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자원

검색결과 1,125건 처리시간 0.022초

기혼 남녀의 일-가족 갈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mily Healthy Difference according to Married Employees' Work-Family Conflict)

  • 전서영;박정윤;김양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3호
    • /
    • pp.59-79
    • /
    • 2008
  •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examined employees' work-family conflict, and analyzed its relationship with family health, to clarify the two-way influence of work-family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a family friendship system based upon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a healthy family. Data from 379 married female and male corporate employees were collec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the SPSS WIN 12.0 program.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 For the individual, in domain variables of work-family conflic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has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strain-based conflict,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and time-based conflict. Second - Work domain variables such as occupation, career, employment type, and working hou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hile career, and a working coupl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nally - average housework hours and childre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hereas the length of a marriage, the average housework hours, and a housework helper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 PDF

기업의 가족친화적 돌봄지원사업의 대안과 방향 -지역사회확대와 가족친화지원센터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Alternatives and Perspectives on Family-friendly Support in Business for Care Work-Focused on Community Involvement and Role of the Family-friendly Support Center-)

  • 정영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93-109
    • /
    • 2012
  • Many leading companies provide family-friendly policies for a good work-family balance an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ir workers. The workers receive such benefits as family leaves or financial support for caring for their dependents. But the employees need much more support than these benefits to properly care for their families.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the companies in the expans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to the community. A few companies see community relations-such as investing in community programs-as linked to work-family policie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best practices and alternatives of many companie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ole and perspectives of the Family-Friendly Support Center as an organization that can lead the community involvement of the business. This center can promote the company's collaboration and network of stakeholders.

  • PDF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원의 조절효과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Resources on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of Family Caregivers Performing Long-Term Care of the Elderly: A Focus on Using Home Care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3호
    • /
    • pp.121-139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resource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caregiving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aking car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servic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family caregivers utilizing 30 home care centers in Seoul, Korea. Of the candidat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250 caregivers who had supported the elderly at home for at least 6 months were select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1.0.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whole family caregivers' caregiving burden of family caregivers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More specifically, the physical burden was the heaviest, followed by the family relationship burden, the social activity burden, the emotional burden, and the financial burden. Social support resources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a little bit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Second, the variables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life satisfaction, starting with the strongest effect, were a lower psycho emotional burden, greater informational support resources, a lower economical burden, greater emotional support, a younger caregiver age, a higher monthly income, and a shorter care period. Third, informational support resources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The more the participants used the informational support resource subcategory of the social support resources, the narrower the life satisfaction decrease, even though the caregivers felt a support burden. Informational support resources appear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ADHD 자녀를 둔 가족의 가족탄력성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Family Resilience Process in Family of Children with ADHD)

  • 이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19-532
    • /
    • 2021
  • 본 연구는 ADHD 자녀를 두고 있는 가족의 가족탄력성 과정을 탐색하고자 일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어머니 1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담임교사, 학원교사, 아동지원기관 담당자와 같은 인적자원의 지지체계를 통하여 적응해 가고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가족의 도움과 지지를 통해 긍정적 관점의 변화와 함께 ADHD 자녀의 성장과 변화를 감지하였다.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ADHD 자녀를 둔 부모의 지원체계의 강화로서 담임교사와의 협조 지지체계의 구축이다. 둘째, ADHD 자녀를 둔 가족의 적응력과 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ADHD 자녀를 둔 부모의 인적 자원체계의 질적인 확장을 위해 자조모임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ADHD 자녀를 둔 가족의 가족탄력성 과정을 확인하고 이를 질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대안들을 제언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빈곤화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auperization Process of Low-Income Woman Head of Household)

  • 정미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191-216
    • /
    • 2007
  • 본 연구는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여성 빈곤의 문제, 특히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에 의해 여성들이 어떻게 자원배분과 자원통제에서 배제되어 빈곤에 취약해지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혼경험이 있는 저소득 여성가구주 10명의 생애사를 분석하였다. 저소득 여성가구주들이 빈곤층에 이르게 되기까지 빈곤경로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구주들이 빈곤에 이르게 되는 경로에 따라서 빈곤의 지속유형과 빈곤으로의 유입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여성가구주의 빈곤은 출생 가족과 결혼 후 가족에서 자원형성과 자원배분, 자원통제에서의 차별을 통해서 빈곤에 취약해졌다.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은 차별기제로 작동되었으나 빈곤화 경로 유형에 따라서 그것이 작동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음을 드러내었다. 빈곤의 지속 유형 사례 여성들에게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은 상징적인 힘으로 작동되면서 이 여성들의 경제활동은 가족을 보살펴야 하는 아내 역할의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반면 빈곤으로의 유입 유형 사례 여성들에게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은 피부양자의 위치로 자신을 인식함으로서 직업경력 단절 및 자원통제권을 상실하게 되면서 빈곤에 취약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여성가구주로 빈곤 논의에서 전제되고 있는 통념이 허구임을 밝힘으로써, 가족(The Family)만 유지된다면 여성은 빈곤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시각을 문제화하고 관점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교실 실험법을 활용한 새로운 가정자원관리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w Method for Teaching Family Resource Management with Classroom Experiments)

  • 조유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4호
    • /
    • pp.39-5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a new method for teaching family resource management using classroom experiments. Classroom experiments are very attractive in the sense that students are placed directly into the various environments being studied, and they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ratic Method, as opposed to traditional lectures. The family resource management approach focuses on the resource allocation behavior of families in the utilization of their human and non-human resources to achieve goals. Therefore, there are many family resource decision situations to which classroom experiments may be fruitfully applied. With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applying managerial concepts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in practical situations. The study results might be used to analyze an interactive framework that facilitates discussions of classroom experiments, family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and human ecology.

  • PDF

울진 성류굴의 관광적 특성 (A study on the tourist character of Seongryu Cave in Uljin)

  • 유영준
    • 동굴
    • /
    • 제53호
    • /
    • pp.15-24
    • /
    • 1998
  • 여가 및 레저에 대한 의식구조의 변화와 가족 중심의 여가활동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자연학습장으로서, 지구과학 전시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동굴이 이동을 전제로 한 가족 단위 관광객들의 관광 대상지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자원으로서의 동굴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개발 역사가 오랜 성류굴의 관광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굴은 지형 ·지질작용과 관계가 깊은 자원이지만 지하의 신비적 경관이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그 구조의 특성에 따라 산업적 ·군사적 또는 학술적 연구의 이용에 크게 기여하는 등 다기능적 복합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동굴을 ‘복합 관광자원’이라 분류한다. 이런 동굴 중에서 성류굴은 오랜 역사를 지닌 관광자원으로서 구전 전설의 주인공이라는 ‘문화 · 역사적인 특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지형적인 특성’, 도로와 철도를 이용한 ‘교통접근성’ 등의 관광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 PDF

공공가정의 인적자원 관리방안 - 건강가정사 직무분석에의 적용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Institutional Household - To the Application for Job Analysis of Healthy Families Center Worker)

  • 송혜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1호
    • /
    • pp.23-39
    • /
    • 2009
  •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examine the basic scheme required for the job analysis of healthy family-center workers in the contex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this purpose, factors including frequency, importance, priority, and difficulty were examined. The job classification and concrete job activities were extracted from the interviews of eight healthy family-center workers, and these factors were then analyzed from the recording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28 job tasks were collected and the four job types were classified. The results can be used for job analysi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methods should be used for job analysis and that a large number of samples should be utilized for the further studies.

  • PDF

가족친화인증기업(관)의 가족친화경영 성과 및 사후지원 효과 - 기업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중심으로 - (Family-friendly Management Outcomes and the Effect of Ongoing Support: A Focus on the Organizational and Social Outcomes of Family-friendly Certified Firms)

  • 이승윤;이유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3호
    • /
    • pp.17-30
    • /
    • 2021
  • 본 연구는 2019년 현재 가족친화인증을 유지하고 있는 501개 기업(관)을 대상으로 인증 획득 후 가족친화경영 수준을 파악하고 기업(관)이 인지하는 기업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증 후 컨설팅, 가족친화 직장교육 등 사후지원이 인증기업(관)의 가족친화경영과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족친화경영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증기업(관)의 가족친화경영과 관련하여 가족친화 관련 제도의 규정화 운영수준은 높은 편이나, 성과지표 관리 측면은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관)의 실질적인 성과와 연동되는 가족친화경영 성과지표 산정과 측정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기업성과 중 기업(관) 홍보 및 이미지 개선과 조직신뢰향상, 사회적 성과 중 조직리더의 가족친화인식 향상과 성평등 직장문화 조성을 높게 인식하는 점을 정책적으로 홍보하고 기업(관)의 유인책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기존의 듀얼 아젠다 관점에서 확대된 제3의 아젠다인 사회적 성과로서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을 위한 기업(관)의 파급력을 강조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전반적으로 인증 후 컨설팅이나 가족친화 직장교육의 경험이 있는 기업(관)이 없는 기업(관) 보다 가족친화경영 수준, 기업성과, 사회적 성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친화경영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기업 및 사회적 성과 달성을 위해서는 기업(관)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Perceptions of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in Small and Medium Size Business)

  • 김미영;손서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01-311
    • /
    • 2018
  • 본 연구는 중소규모 기업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 소재한 중소규모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10월부터 11월까지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 6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이 속한 기업 중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은 없었으나, 모든 기업에서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근로시간 단축 등 다양한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중소규모 기업에서도 가족친화경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소규모 기업의 특수성, 제도 확대에 따른 부담, 제도 도입의 복잡성 등과 같은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제도 도입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각 기업의 상황에 따라 가족친화 인증 참여 의지는 다르게 나타났으나, 연구참여자들은 가족친화경영의 필요성을 인지함에 따라 CEO 교육 확대, 가족친화제도 도입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 홍보 확대 및 제도의 간소화 등을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참여 확대 방안으로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참여를 확산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