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Family-Friendly Policies on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Jun, Eunda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Kim, Minjoo (Child & Family Research Institute, Ewha Womans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3, no.1, 2019 , pp. 61-8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family-friendly policies on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4th and 7th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Participants comprised 252 working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4th wave) and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stage (7th wav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2.0.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marital conflict, emotional support, and the implementa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dditionally,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stage.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 child's developmental stage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Keywords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amily-friendly polic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원숙연.박지원(2009). 사회적 지원이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촉진에 미치는 영향: 남녀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26(2), 3-32.   DOI
2 유재언.진미정(2013). 보육서비스 인프라가 영유아 부모의 지역사회 가족친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25개 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3), 63-79.   DOI
3 윤선영.신나나(2016). 취업여부에 따른 영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6), 249-270.   DOI
4 이미자.문혁준(2008). 교사-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 아동학회지, 29(1), 1-14.
5 이선희.김문식.박수경(2008). 가족친화적 경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 가설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3), 383-410.   DOI
6 이승주.문승현(2017).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분석. 한국가족복지학, 55, 129-155.
7 이윤정(2014). 아동 기질과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취업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5, 117-136.
8 이윤주.진미정(2013). 영유아기 기혼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사회자본과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51(2), 229-239.   DOI
9 이재림.옥선화(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5), 49-63.
10 이희정(2017). 영유아기 자녀를 가진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종단적 궤적과 설명 변인. 순천향인문과학논총, 36(3), 85-109.
11 임효진.박휴용.장경은.이지은(2015). 어머니의 심리적, 관계적 변인과 양육스트레스, 후속출산의도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297-318.
12 전숙영, 권혜진(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궤적 및 예측요인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1(2), 53-73.
13 정옥분.정순화(2008). 부모교육. 서울: 학지사.
14 정유진(2013). 가족친화제도와 조직문화가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7). 2016년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16 정은아.김은정(2013). 아동 양육기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근로지속의사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8(2), 239-264.
17 조병은.서동인.신화용.정현숙(1998). 편모가족의 어머니와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자원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1), 13-21.
18 조성연(2003).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자녀양육방법. 한국생활과학회지, 12(5), 579-593.
19 최미란.장경은(2017).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의 관계: 직업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4), 53-73.   DOI
20 최연실.성미애.이재림(2014).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자의 출산 연기 동기와 정책적 요구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 통합학술대회 자료집: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10주년 기념, 260.
21 통계청(2017). 2017 일.가정양립지표. 통계청.
22 파이낸셜뉴스(2017. 8. 24). 국민 72.8%, 저출산 체감...원인은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 http://www.fnnews.com/news/201708241401027129.
23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5). 맞벌이 가구의 영아양육을 위한 조부모양육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 황우상.이숙현.이나련(2012). 비표준근무를 하는 취업모의 일상적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87-112.
25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DOI
26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DOI
27 Chung, H. (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 1015-1022.   DOI
28 Bigner, J. J. (2006). Parent-child relations: An introduction to parenting (7th ed.). Pearson Prentice Hall.
29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ical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0 Bronfenbrenner, U. (1986).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Research Perspectives. Developmental Psychology, 22(6), 723-742.   DOI
31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
32 Deater-Deckard, K. & Scarr, S. (1996). Parenting stress among dual-earner mothers and fathers: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1), 45-59.   DOI
33 Galinsky, E. (1987). The six stages of parenthood. MA: Addison-Wesley.
34 Gleeson, J. P., Hsieh, C. M. & Cryer-Coupet, Q. (2016). Social support, family competence, and informal kinship caregiver parenting stress: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ource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67, 32-42.   DOI
35 Halford, W. K., Markman, H. J. & Stanley, S. (2008). Strengthening couples' relationships with education: Social policy and public health perspectiv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 497-505.   DOI
36 김기현.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37 권미경(2011).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9-41.
38 기쁘다(2018). 출산 후 5년간 부부갈등 변화궤적: 아동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30(1), 27-57.
39 김근혜.김혜순(2013). 만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배경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아동교육, 22(4), 111-129.
40 김동진.전효정.고은경(2017).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하는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8(2), 103-121.
41 김명원.강민주(2011).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8), 25-35.   DOI
42 김안나(2017).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209-231.
43 김옥주.김정주(2014). 만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특성 및 부부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4), 609-617.   DOI
44 김은정(2013). 미취학자녀를 양육하는 취업여성의 일가정양립정책에 대한 긍정성 효과와 부정성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5(2), 168-198.
45 김춘경.조민규(2015).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94, 121-142.
46 류기자.김영주.송연숙(2009). 보육시설 영아반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1), 1-23.
47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48 Kwok, S. Y. C. L., Cheng, L., Chow, B. W. Y., & Ling, C. C. Y. (2015). The spillover effect of parenting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Chinese mothe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4(3), 772-783.   DOI
49 Leahy-Warren, P., McCarthy, G. & Corcoran, P. (2012). First-time mothers: Social support, maternal parental self-efficacy and postnatal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3-4), 388-397.   DOI
50 김현주(2004). 직장보육시설 이용만족도가 직업모의 직무성과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문선희(2013).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 제도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8(1), 119-141.
52 문혁준(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39(1), 109-122.
53 문화일보(2018. 9. 5). 2022년엔 서울 아동 절반 국공립어린이집 다닌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90501071303021001.
54 민미희.김정민.김지현(2016). 부부관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긍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6), 103-121.   DOI
55 박성연.김상희.김지신.박응임.전은다.임희수(2017). 자녀와의 진정한 만남을 위한 부모교육. 파주: 교육과학사.
56 박은영(2015). 직장보육시설 이용 취업모의 시설 이용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박주희(2015).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역할갈등, 배우자 지지 자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41-62.
58 서은희.이미숙(2011). 부모의 직장보육시설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41-65.
59 손수민(2010). 영아기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가정 및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4), 267-288.
60 송다영.장수정.김은지(2010). 일가족양립갈등에 미치는 요인 분석: 직장 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3), 27-52.
61 여성가족부(2017). 일가정 양립 공감 뉴스레터(2017년 12월호). 여성가족부.
62 Stone, L. L., Mares, S. H. W., Otten, R., Engels, R. C. M. E. & Janssens, J. M. A. M. (2016). The co-development of parenting stress and childhoo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38(1), 76-86.   DOI
63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 (2001). Fighting for your marriage: Positive steps for preventing divorce and preserving a lasting lov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64 Olson, D., Olson-Sigg, A. & Larson, P. J. (2011). 커플 체크업. (김덕일, 나희수 공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08).
65 Sanford, K. (2010). Perceived threat and perceived neglect: Couples' underlying concerns during conflict. Psychological Assessment, 22(2), 288-297.   DOI
66 Thompson, C. A., Beauvais, L. L. & Lyness, K. S. (1999).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3), 392-415.   DOI
67 오재연.유구종(2007).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7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