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Health of Single-Parent Families on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한부모 가족의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Choi, Tae-Sun (Division of Liberal Arts College, Seowon University)
  • 최태선 (서원대학교 교양대학교)
  • Received : 2021.07.20
  • Accepted : 2021.08.26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health on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infants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urvey of 350 children aged 3 to 5 who were enrolled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Parents were asked to respon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and SPSS Process Macro,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health of single-parent families was partial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infant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parent family health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is affec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rather than the family type of a single-parent family.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의 유아를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이 자기조절력,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세~5세 유아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은 학부모가 하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SPSS Satistics와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다중회귀 분석과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 부모 가족의 가족건강성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한부모 가족건강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한부모 가족이라는 가족형태보다 가족원 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2020). e-나라지표
  2. 여성가족부(2019). 2018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3. Kostelnik, M. J., Whiren, A. P., Soderman, A. P., Stein, L. C., & Gregory, K.(2002).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ory to practice. NY: Delmar.
  4. 황희숙(2015). 한부모 가정의 빈곤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자녀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14, 159-180.
  5. 김인경(2021) 양부모가족에서 한부모가족으로의 가족 유형 변화와 아동의 발달. KDI정책포럼, 282, 1-8.
  6. 어은주, 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지, 13(1), 145-156.
  7. 박미숙, 김복영(2017). 가족건강성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자기조절력과 배려적 행동의 매개효과.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2(4), 19-37.
  8. 김은하(2017). 가족의 건강성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력과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양순미, 유영주(2003). 자아존중감, 가족의 건강성,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농촌청소년의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9), 121-134.
  10. 김정주, 박형신(2015). 어머니가 인식한 가족의 건강성이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심리적건강성에미치는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3, 67-87.
  11. 박지연(2017). 가족건강성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성숙(2019). 가족건강성의 유아의 행복감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1(4), 69-85.
  13. 홍혜진, 김경숙(2020). 유아의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24, 1-22.
  14. 김은설, 최은영, 조아라(2013).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영유아기 인성교육 강화 방안.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5. 이시형(2013). 아이의 조절력. 서울: 시공사지식채널.
  16. 양옥승(2006).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61-187.
  17. Williford, A. P., Whittaker, J. E. V., Vitiello, V. E., & Downer, J. T.(2013). Children's engagement within the preschool classroom and their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4(2), 162-187. https://doi.org/10.1080/10409289.2011.628270
  18. 최기영(1999). 현대사회와 유아교육. 교문사.
  19.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요인 및 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Williams, K. E., & Berthelsen, D.(2017).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ur in early childhood: Contributions of early parenting and self-reg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49(1), 73-94. https://doi.org/10.1007/s13158-017-0185-5
  21. 함미미, 서소정(2019). 유아의 혼자놀이와 자기 조절력이 사회적 놀이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9(5), 85-105.
  22. 조은진, 우인해(2019).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9(4). 203-216.
  23. 김영욱(2020). 중년기 성인의 가족건강성과 노후준비도가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원봉사활동 매개효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Stinnett, N., & Sauer, K. H.(1977).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trong families. Family Perspective, 11. 3-11.
  25. Defrain, J., Stinnett, N.(2002). Family strength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arriage and Family, 2, 637-652.
  26. Olson, D. H., & DeFrain, J.(2000). "Marriage and the family: Diversity and strengths. CA". Mayfield.
  27. 정희선, 박성연(2010). 가정분위기 및 또래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1), 19-33.
  28. 이현주, 문혁준(2011).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과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83-203.
  29. 이윤희, 이미숙(2009).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21-221
  30. Kopp, C. B.(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31.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32. Bronson, M. B.(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NY: Guilford Press.
  33. Gottman, J. M. & Katz, L. F.(1997). Buffering children from marital conflict and dissolu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6(2), 157-171.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602_4
  34. 정숙향(2016).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손복영(2015).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조절력과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 113-130.
  36. 강은화(2009).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자기조절 능력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Goodman, S. H., Brogan, D., Lynch, M. E. & Fielding, B.(1993).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children of depressed mothers. Child Development, 64(2), 516-531.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3.tb02925.x
  38. 이혜원(2005).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Katz, L. G., and McClellan, D.(1997). "Fostering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The Teacher's Role".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40. Schneider, B., Ashworth, S., Higgs, A., & Carr, L.(1996). Design, validity, and use of strategically focused employee attitude surveys. Personnel Psychology, 49, 695-70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6.tb01591.x
  41. McCall, D. G., Bishop-Hurley, G. J.(2003). A pasture growth model for use in a whole-farm dairy production model. Agricultural Systems, 76, 1183-1205. https://doi.org/10.1016/S0308-521X(02)00104-X
  42. 곽수란(2006).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1), 1-26.
  43. 임정아, 이인수(2006). 청소년기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연구. 아동교육, 15(2), 37-62.
  44. 우덕례(2014). 만 5세 유아의 가정환경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의사결정력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39-162.
  45. 라아영(2015). 중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Hayes, A. F.(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Second Edition: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47. 유영주(2004). 새로운 가족학. 서울: 신정.
  48. 이태희(2015). 다문화가족 자녀가 지각한 가족 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자본을 조절변수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장갑수(2015). 성경에 기초한 기본생활습관 형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행동으로서 배려 행동 및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김혜숙(2018). 전래놀이를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Guralnick, M.(1992). "A hierarchical model for understanding children's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In S. L. Odom. S. R. McCONNELL, and M. A. McEvoy(Eds.),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ltimore,MD: PaulH.Brookes.
  52. Kline, T. J.(2005).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53. 나희정(2013).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대처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과 가족 건강성의 조절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조순옥(2014). 가족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문제행동.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3(6), 1071-1087.
  55. 이금자(2015). 중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정서조절 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Block, J. H. & Bolck, J.(1980). The Minnesota symponsia on child psychology: Vol. 13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Hillsdale, NJ: Erlbaum.
  57. 박지현(2010).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자기조절능력 증진과 공격성감소효과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8. 황미경, 권연희(2014). 자기 조절력 증진 활동이 유아의 자기 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269-289.
  59. 이유진(2016). 만 3-5세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요인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 조절력의 상대적 영향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1), 101-125.
  60. 장윤희, 문혁준(2010).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 조절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 201-201.
  61. 윤연정, 이미숙(2007). 가족의 건강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105-122.
  62. 송효현(2018). 유아기질, 어머니의 행복감 및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연구, 16(1), 83-100.
  63. 신귀순, 성영혜(2001). 가족의 기능과 아동의 자기역량 지각 및 대인관계 성향과의 관계: 가족 적응력과 가족 결속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지, 6(2), 4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