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15/khea.2010.48.5.119

The Effects of Personal and Family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Lee, Sook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i, Seon-Rye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8, no.5, 2010 , pp. 119-12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al variables(gender, grade,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family variables(economical level,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s)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school interest, academic achievement, observance of school regulation, and friend relationship) of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The participants were 165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73 boys and 92 gir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chool interest was affected by depression, self-esteem and grade. Seco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was affected by depression and grade. Third, children's observance of school regulation was affected by gender, grade, self-esteem, and parenting behaviors. Fourth, children's friend relationship was affected by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s, self-esteem, and gender. Fifth,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as more influenced on children's personal variables than children's family variables.
Keywords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school adjustment; person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Mahon, N. E., Yarcheski, A., & Yarcheski, T. J.(2003). Anger, Anxiety,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From Intact and Divorced familie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8(4), 267-273.   DOI   ScienceOn
2 Hetherington, E. M., & Stanley-Hagan, M.(1999). The Adjustment of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A Risk and Resiliency Perspective. J. Child Psychol. Psychiat, 40(1), 129-140.   DOI   ScienceOn
3 권영미(2000).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Kelly, J. B., & Emery, R. B.(2004). Children's adjustment following divorce: Risk and resilience perspectives. Family Relations, 52(4), 352-362.
5 Lengua, l. j., Wolchik, S. A., & Braver, S. L.(1995). Understanding Children's Divorce Adjustment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22(3/4), 25-54.   DOI
6 Muransky, J. M., & DeMarie-Dreblow, D.(1995).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from intact and divorced families.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23(3/4), 187-196.   DOI   ScienceOn
7 Stolberg, A. l., & Bush, J. P.(1985). A path analysis of factors predicting children's divorce adjustmen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4(1), 49-54.   DOI   ScienceOn
8 Stolberg, A. L., Camplair, C., Currier, K., & Wells, M. J.(1987). Individual, Familial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Children's Post-Divorce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Journal of Divorce, 11(1), 51-70.
9 Twaite, J. A., Silitsky, D., & Luchow, A. K.(1998). Children of Divorce: Adjustment, Parental Conflict, Custody, Remarriage, and Recommendations for Clinicians. London: Jason Aronson.
10 Kurdek, L. A.(1981). An Integrative Perspective on Children's Divorce Adjustment. American Psychologist, 36(8), 856-866.   DOI   ScienceOn
11 Amato, P. R.(1993). Child's adjustment to divorce: Theories. hypotheses, and empiric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23-38.   DOI   ScienceOn
12 Heterington, E. M.(1993). An overview of the Virginia longitudinal study of divorce and remarriage with a focus on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7, 1-18.
13 Hetherington, M. E., Cox, M., & Cox, R.(1985). Long-term effects of divorce and remarriage on the adjustment of childre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24, 518-530.   DOI
14 Gately, D. W., & Schwebel, A. I.(1991). The challenge model of children's adjustment to parental divorce: explaining favorable postdivorce outcomes in childre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5(1), 60-81.   DOI
15 Guidubaldi, J., Perry, J. D., & Nastasi, B. K.(1987). Growing up in a divorced family: intial an long-term perspectives on children's adjustment. Applied Social Psychology Annual, 7, 203-237
16 Harter, S.(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87-97.   DOI   ScienceOn
17 한유진(1993). 아동과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귀인양식과 학업성취.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Amato, P. D. & Keith, B.(1991). Parental divorce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0(1), 26-46.   DOI   ScienceOn
19 Amato, P. R.(2004). The consequences of divorce for adults and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4), 1269-1287.
20 Camara, K. A., & Resnick, G.(1988). Interparental conflict and cooperation: factors moderating children's post-divorces adjustment. Psychologe Bulletin, 103, 169-195.
21 지은선(2001). 부모의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과 요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Emery, R. E.(1982). Interparental conflict and the children of discord and divorce. Psychologe Bulletin, 92, 310-330.   DOI   ScienceOn
23 주소희(2004). 부모이혼 후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중앙일보(2009. 10. 19).' 이혼고아' 매년1000여명.
25 차유림(2001).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통계청(2009). 2008년 이혼통계 결과. 서울: 통계청.
28 장미애(2004). 이혼가정 아동이 지각한 양육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전수정(2003). 양육 및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조복희(2007). 아동발달. 서울: 교육과학사.
31 오승환(2001).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결정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2 오은순(1997).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삼연(2002). 이혼가정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 37-65.
34 김국화(2006). 이혼가정 아동의 가족관련 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이순형, 이옥경, 민미희(2006). 아동의 성별, 부모의 이혼 및 아동의 부모양육행동 지각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81-192.   과학기술학회마을
36 이혜승(2004). 부모의 이혼과 양육형태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학교적응. 청소년학연구, 11(1), 421-441.
37 박연수(2004).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김은정, 백혜정(2007). 이혼으로 인한 가정상실, 경제소득 및 양육행동의 변화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9(3), 79-103.
39 동승자(2000). 이혼가혼가정 아동의 통제소재,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우울.불안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박성연, 이숙(1990).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41-156.
41 김문섭(2004). 이혼 가정 아동의 특성 및 상담. 대구한의대학교 학생생활연구, 9, 1-14.
42 김민강(2009).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탐색.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김보경(2001). 이혼가정의 학교-가정 관계, 아동의 성취동기 및 학교생활적응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김옥(2000). 부모의 이혼과 아동의 또래애착.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