification and function estimation. In this paper we concentrate on function estimation using neural networks with weight decay factor The use of weight decay seems both to help the optimization process and to avoid overfitting. In this type of neural networks, the problem to decide the number of hidden nodes, weight decay parameter and iteration number of learning is very important. It is called the optimization of weight decay neural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 automatic optimization based on genetic algorithms. Moreover, we compare the weight decay neural network automatically learned according to automatic optimization with ordinary neural network, projection pursuit regression and support vector machines.

  • PDF

Filtering Motion Vectors using an Adaptive Weight Function (적응적 가중치 함수를 이용한 모션 벡터의 필터링)

  • 장석우;김진욱;이근수;김계영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11
    • /
    • pp.1474-1482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for extracting and filtering block motion vectors using an adaptive weight function. We first extract motion vectors from a sequence of images by using size-varibale block matching and then process them by adaptive robust estimation to filter out outliers (motion vectors out of concern). The proposed adaptive robust estimation defines a continuous sigmoid weight function. It then adaptively tunes the sigmoid function to its hard-limit as the residual errors between the model and input data are decreased, so that we can effectively separate non-outliers (motion vectors of concern) from outliers with the finally tuned hard-limit of the weight func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uggested approach is very effective in filtering block motion vectors.

Comparison of Weight Functions in Iterative Technique for Image Reconstruction of Gamma-ray CT (감마 CT 영상재구성을 위한 반복적인 방법의 가중치 함수비교)

  • Lee, Na-Young;Jung, Sung-Hee;Kim, Jong-Bum;Kim, Jin-Sup;Kim,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480-484
    • /
    • 2007
  • 일반적으로 x선 CT는 물체 투과율이 짧기 때문에 대형 산업공정 내부의 영상진단 시 대상체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액체, 고체, 기체 등 고밀도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계측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물체 투과율이 x선에 비해 긴 감마선을 사용하였다. 대형 산업공정 내부의 단면영상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영상재구성 방법의 가중치 함수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감마 CT 영상에서 빔 통과 여부에 따른 가중치 함수보다 빔 길이나 면적에 의한 가중치 함수로 복원할 경우, 원 영상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 PDF

Determining of Weighting Factor for Two-Point Interpolation Filters (2-점 보간법 필터에서의 가중치 결정)

  • Ha, Mi-Ryeong;Yoo,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3
    • /
    • pp.706-712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a determining method of weighting factors for two-point interpolation filters. The interpolation filters is implemented by applying modifying functions to the linear interpolation. Here, there is a problem of determining weights when modifying functions being engaged. The previous method determined the weights by imposing c1-continuity on the interpolation kernels. However, this approach is unable to use the property of individual modifying functions. In this paper, on the basis of spectral analyses of the modifying functions and image signals, we provide a determination method by experimental results. Thus, many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do so. Th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 weights are required for different modifying functions and also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an the previous method.

A ConvLSTM-based deep learning model with grid-weighting for predicting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극한 강수 이벤트 예측을 위한 격자별 가중치를 적용한 ConvLSTM 기반 딥러닝 모델)

  • Hyojeong Choi;Dongk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07-207
    • /
    • 2023
  • 데이터 기반 강수 예측 모델은 극한 강수 이벤트의 크기를 과소 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훈련 데이터에 극한 강수 이벤트보다 일반적인 강수 이벤트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딥러닝의 데이터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자 모델을 학습시킬 때 격자별 극한 강수에 더 큰 가중치를 주어 극한 강수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딥러닝 모델 중 공간-시간 필드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ConvLSTM 기반 강수 예측 모델을 활용하여 레이더 강수량을 예측하였다. 먼저, 훈련 기간 동안의 강수 이벤트의 누적 분포 함수 CDF(Cummulative distribution funcion)을 그린 후 극한 강수 이벤트와 일반적인 강수 이벤트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그다음, 적은 분포를 가진 극한 강수 이벤트의 더 큰 가중치를 두어 모델을 학습시켰다. 이 모델은 대한민국 중부 지역 (200km x 200km)의 5km-10분 해상도 레이더-계량기 복합 강수 필드에 대해 2009-2014년 기간 동안 훈련 되었고 2015-2016년 동안 모델의 훈련을 검증 하였고, 2017-2018년 동안 테스트 되었다. 다양한 가중치 함수를 기반으로 훈련 시킨 결과 최적화 가중치 함수 모델의 평균 NSE는 0.6 평균 RMSE는 0.00015 그리고 극한 강수 이벤트만 따로 추출한 평균 MAE는 6이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모델은 기존 방법에 비해 예측 성능을 향상 시켰으며, 격자별 가중치를 두었을 경우 일반적인 강수 이벤트 뿐만 아니라 극한 강수 이벤트의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 PDF

Fast Stereo Matching Using Graphic Hardware (그래픽 하드웨어를 이용한 고속 스테레오 정합)

  • Lee, Sang Hwa;Oh, Jun Ho;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262-26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그래픽 하드웨어와 그래픽 프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스테레오 영상의 시차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컬러 스테레오 영상에 대하여 mean-shift 기법을 이용하여 컬러를 이용한 영역분할을 수행한다. 분할된 컬러 영역 단위로 가중치를 계산함으로써, 화소단위로 가중치를 계산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블록정합함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채택하여, 새로 블록안으로 들어오는 화소열과 빠져나가는 화소열의 정합함수값을 가감하여 화소마다 반복적으로 합산되는 정합함수의 계산량을 크게 줄인다. Middlebury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 및 평가를 수행한 결과, VGA 급 스테레오 영상을 기준으로 10 프레임 이상을 처리하면서도 기존의 적응적인 가중치를 갖는 블록정합 방식의 성능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고속화 방법을 통하여, 기존의 적응적인 가중치를 이용한 블록정합 방식에 비하여 훨씬 고속으로 스테레오 정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시간 시차추정이 필요한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PDF

Supervised Feature Weight Optimization for Data Mining (데이터마이닝에서 교사학습에 의한 속성 가중치 최적화)

  • 강명구;차진호;김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244-246
    • /
    • 2001
  • 최근 군집화와 분류기법이 데이터 마이닝에 중요한 도구로 많은 응용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속성의 중요도가 달라 중요하지 않은 속성에 의해 중요한 속성이 왜곡되거나 때로는 마이닝의 결과가 잘못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전체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마이닝 과정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속성 가중치과 속성선택에 과한 연구가 중요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연구되고 있는 알고리즘들은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데이터간의 관계에만 의존하여 가중치를 설정하므로 사용자가 마이닝 결과를 쉽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래스 정보가 있는 데이터뿐 아니라 클래스 정보가 없는 데이터를 분석할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학습할 수 있도록 각 가중치를 부여하는 속성가중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한 정보를 이용하여 속성간의 가장 최적화 된 가중치를 찾아주며, Cramer's $V^2$함수를 적합도 함수로 하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자상거래상의 실험 데이터와 몇 가지 벤치마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논문의 타당성을 보인다.

  • PDF

Convergence Properties of a Adaptive Learning Algorithm Employing a Ramp Threshold Function (Ramp 임계 함수를 적용한 적응 학습 알고리즘의 수렴성)

  • 박소희;조제황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08a
    • /
    • pp.121-124
    • /
    • 2000
  • 적응 학습 알고리즘으로 가중치를 변화시키는 단층 신경망의 출력부에 Ramp 임계 함수를 적용하여 입력이 zero-mean Gaussian random vector인 경우 가중치의 stationary point를 구하고, 적응 학습 알고리즘을 유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