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건강

검색결과 1,635건 처리시간 0.028초

에이즈(AIDS)감염자 가족을 위한 안내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20권12호통권217호
    • /
    • pp.18-18
    • /
    • 1996
  • 에이즈 감염자는 심리적으로 매우 고독할 수 있다. 감염자들이 병과 싸워 이기고 정상적인 생활을 하려면 가족과 보호자의 관심과 배려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들이 단지 에이즈라는 질병을 지녔다고 해서 피하거나 소외시켜서는 안된다. 그들은 여전히 우리의 가까운 가족이며 이웃이기에 여러분의 따뜻한 보살핌이 필요하다.

  • PDF

에이즈(AIDS) 감염자 가족을 위한 안내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21권2호통권219호
    • /
    • pp.27-27
    • /
    • 1997
  • 에이즈 감염자는 심리적으로 매우 고독할 수 있다. 감염자들이 병과 싸워 이기고 정상적인 생활을 하려면 가족과 보호자의 관심과 배려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들이 단지 에이즈라는 질병을 지녔다고 해서 피하거나 소외시켜서는 안된다. 그들은 여전히 우리의 가까운 가족이며 이웃이기에 여러분의 따뜻한 보살핌이 필요하다.

  • PDF

남녀 청소년의 가족배경변인, 자아존중감 및 가족건강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on Achievement Motiva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 현정미;신효식;이선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5
    • /
    • 2014
  •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가족배경 변인,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성취동기 향상을 위한 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가족존중 및 애정,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유대감, 재정적 안정), 성취동기 모두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배경 변인,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성취동기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은 생활수준,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전체가 성취동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여학생은 생활수준, 부학력, 모학력,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전체가 성취동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남학생의 성취동기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족이 서로 역할을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지니며,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가족 간 유대가 좋으며 재정적으로 안정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남자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42% 설명해주고 있다. 여학생의 성취동기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재정적으로 안정되고, 가족 간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가족 간 유대가 좋을수록 높았고, 이들 변인은 여자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39% 설명해주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년 스스로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고 자신을 존중하며,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도록 교육적인 관심과 기회 제공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가족 간의 의사소통 및 유대감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한국 농촌의 건강가족 집단 분류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자녀교육기의 농촌가족을 중심으로-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althy Family Groups of Rural Families in Korea -Especially written about middle school children family stage-)

  • 양순미;유영주;정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31-4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health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groups of rural families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ll couples from the selected 40 villages whose eldest childs educational level is at least at a middle school level. The data for 356 people from 178 households were analysed. Groups of healthy family were organized into two classes - the H group, and the L group. The probability to be involved in H group, by logistic analysis, was heightened as the mental health of the family and marital satisfaction increased, and as the seriousness of a couples problems decreased. Also it was heightened as the numbers of family members decreased, as the academic level of couple accorded, as the problems of kinship were no, and as the problems of local society were recognized. The groundwork of this treatise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establish a model of a healthy rural family and make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rural family health.

  • PDF

건강가족을 위한 가족의 기능과 특성에 관한 성인의 인식 (Adults′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s and Qualities Needed for Strong Families)

  • 유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4호
    • /
    • pp.173-180
    • /
    • 2004
  • This study analyzed Korean adults'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s and qualities needed for strong families. The sample consisted of 806 adults living in Seoul. Among different family functions, love and emotional support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or family strength, while religion and consumption as family functions were not perceived as important. The surveyed adults thought that the function of socialization was the most essential among the family functions according to Murdock's(1949) theory, which were, sexual, reproductive, socialization, and economic functions. They responded that the most needed qualities for strong families were commitment, followed by appreciation and affection, positive communication, ability to cope with stress and crisis, enjoyable time together, and spiritual wellbeing. Adults'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s needed for strong families explained 27% of the variance in perceptions of qualities needed for family strengths. Finally, this study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한부모 가족의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Health of Single-Parent Families on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 최태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7-139
    • /
    • 2021
  •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의 유아를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이 자기조절력,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세~5세 유아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은 학부모가 하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SPSS Satistics와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다중회귀 분석과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 부모 가족의 가족건강성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한부모 가족건강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한부모 가족이라는 가족형태보다 가족원 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가족센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입양가족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mily Support Service for Adoptive Families in terms of Necessity and Role of the Family Center)

  • 이선형;배지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1-17
    • /
    • 2022
  • 본 연구는 가족센터와 입양기관에서 입양 프로그램을 다룬 경험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진행 경험을 살펴봄으로 가족센터의 입양가족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역할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입양가족 대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있으며 자발적으로 인터뷰에 응한 가족센터 3기관의 종사자 9명, 입양기관 2기관의 종사자 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가족센터가 처음 입양가족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된 계기로는 다양한 가족을 발굴하면서와 주요 의사결정 대상자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기존 프로그램에 입양가족이 참여하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양가족 대상 프로그램은 기존의 프로그램, 즉 자조모임과 공동육아나눔터 등에 만족하면서 가족교육이나 가족상담을 요청하면서 확장되었다. 그러면서 현장의 실무가들은 입양가족에게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가게 되고 좀 더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심하는 과정을 거친다. 셋째, 실무가의 애로사항이기도 한 것으로, 정부 부처의 공식적 요청이나 지원,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의 매뉴얼이 없어 자신들의 방식으로 주변 입양기관과의 협력과 자원 발굴의 과정을 거치면서 입양프로그램을 진행해오고 있었다. 넷째, 실무가들이 평가하는 전달체계로서 가족센터의 장점은 전국적 인프라와 가족 전문가의 상주, 통합적 가족 프로그램 제공 등을 들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극복해야 할 점으로는 입양가족 대상자의 특수성을 고려한 담당자의 대상자 이해교육과 입양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기본 메뉴얼 제공, 가족 대상자의 포괄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재정 지원 확대를 꼽았다. 이에 대한 노력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입양가족의 건강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건강가족을 위한 한국가족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 건강가정기본법과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The Paradigm Shift of Family Policy for Healthy Families in Korea : The Basic Code of Healthy Families and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 윤경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4호
    • /
    • pp.85-101
    • /
    • 2008
  • This paper examines the traits and directions of family policy represented in the Basic Code of Healthy Families.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family policy for family professionals and policy makers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s for families and the implications of such strategies are also discussed. A family-friendly and a life course perspective are adopted in order to strengthen and expand family policies and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a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The perspectives and issues of the Basic Code of Healthy Families are reviewed in the light of a paradigm shift in family policy in Korea, with suggestions for adoption of the family policy also addressed.

르뽀-현장취재 해원의보 피부양자 건강검사의 현장을 찾아서

  • 이은희
    • 건강소식
    • /
    • 제11권9호통권106호
    • /
    • pp.2-6
    • /
    • 1987
  • 한국해원의료보험조합이 피보험자 가족(피부양자)에 대한 건강검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승선할 때마다 건강검사를 받게 되는 선원들과는 달리 특별히 검사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없는 가족들의 건강관리에 관심을 가진 해원의보는 여유 있는 재원을 이용하여 전국 각 시도에서 35세 이상 50세 미만의 피부양자 17,000여명을 대상으로 건협의 이동검진버스를 활용해 검사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전국적으로 퍼져있는 조합원 가족의 주소를 수집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는 이번 사업은 검사대상자들의 호응도에 따라 연차적으로 확대 · 정착시켜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이번 검사는 관할 보건소나 구청 등에 검진버스가 현지 출장해 구역 내의 주민들을 1차 검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기자는 이번 건강검사사업의 첫 테이프를 끊은 서울지부 이동 검사팀을 따라 강서구 내 선원가족의 검사현장의 강서구청을 찾아가 그들의 검사과정, 호응도 등을 지켜봤다.

  • PDF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ived Family Strengths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 고철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389-39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와 C시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아동의 어머니 17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양육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종교가 없는 경우, 장애아동의 치료기간이 길수록,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총 28.5%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이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주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