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제도를 통해 본 조선후기 가족구조와 가계계승: 의성김씨 호구단자 분석을 중심으로

Family Structure and Succession of the Late Chosun Seen through Male Adoption

  • 발행 : 2007.08.25

초록

이 글은 조선후기 호적자료외 양자계승기록을 단서로 조선후기 양반가족의 가계계승 원리와 가족유형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의 분석자료는 1669년에서 1913년까지 의성김씨 호구단자이다. 분석 결과 조선후기의 가족형태와 조선전기나 조선중기의 가족형태 사이에 많은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그 변화의 방향은 부계계승원리의 강화이며 그 한가운데 양자제도가 자리하고 있었다. 분석자료의 전체 호구 평균가구원수는 5.66명으로 17세기 초에 비해 가족규모가 매우 커졌으며 가족구성원의 친족 범위도 매우 넓어져, 17세기 초 양반가의 가족원이 되는 근친자 종류가 6종의 자였던 데 비해 의성김씨 호구단자에 나타난 그것은 무려 70종이었다. 조선전기 양반가 분석결과와 달리 의성김씨 집안의 가족형태는 직계가족, 방계가족의 비율이 45%를 넘을 뿐 아니라 18세기, 19세기 모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족형태는 확대가족이고 부부가족의 비중은 1/3 수준으로 약화되는 등, 가구구성의 친족범위가 더욱 확장되었다. 의성김씨 호구단자에서 입양을 통해 가계를 계승한 사례는 전체 호구 가운데 무려 33.8%에 이른다. 적장자가 호주자리를 승계할 때까지 살아 있을 확률이 낮았던 당시의 인구학적 환경 속에서 적장자가계계승 원리를 확고하게 지키는 방법으로 활용된 것이 양자제도였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종족집단은 자신의 직계혈통에게 가계를 계승하는 것보다도 입양을 통해서라도 '적장자 자리'라는 명분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했던 사회이고 이런 양반가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 적임자를 찾을 때까지 호주대리인을 내세우는 등 양자제도를 보편화시켰던 것이다. 또한 제작된 믹서는 외부의 IF 발룬을 필요하지 않아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제작된 94 GHz MIMIC single balanced cascode믹서는 기존의 balanced 믹서와 비교하여 높은 격리 특성을 나타내었다.L 및 FPGA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구현 검증되었다. 0.25um CMOS 표준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합성하였을 때, 총 게이트 수는 37K개였으며 7.5개의 라인 메모리가 사용되었다.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다.참굴 D상 유생을 대상으로 먹이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험구와 대조구간 유생의 성장 및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C$에서 73.3%, $10^{\circ}C$에서 63.3% 및 $5^{\circ}C$에서 56.7%로 수온이 $30^{\circ}C$ 이내에서는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염분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는 실험 개시 300분 경과 후 염분 30 psu에서 93.3%로 가장 높았고, 35 psu에서 90.0%, 25 psu에서 83.3%, 20 psu에서 60.0%, 15 psu 이하에서는 거의 잠입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적정 살포를 위한 잠입률은 치패의 크기와 상관없이 저질종류는 모래 (75%) + 뻘 (25%), 입자크기는 1 mm 모래에서 높게 나타났다. 공기 중 노출시간은 짧을수록, 수온은 $30^{\circ}C$ 이내에서 높을수록, 염분은 20-35 psu 이내에서 높을수록 잠입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principle of family succession and family patterns of yangban in the late Chosun period through an analysis of male adaptation cases found in family registration records. The primary source of analysis is the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of Uiseong Kim'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ubstantial change in the patterns of family from the early and mid Chosun period to the late Chosun period. The change is the strengthening of the principle of patriarchy succession through male adoption. Looking at the data as a whole,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s increased and the membership of kinship also expanded. In contrast to the family patterns of the early Chosun period, not only the patterns of Uiseong Kim's family are predominately immediate family or collateral family but also the majority is extended famil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male adoption cases recorded in Uiseong Kim's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take up 33.8% of the male adoption cases in the entire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This goes to show that the strengthening of the principle of primogeniture succession at a time when child mortality rate is very hig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male adoption. In conclusion, the late Chosun society was a society where the seat of primogeniture was much more important than immediate hereditary members in the family succes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태환 . 신용하 (1977) '조선왕조사대 연구 추정에 관한 일시론' <동아문화> 14
  2. 김두섭. 박상태. 은기수 (2002) <한국의 인구> 통계청
  3. 김현영 (2003)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사회사> 신서원
  4. 마크 피터슨 (2000) <儒敎社會의 創出: 조선 중기 입양제와 상속제의 변화> 일조각
  5. 문옥표 외 (2001) <동아시아 문화전통과 한국사회 -한 . 중 . 일 문화비교를 위한 분석틀의 모색> 백산서당
  6. 박병호 (2004) '생활사 연구와 고문서' 문옥표 외 <조선양반의 생활세계: 義城 金氏 川前派 고문서 자료를 중심으로> 백산서당
  7. 박희진. 차명수 (2003) '두 족보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人口變動, 1700-1938' 낙성대경제연구소 주최 학술대회 <한국의 장기경제통계>
  8. 손병규 (2007) <호적> 휴머니스트
  9. 은기수 (2004a) '가계계승의 다양성과 '종족전략' 문옥표 외 <조선양반의 생활세계: 義城 金氏 川前派 고문서 자료를 중심으로> 백산서당
  10. 은기수 (2004b) '의성김씨가 가족의 변화: 호구단자 기록의 해제를 중심으로' 문옥표 외 <조선양반의 생활세계: 義城 金氏 川前派 고문서 자료를 중심으로> 백산서당
  11. 이미숙 (2007) <인구대사전> 통계청
  12. 이순구 (1996) '조선중기총부권과 입후의 강화' <고문서연구> 한국고문서학회
  13. 정진성 (1990) '서구 가족사 연구의 부흥: 아날학파와 케임브리지 그룹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24호 한국사회사학회
  14. 조혜란 (2007) '<규한록>, 어느 억울한 종부의 자기주장' <여성이론> 여이연
  15. 최재석 (1983) <韓國家族制度史硏究> 일지사
  16. 최재석 (1987) <한국가족연구> 일지사
  17. 프란시스 슈 (1985) <이에모또: 일본 사회에 대한 심리 인류학적 접근> 현상과인식
  18. 한국학중앙연구원 (1989) <古文書集成: 義城金氏川上各波篇> 五, 六, 七. 한국학중앙연구원
  19. <經國大典> (1978) 경문사
  20. <朝鮮王朝實錄> 國史編纂委員會 1955-58
  21. 朝鮮總督府中樞院 (1933) <民事慣習回答櫜集>
  22. Burgess, E. W. and H. J. Locke (1953) The Family: From Institution to Companionship New York: American Book
  23. Ebrey, P. B. (1986) 'The Early Stages in Development of Descent Group Organization' in Kinship Organization in Late Imperial China 1000-1940, edited by P. B. Ebrey and J. L. Wats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Goody, J. (1990) The Oriental, the Ancient, and the Primitive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