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내 역할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Role of Women in Health Care in Korea (한국 보건의료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44-50
    • /
    • 1984
  • 한국여성은 전통적으로 대가족제도 속에서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종사해왔다. 그러나 산업화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여성들도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가치변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반면에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함으로서 가족 내에서의 자녀양육을 비롯한 가정적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여성에게 현재의 사회구조와 핵가족 속에서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역할사이에서는 여성은 갈등과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 이중적인 부담 속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가치관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여성-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은 부계 중심의 혈연 계승을 중요시하는 가부장적 대가족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계 계승을 통한 가족의 영속성과 가 중심사상에 기반을 둔 철저한 가족주의적 가치관이 전통적 사회를 지배하여 왔다. 그러므로 자연히 개인보다 가족집단이 우의적인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행동의 결정에도 중요한 준거 집단이 되었다. 이러한 가의 영속 및 번영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녀를 필요로 했으며 부계중심 가족에서 자연히 남아 선호사상이 강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조상에 대한 의무요 책임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가부장권의 확대에 반비례해서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축소되어갔다. 여성들의 절대적인 예속을 필요로 하여 삼종지도니 칠거지악이니 불경이부등의 도덕률을 만들었으며 여성들 스스로가 이러한 정절과 복종을 미덕으로 생각하도록 교육받음으로서 여성들 자신이 자기희생의 굴레 속에서 인내와 복종의 생활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남편과 자식을 위해서는 목숨까지도 희생하게끔 철저히 사회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가족 제도 안에서의 남녀의 지위는 동위 항렬 내에서만 해당되고 항렬을 달리할 때는 삼종지도의 이론에 부합된다. 어머니로서의 존장련이 인정되어서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에 비하여 모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상례와 제례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의식에는 차이가 없으며 내외 명부제도에 의해서 부인도 남편과 똑같은 대우를 받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존장련에 의한 모의 권리와 더불어 부부유별에 의해서 가사권의 독자적인 결정권도 인정되고 있었다.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 전통적으로 건강관리에 관련된 한국여성의 역할은 1. 씨받이로서의 역할로 생명을 잉태하도록 돕고 건강한 아이의 수태를 위해 태교에 힘썼으며 2. 자녀의 의식주를 해결하는 가사 역할만을 담당하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출산한 생명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였으나 체계적인 건강관리는 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으나 정서, 사회면은 도외시 한 과잉보호현상이었다. 3. 결혼 후에는 남편의 건강관리를 위해 철저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고 정서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념하였다. 4. 또한, 임종시 평안한 죽음을 맞도록 도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여성의 역할은 돕는 역할이었다.

  • PD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amily-related Gender Role Attitudes : Changes from 1991 to 2002 (1991년도와 2002년도 남녀 대학생의 가정내 역할에 대한 성역할 태도)

  • Whaung, Eun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2 no.1
    • /
    • pp.77-89
    • /
    • 2004
  • The study examined the shift in the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familial gender roles between 1991 to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here were changes toward the egalitarian direction in familial-related gender role attitudes between 1991 and 2002, in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b)Yet, despite of these changes toward egalitarianism, Female colleges students exhibited the more egalitarian familial gender role attitude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both in 1991 and 2002. (c)The shift toward more egalitarian attitudies was most pronounced in couples' equal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the sharing of housework, and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force. however, the shift toward egalitarian attitudies was less pronounced in the issues concerning outside home activities of the mothers with infant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for the future family and family education programs were discussed.

The Effect of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s on employees' performances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이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Young-H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6
    • /
    • pp.103-111
    • /
    • 202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s (FSSB) by supervis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marriage)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FSSB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subjective well-being, and family performance. A total of 346 ca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of FSSB of male and female supervisor,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of FSSB of married and unmarried supervisor. And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SSB and employees' work engagement and FSSB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family performance.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Living Arrangements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성인자녀와의 동거여부와 우울증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Kim, Hak-Ju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1
    • /
    • pp.141-156
    • /
    • 2002
  • The relation among social support, depressive symptoms, and living arrangements were examined in a non-random sample of 175 adults age 60 and older. A convenience sample was obtained through a personal interview.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used to explor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living arrangements of elderly Koreans and thei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analyses suggesting that social suppor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oderating depressive symptoms, in relation to negative living arrangements among older Korean populations (the buffering-effect hypothesis).

  • PDF

The Meaning of Study in the Convergence Role of Married Nursing Graduate Students: Focusing on Doctoral Students (기혼 간호대학원생의 융합적 역할 내 학업의 의미 : 박사과정생 중심으로)

  • Lim, Yunmi;Lee, Shinae;Song, Hyeyoung;Park, Hyoj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0
    • /
    • pp.507-521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depth and deeply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academic experience that married nursing graduate students have experienced in their Convergence roles. Methods: Giorgi(2004) method was used the four-step data analysis procedure following the technological phenomena. Participants were four nursing doctoral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work, child-care. and educ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wo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7. Results: Data analysis was structured into 12 concepts and 5 categories, centered on thinking, feelings, and changes in life for study before and after entering graduate school. The five categories are 'I enjoy flying more than anyone', 'I am different from them', 'A solitary journey toward a dream', 'Family is my strength' and 'I have a dream.' Conclusions: In order to help married nurses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build a support system for the family,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a socially practical support system.

해외이주와 교육 사업을 위한 경영혁신 방안

  • Jeong, Ji-Yun;Gang, Gyeong-Sik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81-486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외 이주와 교육 분야에 관련 전문가 부재 현상에 대한 바른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1998년 IMF로 많은 해외이주자와 유학생이 증가했지만 2010년 현재는 해외이주자와 유학생이 오히려 한국으로 역 이주와 유학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한국 내에서도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로 단일민족이 아닌 다문화사회로의 준비를 해야 한다. 학교들 측면에서도 한국 내에 대안학교들의 학력인정과 국제학교와 외국 유명대학 연계 한국 내에 정착은 2007년 이래 외국인 100만 시대에 접한 우리 대학들이 다문화가족 자녀와 외국인 학생 유치에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판단한다.

  • PDF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Status and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among Elderly Koreans (한국노인의 경제적 지위 결정요인과 세대간 지원의 역할)

  • Woo, Hae-Bong;Yoon, In-Jin
    • 한국노년학
    • /
    • v.25 no.2
    • /
    • pp.73-93
    • /
    • 2005
  • This study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status and well-being among elderly Koreans. Particular emphasis is paid to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in these processes because institutional responses to an aging population in Korea are currently inadequate. Path model results indicate that status maintenance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conomic status and well-being as measured by comprehensive income. Further, inequality in comprehensive income - as measured by the Gini and Theil's indices - is substantial and increases in successive age groups. However, market-based and family-based income, two components of comprehensive income, show different patterns. Inequality in market-based income is apparently increasing, while inequality in family-based income is decreasing gradually in successive age groups. With respect to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results indicate that family-income-focused persons possess highly vulnerab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a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elderly Koreans, intergenerational suppor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later stages of life.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transition from latency to manifestation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in Korea.

Determinants of Householdwork and child Care Time of Wives and Housbands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시간 결정요인 연구)

  • 허경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90-105
    • /
    • 1994
  • 본 연구의 기본적 취지는 부인과 남편의 가사와 자녀 양육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가사분담 및 육아시간 설명에 유용하게 쓰여온 다양한 관점의 이론을 도입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된 이론은 경제적 효율가설(Economic Efficiency), 수요 및 실행가능가설 (Demand/Response Capability), 성 역할관념가설(Sex-Role Ideology), 그리고 상대적 자원가설(Relative Resources)이다. 이 가설들로부터 유출된 대용변수들의 부인과 남편의 가사와 육아시간에 미치는 효과가 검증되었는데 이 변수들은 임금률 부부간의 임금률 비율 노동시 장에서의 근로시간 어린자녀 수 성별에 따른 역할에 대한 사고관, 소득, 부부간의 상대적 소 득수준 교육수준 직업 연령 가족형태, 인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는 1988년 미국 위스콘신 대학 (메디슨)내의 인구 및 생태국(Center for Demography and Ecology)에서 실시한 전국 가족 및 가계조시(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이다.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 시간량을 설명하는 이론의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역할 관념가설을 부인과 남편모두의 가사 및 육아노동 시간을 잘 설명하는 가설로 나타났고 수요 및 실행가능성가설은 남편보다는 부인의 가사와 육아시간에 더 설득력있는 가설임이 밝혀졌다. 대체적으로 경제적 효율가설과 상대적 자원가설의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요 및실행가능가설이 남편의 총가사시간을 설명하는 효과는 크지 않았으나 남편의 여성중심형 과업시간에는 유의마한 변수로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 PDF

A Study of a joint residential design with a companion dog to the user-centered (반려견과 공생하는 공동 주거 디자인 제안 - 젊은 1인가구 사용자 중심으로)

  • Heo, Yuri;An, Se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1-252
    • /
    • 2017
  • 핵 가족화,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도시 독거노인 및 독신인구가 급증합에 따라, 외로움과 소외감을 극복하고 또 다른 형태의 가족적 유대감을 얻기 위하여 반려동물, 반려인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 문화는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데 반해, 이를 지탱할 수 있는 사회나 문화적 의식과 공공 기반시설의 질적수준은 초기 단계수준이다. 반려견 소유자와 일반인들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여 관련 제도나 법에 대해 논란이 되고 있다. 갈등과 논란을 해소하며 반려동물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는 도시 내 반려인 전용 주거 시설의 개념과 역할, 공동 주거 시설로서의 사회적 필요성을 고찰하고, 새로운 공동 집합 주거 공간의 방향을 제안한다.

  • PDF

Adult-role Burden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Poverty (빈곤과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 간의 관계 : 성인역 부담의 역할을 중심으로)

  • Park, Hyun-Sun;Chung, Ick-Joong;Ku, In-Ho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8 no.2
    • /
    • pp.303-33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overty,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ing, burdens of adult roles and socio-emotional problems. It was especial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f adult roles and socioemotional problems among children in povert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for analyses. The Theoretical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poverty and adult roles (for example, parentification and parentified children). Data came from the first wave of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SPSC' and subjects consisted of 1,807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who were located at K-Gu in Seoul.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25th to November 20th in 2005.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gruent with the theoretical expectations. To find a more appropriate model, three kinds of structural models were hypothesized and analysed. In the most appropriate model which had a good model fit, poverty and family structure impacted on socio-emotional problem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socio-emotional problems was mediated by family functioning and burdens of adult roles. The same mediation process existed between family structure and socio-emotional problems also. In brief, children in poverty or those who have a single parent are more likely to have impaired family functioning, which is likely to cause higher burdens of adult roles. In turn, those who have higher burdens of adult roles are more likely to have socioemotional problems. In conclusion,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ocusing on the burdens of adult roles or caretaker roles among children in poverty we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