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적 사회적 변인

Search Result 241, Processing Time 0.223 seconds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Husbands' Authoritarian Communication (남아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 관련변인)

  • 김순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157-167
    • /
    • 1995
  • 본 연구는 평등한 부부관계로의 변화를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부인과의 대등하고 민주적인 의사소통을 저해하고, 부인의 정신.신체증상 호소라든가 가족문제를 야기시키는 한국남편의 전형적인 권위주위적 의사소통에 대한 관련변인을 밝혀내어 부부간의 민주적인 관계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328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에 대한 관련변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변인으로 자아존중감 성역할태도, 부부간의 변인으로 부부간의 의사결정권, 부부간의 학력차, 부부간의 연령차, 가족환경적 변인으로 남편의 성장가족에서 친부의 권위주위적 행동, 주관적인 사회계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개인적 변인, 부부간의 변인, 가족환경적 변인은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의 전체분산 중 14.5%, 11.3%, 11.5%를 각각 설명해 주고 있다. 개인, 부부간, 가족환경 변인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는 자아존중감, 부부간의 의사결정권 친부의 권위주의적 행동, 성역할 태도, 부부간의 학력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이들 변인은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의 전체분산 중 25.2%를 설명해 주고 있다.

  • PDF

A Study on Stress of Mother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조희선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123-133
    • /
    • 1995
  •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디스트레스에 관하여 살펴봄으로써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정신건강을 도모하여 동시에 정신지체아 가족이 가족생활에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학령전 정신지체아 자녀를 둔 어머니 135명이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일반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디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동의 연령 변인과 지체정도 변인 그리고 어머니의 학력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어머니 스트레스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디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서는 가족생활 스트레스원 변인, 비형식적 지지 변인, 문제해결적 대처 변인, 정서적 대처 변인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설명력을 파악해 본 결과 아동의 일반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변인, 가족생활 스트레스원 변인, 사회적 지지 변인, 대처 변인들을 단계적으로 넣었을 때 디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은 33%로 나타났다. 이때 디스트레스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변인은 아동의 연령, 가족생활스 트레스원, 비형식적 지지, 문제해결적 대처 변인이었다.

  • PDF

The Influence of the Social-demographic Variables and Familism on the Family-selfish Behavior (가족이기주의행동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주의 가치관의 영향)

  • 조희순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2
    • /
    • pp.68-77
    • /
    • 1995
  • 본 연구는 급속한 산업화와 현대화 과정에서 파생괸 과소비 호화혼수, 재벌의 변칙 적인 부의 세습, 상류층내의 배타적인 결혼 지나친 교육열, 환경오염등과 같은 다양한 가족 이기주의 현상의 심각성을 재인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가족이기주 의의 예방을 개선을 도모해 나갈 기본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서울시에 거주하 는 기혼남녀 333명을 대상으로 가족이기주의 행동의 실태와 이에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주의 가치관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정내에서의 가족이기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beta=.238$), 교육수준($\beta=.237$), 소득($\beta=.188$), 가족우선성의식($\beta=.156$), 형제자매 및 친척간 사회경제적 연대의식($\beta=-.155$)이었고, 교육에서의 가족이기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득($\beta=.233$), 성별($\beta=.200$), 연령($\beta=.176$), 교육수준($\beta=.156$)이었으며, 환경에서의 가족이기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득($\beta=.263$)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lationship of Social Skills &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to Adjustment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가족 $[\cdor}$ 친구의 지원 및 적응과의 관계)

  • Sim, Hee-O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7 no.6
    • /
    • pp.11-22
    • /
    • 1999
  •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social skills and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to adjustment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Subjects were enrolled in the fifth, sixth, 1st, & 2nd grades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The instruments were Teenage Inventory of Social Skills,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amily & Friends, Child Depression Inventory, and Antisocial Behavior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 between social skills and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The more social support from family children and adolescents had, the less dep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they reported. For depression, children and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the case of antisocial behavior, only adolescents revealed a significant sex difference. Depression was explained by social support from family most for both children and adolescents. Antisocial behavior was explained by social skills most especially for children. The result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and social support on emotional and behavioral adjustments.

  • PDF

Predi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amilies with Cancer Survivor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Families of Cancer Patient Receiving Treatments (암생존자 가족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 투병 중인 암환자 가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Lee, In-Je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1
    • /
    • pp.443-45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convergence study was to evaluate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of families with cancer survivor(FCS)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families with cancer patient(FCP) receiving treatm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data for 153 FCS and 115 FCP taken from the 6th wave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ocio-demographic, health related,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18.0.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predictors on the HRQoL of FCS and FCP. In FC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ere stress(${\beta}=-.192$, p<.05) and exclusion from economic activities(${\beta}=-.191$, p<.05). Therefore, families of cancer patients also need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each stage of the disease.

Homemanagement Pattern, Communication & Colaboration - Centering on Families of Cheng Ju City -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 및 가사협조도 - 청주시 가정을 중심으로 -)

  • 오경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26-34
    • /
    • 1995
  • 본 연구는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도 및 가사협조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가정내일의 협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정관리자의 관리유형 규명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녀를 1명 이상 둔 청주시 주부 418명을 대상으로 1993년 12월 중순부터 1994년 1월초까지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SAS/PC program을 사용하여 Mean, F-test t-test, Duncan's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가정관리유형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부부의 교육수준, 가정생활주기였다. 2)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부연령과 교육수준, 가정생활주기, 자녀수, 가족형태였다. 3)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가사협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남편직업, 가정생활주기, 자녀수, 가족형태였다. 4)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 및 가사협조도 간에 관계를 경로분석하여 본 결과 가정관리유형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가사협조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부언하면 가정관리자가 인간중심적인 관리유형을 취할수록 가족 내 의사소통도가 높아지고 더불어 가사협조도도 증대된다.

  • PDF

Married Immigrant Women's Social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The Case of Women from China, Vietnam, and Japan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 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 Kim, Kyung-Mi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5 no.2
    • /
    • pp.185-208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how married immigrant women's social networks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in Korea. 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using data from Nationwide Multicultural Family Survey in 2009.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keeping in touch with their family in the mother country significantly affects the level of satisfaction, while the family size in Korea is not making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strength of "Korean Network" - strong bridging network - is highlighted. Third, family gathering variables affect the level of satisfaction. An interesting point is found from the nationality segmentation. The case of women from Japan, with the longest duration in Korea, shows that both of the family and the non-family gathering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It is interpreted that family network dominates in the earlier stage of marriage, but the other social networks also play the role as the duration extends.

  • PDF

발달장애자녀 양육경험이 중년기 어머니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자기이해의 조절효과

  • 이금자;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151-156
    • /
    • 2023
  • 대부분의 발달장애를 돌보는 어머니의 양육경험 속에는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정서 및 우울증을 포함하지만, 어떤 어머니들은 장애자녀로 인해 가족 및 사회적 친화력을 높이고 긍정적인 정서경험을 통해 자신 및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나간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돌보는 중년기 어머니들의 양육경험과 우울증의 상관관계에 있어 어머니의 자기자비와 중년기의 신체 및 심리적 특성에 대한 자기이해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수행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서울, 경기를 포함한 전국에 사는 발달장애 중년기 어머니 700명을 대상으로 하며, 자료는 SPSS PC+ Ver 28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변인 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행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줄이고 건강한 가족회복을 위해 어머니의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자비의 역할과 중년기에 대한 자기이해를 강화하도록 도울 수 있는 장애인 가족지원 정책 및 사회 서비스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Factors Affecting Single Parents' Grit : Focusing on Personal Resources and Family Resources (청소년 자녀를 둔 한부모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적 자원과 가족자원을 중심으로)

  • Kim, Gayeon;Park, Jeoungyu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7 no.2
    • /
    • pp.49-62
    • /
    • 2023
  • Grit is a person's passion and perseverance that drive them to achieve long-term and meaningful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actical resources that can affect single parents' grit. Using the fourth-year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roduc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284 single par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explore the demographic factors, personal resources(psychological, lifestyle/health), and family resources(family relationships/child, economic) that affect single parents' grit.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ingle parents' gri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education status, life satisfaction, happiness, self-esteem, smartphone dependency, physical activity time, frequency of breakfast consumption, household size, parent's satisfaction with child's school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subjective family economic statu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ducation status, self-esteem, employment status, smartphone dependency, physical activity time, household size, parent's satisfaction with child's school achievement, and subjective family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ingle parents' gri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programs and policies to provide a stable environment for single-parent families to raise their children.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Single Mothers - Focusing on Family and Social Variables- (한 부모 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 -가족적,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 Kim Oh Nam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3 no.1 s.203
    • /
    • pp.129-144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and differences factors influencing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nalyze the effects of family, and social variable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the 284 single mothers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 F, and Pearson's r test, and by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ingle mothers' family variables were lower than the median, but instrumental support was higher than emotional support.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be around that of the median value. 2.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income,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3. Life satisfact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institutional support,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and emotional support. Depression among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and institutional and emotional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