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의 부담감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5초

장애아동 형제의 부담감이 가족적응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the Adjustment of the Siblings of Handicapped Children in School and in the Family)

  • 서명석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6호
    • /
    • pp.201-218
    • /
    • 2004
  •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djustment of the siblings of handicapped children were explored in this study. More specifically, how social and demographic variables affect the burdens the handicapped children's siblings experience, and how such burdens affect their adjustment in school and in the family were examined.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39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who have one or more handicapped siblings.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their handicapped siblings who received services from social wet(are facilities in Daejon and Chungchong area.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easurement or Burdens for Handicapped children's siblings (Lee, Yoon Hwa, 2002), FACES (Olson et al, 1986). and The Measurement of Children's Adjustment in the School (Lim Jung Soon, 1993).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ho results show that handicapped children's siblings have no difficulty in adjusting in the family if they have a religion, an elderly mother, and a high family income. They have no difficulty in adjusting in the family and in school, as long as they have no or little negative change in family relationship, low psychological burden, and no negative relational change for the handicapped sibling. Father's age and the family income their the only factors that affect their adjustment in school.

가족부담감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mily Burden Questionnaire)

  • 오가실;채선미;전나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8권3호
    • /
    • pp.272-280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mily Burden Questionnaire. Method: The subjects were 156 caregivers of children with acute or chronic disease. To test the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analyzed, and factor analysis, known-group technique,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utilized for validity test. Result: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he tool was .89. Six factors were identified and explained 58.7% of the total variance. Through analysis using known-group technique, the difference of family burden between acute and chronic diseas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 -4.09, p<.001). Correlations with mood state, other family burden score by Family Burden Interview Schedule, quality of life, and health symptoms were also relatively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Family Burden Questionnaire showed a relatively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to measure the burden of caregivers caring patients with various chronic conditions in Korea. For the further study, it may be reconsidered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Family Burden Questionnaire with the various subjects from different age groups.

  • PDF

산업재해환자 가족원의 부담감과 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rden and Adaptation of Caregiver of Industrial Accident Patient)

  • 우미경;우선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4-114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basic data for an effective measure for the caregiver's burden and adaptation of industrial accident patient. Method: The data were computerized by the SPSS/pc for Window. Results: 1) The burden felt by the caregiver of the patients who were in hospital was more than 'average', and objective burden was higher than subjective one. 2) The adaptation felt by the caregiver was more than 'average'. 3) The objective burden of the caregiver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var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 and the patient,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caregiver, the age of the caregiver, nursing period, nursing time per day, and so forth. The subjective burde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 and the patient,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caregiver, the age of the caregiver, nursing period, nursing time per day, and the religion. 4) The adaptation of the caregiver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varied in monthly income and nursing period.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adaptation of the caregiver were reverse. Conclusion: Even though the caregiver have high burden, they positively adaptation it.

  • PDF

초기 치매환자 가족 돌봄제공자의 공유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질적 내용분석 연구 (Perception about Shared Decision Making of Family Caregivers of Early Dementia Patient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udy)

  • 김윤재;송준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501-51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치매환자 가족 돌봄제공자의 공유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3개 치매지원센터에 등록된 초기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 돌봄제공자 12명(여성 8명, 평균연령=$71.4{\pm}10.4$세)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개별 심층면담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해 질적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내용 분석한 결과 6개 범주, 17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는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치매환자 가족 돌봄제공자의 공유 의사결정에 관한 인식은 치매환자와의 의사소통 촉진 수단과 치매환자의 자율성 보장 수단, 치료 촉진 기회, 가족 돌봄제공자의 부담감 증가 원인, 치매환자와의 관계 악화 원인, 우선순위 변화에 따른 선택 사항의 여섯 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또한, 공유 의사결정의 상황과 시기 및 공유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이 가족 돌봄제공자의 경험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매 관련 교육 시 간접경험을 통해 공유 의사결정을 선택 사항으로 생각하는 가족 돌봄제공자들에게 공유 의사결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 등을 제공하는 것이 공유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 결과에 근거하여 초기 치매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과 가족 돌봄제공자들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유 의사결정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총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연구를 제언한다.

암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atity of a Korean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Among Cancer Caregivers)

  • 이영선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123-143
    • /
    • 2009
  •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큰 생활의 변화와 부담을 겪으며, 그 안에서 긍정적 경험과 성장을 보고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암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외상 후 성장(K-PTGI) 척도를 사용하기 위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를 구하였으며, 수렴판별, 기준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긍정적 적응, 일상생활 방해, 돌봄부담감, 경제적 부담, 사회적지지, 종교여부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K-PTGI는 암 환자 가족의 외상 후 성장을 평가하는 타당한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임상적 연구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역할 변화 경험 (Nurse's Experience of Changing Role in the Hospice Unit of Medical Ward)

  • 김현주;구정일;변준혜;김수미;최화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1호
    • /
    • pp.30-41
    • /
    • 200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역할 변화 경험이 무엇인지 조사하여 호스피스서비스의 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로서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내 일 대학병원의 호스피스병동 간호사 12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06년 5월에서 7월 사이에 3차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사용된 연구 질문은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면서 경험한 역할변화는 무엇인가?", "호스피스 간호를 하면서 변화된 역할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반응은?" 이었으며 3차 인터뷰에서는 위의 두 가지 질문과 함께 "호스피스 환자를 간호하면서 경험한 부담감과 어려움을 위한 해결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추가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Kruger(1998)가 제시한 분석과정에 따라 4단계 지침을 이용하였다. 결과: 1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가 경험한 역할 변화는 '기계적인 간호에서 인간적인 간호로의 변화', '임종을 지키는 간호', '가족지지 및 상담', '팀워크 조율' 등의 4개 범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병동에서 근무할 때와 비교하여 심리사회영적인 부분과 가족을 배려하는 진호실무의 질적향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변화된 역할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과 반응은 두려움, 난감함, 성숙, 부담감, 미안함, 뿌듯함, 감정이입, 우울 등 총 8개의 범주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사들이 개인적으로 삶과 죽음에 대한 성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3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두려움, 난감함, 부담감, 미안함 등의 부정적인 경험의 감소를 위한 해결책은 호스피스 간호를 수행하기 전에 간호사 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호스피스 교육이 필요하고 호스피스 전용병상의 형태보다는 독립 호스피스 병동의 개설이 필요함을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간호하는 간호사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통해 신체적인 면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영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전인간호, 가족을 배려하고 팀�p을 중시하는 발전된 간호를 수행하게 되었으며 개인적으로도 삶과 죽음을 이해하게 되는 성숙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호스피스간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독립적인 호스피스 병동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호스피스 병동에 근무하게 된 간호사들이 사전에 적절한 호스피스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 PDF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f Care for Families with Mentally Disabled and Quality of Life)

  • 이유리;최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29-241
    • /
    • 2017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의 사회복귀시설과 정신건강증진센터에 등록된 정신장애인 가족 102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장애인의 가족이 그들 자녀를 돌보면서 경험하는 보호부담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탄력성은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 간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하위요인 모두에서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끝으로 사회적 지지는 보호부담과 삶의 질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를 근거로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보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정신장애인 가족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 노력과 이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활동보조서비스가 가족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An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Disabled Persons upon the Burdens of Raising a Family - Focusing on Family Resilience Control Effect -)

  • 신준옥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95-117
    • /
    • 2014
  • 본 연구는 활동보조서비스(신체활동지원, 가사활동지원, 사회활동지원) 이용이 가족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활동보조서비스와 가족 부양부담감 간에 가족탄력성(가족신념체계, 가족응집력, 상호작용)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파악하여 장애인복지의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위하여 경기도를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지역으로 나누어서 2013년 4월 1일~5월 15일까지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는 1급, 2급 장애인가족 부양자 2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기초로 한 조절적 다중회귀분석(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활동보조서비스 중 신체활동지원을 이용하는 경우 장애인가족의 부양부담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보조서비스가 가족부양부담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중 가족신념체계와 가족응집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혈액투석환자 가족의 부담감,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Burd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s of Hemodialysis Patients)

  • 윤수경;탁영란
    • 임상간호연구
    • /
    • 제20권3호
    • /
    • pp.395-40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on family nursing interventions by examining burd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on hemodialysi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32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on hemodialysis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method, one-way ANOVA and post-hoc analysis of $Scheff{\grave{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urden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on hemodialysis was 3.03, social support, 4.77, and quality of life, 3.26. Burde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34, p<.001), and with quality of life (r=-.54, p<.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r=.54, p<.001). Factors predicting quality of life for family caregivers, were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from social support (t=5.72, p<.001) and a negative effect from family burden (t=-5.62, p<.001). Conclusion: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burden of these family caregivers can be reduced by social support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hich goes beyond simply caring for patients and includes assessment of family burden and support for overall family caretaking needs to be developed.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따른 가족의 부담감 (The Degree of Burden of Family Caregivers as Related to the Level of ADL of Patients with Strokes)

  • 김현미;박점희;장군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62-373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and undertaken to identify the degree of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patients who had a stroke as the burden is related to the ADL of the 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3rd, 1997 to March 20th, 1998.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6 caregivers as family members and 126 patients with strokes who were hospitalized in two oriental medicine hospitals and four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Taegue and Pusan City.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burden(25 items) of caregivers and ADL (25 items) of patients with strokes.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s, mean, t - test and ANOV A done with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core for family caregiver's burden was higher than the middle score. 2. The family caregivers' 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burden. 3. The age and sex of patients affected the burden of caregivers significantly. That is, caregivers felt more of a burden when caring for the patient group in their sixties than in any other age group and female patients created more of a burden than male patients.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aregiver burden according to the level of patient AD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