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형태변화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velopment of Gender-Sensitive Policy through Gender Analysis of One-Parent Family (한부모가족의 젠더 분석을 통한 성인지 정책 모색)

  • Han, Jeong-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2
    • /
    • pp.99-109
    • /
    • 2014
  • One-parent family is increasing in Korea, changing its forms and identity. One-parent family policy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in terms of gender analysis, as men-headed family and women-headed family are in the very different situation regarding social status of gender. One-parent family policy needs gender-sensitive perspectives and also should be closely linked with child welfare policy and post-poverty strategies. This paper suggests distinguished situation of one-parent family by gender, and tries to explore specific ways of supporting one-parent family. Most of all, to set up the proper supporting system for one-parent family, the special needs and difficulties are analyzed by gender, which will lead towards the cohesive and holistic family policy.

기획특집2 사진영상산업의 동향 - Digital imaging service, 디지털 포토 리테일 시대에 날개를 달다

  • Lee, Seong-Suk
    • The Optical Journal
    • /
    • s.139
    • /
    • pp.26-29
    • /
    • 2012
  • 디지털이미징서비스(Digital imaging service)가 '찍는 즐거움'에서 '보는 즐거움'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는 모바일 기기의 확산과 기능의 향상도 큰 몫을 차지했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를 합성, 보관, 전송, 인화해주는 디지털이미징서비스는 디지털 사진을 인터넷상의 전자앨범 형태로 보관하거나 친구, 가족들과 사진을 공유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에 일반사진과 똑같은 형태로 인화도 가능하다. '보는 즐거움'을 넘어 '체험하는 즐거움'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사진 시대를 열고 있는 것이다.

  • PDF

Associations of Family Income and Ethnicity with Parents' Selection of Infant Care (가족소득 및 인종에 따른 영아 보육 선택)

  • Chang, Young-Eun;Pungello, Elizabeth P.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5 no.6
    • /
    • pp.21-33
    • /
    • 2007
  • In present study, using longitudinal data of 161 families from Durham Child and Development Study,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 child care chosen by families of different income levels and ethnicity in the U.S. Time-related changes in child care selection for the first year of the child's life were also investigated. Infants from high-income families were more likely to be cared for by someone other than the mother, compared to infant from lower-income families. African-American families were more likely to use non-maternal care for their infant compared to European-American families. Although the effects of income on type of care were not significant, descriptively, more low-income families used relative care while high-income families used more formal arrangements such as daycare center. Infants from low-income families began care earlier and low-income families paid less for care than other families. The findings call for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child care policy for low-income families as well as further research examining the function of cultural differences in selection of infant child care.

사회적 통합과 자살: 연휴가 자살자수 감소에 미치는 영향

  • Han,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Conference
    • /
    • 2007.11a
    • /
    • pp.271-298
    • /
    • 2007
  • 이 논문은 사회적 통합이 평소보다 증대될 것으로 생각되는 신정, 구정, 추석, 성탄절 등의 특정 연휴기간에 자살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본적으로 연휴 이전 3일과 연휴당일에서의 자살자수 감소, 연휴 이후 3일의 자살자수 증가를 가정하고, 2000-2005년 사망원인통계 자료를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핵심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휴기간의 자살자수 감소는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혼인상태에 따른 자살양상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고령자 집단에서 자살자수의 감소양상이 나타난다. 단, 성탄절에는 젊은 연령대의 자살자수 감소가, 높은 연령대의 자살자수 증가가 나타난다. 넷째, 가설에서 설정한 자살양상의 감소-감소-증가 형태는 규칙적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연휴에 강조되는 가족적 가치가 한 개인의 극단적인 선택을 막을 수 있는 기재가 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이 논문의 결과는 가족적 가치와 의미의 회복이 자살이라는 개인의 극단적인 선택을 방지함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 PDF

Family Structure and Succession of the Late Chosun Seen through Male Adoption (양자제도를 통해 본 조선후기 가족구조와 가계계승: 의성김씨 호구단자 분석을 중심으로)

  • Park, Soo-Mi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2
    • /
    • pp.71-95
    • /
    • 2007
  •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principle of family succession and family patterns of yangban in the late Chosun period through an analysis of male adaptation cases found in family registration records. The primary source of analysis is the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of Uiseong Kim'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ubstantial change in the patterns of family from the early and mid Chosun period to the late Chosun period. The change is the strengthening of the principle of patriarchy succession through male adoption. Looking at the data as a whole,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s increased and the membership of kinship also expanded. In contrast to the family patterns of the early Chosun period, not only the patterns of Uiseong Kim's family are predominately immediate family or collateral family but also the majority is extended famil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male adoption cases recorded in Uiseong Kim's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take up 33.8% of the male adoption cases in the entire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This goes to show that the strengthening of the principle of primogeniture succession at a time when child mortality rate is very hig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male adoption. In conclusion, the late Chosun society was a society where the seat of primogeniture was much more important than immediate hereditary members in the family succession.

Ethnic Differences in the Adjustment to Poverty and Disability among Unmarried Elderly Americans : An Analysis of Multi-State Transitions in Living Arrangements from 1984-1990

  • 박경숙;프랜시스골드샤이더;로저애버리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1
    • /
    • pp.123-151
    • /
    • 1999
  • 미국사회에서 노인의 거주지 적응양식은 인종간에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소수인종노인은 백인 노인에 비하여 자녀와 함께 사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대하여 문화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백인에 비하여 가족부양규범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 경제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그들의 생애를 지배하는 빈곤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가계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확대가족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노인이 질병과 빈곤에 적응하는 방식에 있어 인종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기존의 경제학적 논의와 문화적 논의의 적합성을 검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거주지 적응에 대한 문화적 영향과 관련하여 두가지 가설을 검정하고 있다. 첫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빈곤과 질병상황에서 가족으로부터 더 오랜기간 보호를 받는지를 검토한다. 둘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건강이 악화될 때 더욱 신속하게 가족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분석을 위해서 1984년에서 1990년기간 동안 실시된 "고령화에 대한 종단적 조사(Longitudinal Survey on Aging)"를 이용하여 마르코비안 다중생명표 모형과 사건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수인종 노인은 가족부양규범의 문화적 이점을 그다지 크게 다지고 있지 않다. 인종간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보다 흔하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형태로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거주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백인 노인은 소수인종에 비하여 질병상태와 관련하여 자녀와 동거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인종간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노인이 백인노인보다 쉽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로 이행하는데 이는 소수인종에서 가족부양체계가 불안정함을 의미한다. 또한 빈곤시에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쉽게 자녀와 떨어져 살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인종 노인에 대한 가족의 지원은 그 가족의 경제적 제약속에서 매우 안정적이지 못함을 시사한다. 못함을 시사한다.

  • PDF

A Study on Family Services and Program Administration of Family Centers Related to Family Diversity: Focusing on Family Center Practitioners (가족다양성을 고려한 가족센터 사업 운영에 대한 연구: 가족센터 실무자를 중심으로)

  • Koh, Sun-Kang;Son, Seohee;Seo, Chanra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7 no.2
    • /
    • pp.19-3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mily diversity-related service experiences of Family Center practitioners under the main policy goal of recognizing family diversity set out in the Fourth Master Plan for Healthy Families.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2 Family Center practitioners in multiple cities and districts who had extensive family service experiences. The focus group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analysis found that Family Center practitioners understood the concept of family diversity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family policy environment and applied it in various forms to the administration of their respective centers. However, while administering the family support services considering the aspect of family diversity, they experienced a lack of resources for various family service programs, conflicts between each family service goal and the family diversity-related program goal, and difficulties in identifying the recipients. To expand family diversity-related services in the future, the interviewees emphasized the need for education programs about family diversity targeted at Family Center practitioners, and family support services tha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They also stressed the need for changes in program operation methods, such as expanding family diversity education, and developing family service programs appropriate for diverse families. Lastly, they highlighted the need for mounting a publicity campaign for Family Centers, widening the target recipients of family programs, and expanding the budget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family diversity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restructuring family services for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family diversity practices, and as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family service practitioners to plan and execute family support programs that take family diversity into consideration.

The Role of Women in Health Care in Korea (한국 보건의료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44-50
    • /
    • 1984
  • 한국여성은 전통적으로 대가족제도 속에서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종사해왔다. 그러나 산업화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여성들도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가치변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반면에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함으로서 가족 내에서의 자녀양육을 비롯한 가정적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여성에게 현재의 사회구조와 핵가족 속에서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역할사이에서는 여성은 갈등과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 이중적인 부담 속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가치관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여성-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은 부계 중심의 혈연 계승을 중요시하는 가부장적 대가족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계 계승을 통한 가족의 영속성과 가 중심사상에 기반을 둔 철저한 가족주의적 가치관이 전통적 사회를 지배하여 왔다. 그러므로 자연히 개인보다 가족집단이 우의적인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행동의 결정에도 중요한 준거 집단이 되었다. 이러한 가의 영속 및 번영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녀를 필요로 했으며 부계중심 가족에서 자연히 남아 선호사상이 강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조상에 대한 의무요 책임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가부장권의 확대에 반비례해서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축소되어갔다. 여성들의 절대적인 예속을 필요로 하여 삼종지도니 칠거지악이니 불경이부등의 도덕률을 만들었으며 여성들 스스로가 이러한 정절과 복종을 미덕으로 생각하도록 교육받음으로서 여성들 자신이 자기희생의 굴레 속에서 인내와 복종의 생활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남편과 자식을 위해서는 목숨까지도 희생하게끔 철저히 사회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가족 제도 안에서의 남녀의 지위는 동위 항렬 내에서만 해당되고 항렬을 달리할 때는 삼종지도의 이론에 부합된다. 어머니로서의 존장련이 인정되어서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에 비하여 모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상례와 제례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의식에는 차이가 없으며 내외 명부제도에 의해서 부인도 남편과 똑같은 대우를 받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존장련에 의한 모의 권리와 더불어 부부유별에 의해서 가사권의 독자적인 결정권도 인정되고 있었다.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 전통적으로 건강관리에 관련된 한국여성의 역할은 1. 씨받이로서의 역할로 생명을 잉태하도록 돕고 건강한 아이의 수태를 위해 태교에 힘썼으며 2. 자녀의 의식주를 해결하는 가사 역할만을 담당하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출산한 생명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였으나 체계적인 건강관리는 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으나 정서, 사회면은 도외시 한 과잉보호현상이었다. 3. 결혼 후에는 남편의 건강관리를 위해 철저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고 정서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념하였다. 4. 또한, 임종시 평안한 죽음을 맞도록 도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여성의 역할은 돕는 역할이었다.

  • PDF

인터넷 이용자의 녹색관광 요구 분석

  • 조록환;이한기;박은식;고정숙;조영숙;황대용;강경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3.11a
    • /
    • pp.157-159
    • /
    • 2003
  • 도시민들은 자연과 유리된 생활에 염증을 느끼게 되어 주말과 휴일이면 도시를 탈출하여 대자연과 좀더 가까이 하려 농촌과 어촌의 산, 강, 들, 바다 등의 품속으로 찾아가게 되었다. 앞으로 도시민들이 자연을 찾아 나서는 현상은 증가할 것이며, 도시민의 관광패턴도 현대문화 및 인공조형물을 구경하는 관광에서 점차 대자연속에서 지역의 문화를 직접 체험하면서 즐기는 형태로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동반자도 단체 중심의 대중관광에서 가족중심의 관광이 늘어나고 있으며, 형태도 녹색관광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 PDF

성역할 고정관념과 일-가정 양립 갈등: 한중일 국제비교

  • Lee, Jeong-Eun;Yu, Hong-Jun
    •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 /
    • v.18 no.1
    • /
    • pp.9-32
    • /
    • 2017
  • 이 연구는 동아시아 한중일 3개국을 대상으로, 낮은 출산율을 공통의 특징으로 하면서도 서구 선진사회들에 비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이 미비한 이유를 3개국에서 각기 다른 형태를 보이는 젠더레짐(gender regime) 개념을 통해 탐구하려고 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대상 자료는 2012년 국제 사회조사(ISSP)의 '가족과 변화하는 젠더 역할 모듈(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이다. 연구결과,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과 노동시간은 3개국 모두에서 일-가정 양립 갈등과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전통적 성역할 고정 관념과 노동시간, 연령대를 제외한 모든 영향요인은 한국에서만 차이를 보인 것도 특징이다. 한편 임금과 교육수준이 일-가정 갈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은 일-가정 갈등이 전체 사회 구성원들에게 보편적인 문제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연구의 결론에 따라 세 가지 정책 제안을 하였다. 일-가정 양립의 문제가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과 중요하게 연관된다는 점을 확인한 점은 이 연구의 중요한 의의이다. 연구의 역사가 긴 서구사회에 비해 관심의 주변부에 있던 동아시아 국가들 역시 젠더 레짐의 정책적 성격에 따라 분류될 수 있음을 밝힌 것도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