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 변인

검색결과 522건 처리시간 0.021초

지구 온난화, 수온 상승으로 바다가 변하고 있다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제37권2호통권426호
    • /
    • pp.28-29
    • /
    • 2004
  • 얼마 전부터 바다 속이 변하고 있다. 아열대성 어류가 출현하는가 하면 어획량이 대폭 감소하고 있다. 이는 지구 온난화, 수온 상승 등 급격한 환경변화에 의한 것이라 한다. 이로 인해 어민들의 속을 태우며 더 나아가 우리의 먹거리와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 PDF

가족 내 자녀 구성에 따른 가정주부들의 가족에 대한 비만 관련 변인 인지 (Housewives' Perception on Obesity Related Variables of Family According to Child Composition of Household)

  • Seo, Yong-Seok;Lee, Dae-Taek;Cha, Kwang-Suk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03-118
    • /
    • 2007
  • 가족 내 아동 구성에 따라 가정주부들이 가족들의 비만 관련 변인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조사되었다. 90명의 가정주부가 자신과 가족들에 대한 사회인구 정보, 체중인지, 식습관행동인지, 신체활동인지를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이들은 가족의 아동 구성에 근거하여 세 그룹; 아들만 있는 가정(BO), 딸만 있는 가정(GO), 아들 딸 모두 있는 가정(BG), 으로 편성되었다. BO의 아들들은 GO의 딸들에 비해 높은 수치의 신장, 체중, WHR을 보였으나(p <.05), 이 두 그룹 간에 BMI와 허리둘레는 차이가 없었다. BO의 엄마들은 아들들이 활동적이라고 인지한 반면 GO의 엄마들은 딸들이 비활동적이라고 인지하였다(p <.05). GO의 딸들은 BO의 아들들이나 BG의 딸들에 비해 덜 규칙적인 식사를 하였다. 일반적으로 가정주부들은 가족구성원의 체중을 BMI 및 허리둘레와 연관되어 인지하였다. 엄마의 BMI 가 증가할수록 BO의 아들의 BMI는 동반 상승하였으나(p <.05), 다른 그룹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칼로리 섭취와 신체활동 권장에 대한 엄마의 인지는 신체형태에 근거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가정주부들이 가족 내 아동 구성에 따라 비만 관련 변인을 다르게 인지함을 제시하고 있다.

생태학적 변인이 중학교 2학년 학생의 학업 동기에 미치는 영향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from on Ecological Perspectives)

  • 문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74-81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학생의 학업 동기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 즉 사회인구학적 변인,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371명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의 차이에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학업 동기를 보였으며, 둘째, 독립변인들과 학업 동기와의 관계에서 남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만족도가, 여학생의 경우 가정의 경제 수준, 부모의 교육 수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 동기에 대한 각 변인들의 영향력에서 성별에 관계없이 학교생활만족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남학생은 가족건강성이, 여학생은 자아탄력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에 적합한 학업 동기 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아동의 개인적 변인과 가족 변인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ersonal and Family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 이숙;지선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119-12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al variables(gender, grade,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family variables(economical level,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s)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school interest, academic achievement, observance of school regulation, and friend relationship) of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The participants were 165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73 boys and 92 gir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chool interest was affected by depression, self-esteem and grade. Seco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was affected by depression and grade. Third, children's observance of school regulation was affected by gender, grade, self-esteem, and parenting behaviors. Fourth, children's friend relationship was affected by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s, self-esteem, and gender. Fifth,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as more influenced on children's personal variables than children's family variables.

가부장가족이 여자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권력통제이론 변인에 대한 다양한 측정의 효과 분석 (The Effect of Patriarchal Family on Female Delinquency: Alternative Measures for the Variables from Power-Control Theory)

  • 신동준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1호
    • /
    • pp.89-117
    • /
    • 2011
  • 이 연구는 권력통제이론의 시각에서 가부장가족을 측정하는 일련의 변인들이 여자청소년의 비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서 부모의 가부장적 태도와 여자청소년의 성평등 지향적 태도가 충돌하는 경우를 일종의 아노미적 상황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상황이 여자청소년의 비행가능성을 증가시키는지의 여부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가부장가족 관련 변인들과 비행을 매개하는 변인들로 비행친구 수와 부모의 감시감독을 상정하고 인과관계의 고리를 해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부모의 직업에서 가부장적인 특징을 보이는 가정은 여자청소년의 지위비행과 중비행 정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학력에서 가부장적인 특징을 보이는 가족은 지위비행에서 그러한 효과를 보였다. 부모의 가부장태도 자체로는 여자청소년의 비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여자청소년 본인의 가부장적 태도는 지위비행과 중비행 가능성을 낮추는 점을 발견하였다. 특히 부모는 가부장적 태도를 보이는 반면 자신은 성평등적 태도를 갖는 여자청소년은 지위비행과 중비행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부장 아노미의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가부장 관련 변인들이 주로 비행친구 접촉을 통해서 여자청소년의 비행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발견하였다. 그리고 부모직업에서 가부장적인 가족은 여자청소년에 대한 감시감독 정도가 강하기 때문에 비행의 가능성을 낮춘다는 분석결과도 제시하였다.

  • PDF

융복합 시대의 대학생의 이타행동과 관련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Altruistic Behavior and Related Variables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장용희;이재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361-37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이타행동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도덕적 정체성, 성격강점, 가족건강성, 도덕적 고양과 자기통제력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모형으로는 도덕적 정체성, 성격강점, 가족건강성이 이타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과 도덕적 고양과 자기통제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포함하는 부분매개모형을, 대안모형으로는 세 개의 변인이 도덕적 고양과 자기통제력을 통해서만 이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을 설정하여, 두 모형을 비교 평가한 후 연구모형을 최종 선정하였다. 이와 함께 최종모형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남자대학생과 여자대학생 집단 간의 구조적관계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적 고양과 자기통제력을 완전매개하여 이타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성격강점은 도덕적 고양, 자기통제력을 매개하여 이타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도덕적 고양과 자기통제력을 차례로 매개하여 이타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은 자기통제력을 매개해서만 이타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 대학생집단에 따라서는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없었으나, 성격강점이 도덕적 고양에 이르는 경로계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 가족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관련 변인 (Factors of The Married Couple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Husband)

  • 강기정;변미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3호
    • /
    • pp.123-13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the policies and servic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method from 99 multicultural couples. Analysis of the data consisted of t-tests to compare the psychological characters of the couple and multiple regression to analyze the independent effects of the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esteem, depression,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wife than for the husband. Second,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relevant factors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clude the gap in the couple's ages, the husband's self-esteem and sex role attitude, and the wife's sex role attitude, godi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 PDF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부부갈등, 사회적 지지,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가족친화제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Family-Friendly Policies on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전은다;김민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1호
    • /
    • pp.61-81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family-friendly policies on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4th and 7th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Participants comprised 252 working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4th wave) and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stage (7th wav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2.0.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marital conflict, emotional support, and the implementa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dditionally,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stage.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 child's developmental stage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군에 대한 메타분석 (Suicide among the Elderly in Korea: A Meta-Analysis)

  • 이정은;유지영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601-616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종합하여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살생각 단계에서부터 자살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자살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상담적 접근 방법을 모색하는데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대상 자료는 2001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선행연구들 중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노인의 자살생각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연구물 총 97편으로 하였다.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개인변인군, 가족변인군, 사회변인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체계 안에서 자살생각의 유발요인과 억제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총 30개의 변인중 개인변인군에서 19개의 하위변인이 추출되었고 유발요인에서는 우울, 짐스러움, 스트레스가, 억제요인에서는 정신건강이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변인군에서는 5개의 하위변인이 추출되었고, 유발요인 중 동거인 없음이 중간 효과크기를, 억제변인 중 가족결속은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사회변인군에서는 6개의 하위변인이 추출되었으며, 유발변인은 노인차별, 사회고립, 부정적 사회관계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억제변인은 사회관계, 사회지지, 사회환경, 사회활동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유자녀 맞벌이 남녀의 일-가족 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f perceived work-family conflict of dual-earner men and women: married working men and women with children under 12years)

  • 박연숙;박정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2호
    • /
    • pp.51-7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ived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men with children under 12 years.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relative influence between objective time variable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variables unlike previous research. For research, this study used the data of 1012 working men and women from the 3rd Nation survey of Korean Family in 201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Business hours and cognition of enough leisure time had more relative effect of work${\rightarrow}$family conflict than any other variable. On the other hand, leisure time on weekdays had the effect of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with women and men. Second, gender differences of work${\rightarrow}$family conflict and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were identified. In work${\rightarrow}$family conflict, men were influenced cognition of enough leisure time, women were influenced couple conversation time and employment status unlike men. In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men were not influenced subjective satisfaction variables. But women were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division of child care. Third, in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the addition of objective time variables in Model of men resulted in an increased $R^2$-value, but in work${\rightarrow}$family conflict and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the addition of subjective satisfaction variables in Model of women resulted in an increased $R^2$-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