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 복지시설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2초

가정복지사와 가정복지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분석 -가정복지 관련 시설 이용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emand for the Family Worker and Family Well-being-Program : Focused on the Users of Related Institutions)

  • 송혜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7권2호
    • /
    • pp.145-16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for the family worker and family well-being program. For this analysis, the data taken from 367 married women who are using at least 1 program in related institutions in Ulsa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ost demanded role of family worker is family counselor and information performer. So the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for family worker should take more the counseling and information related contents. 2. The most demanded family well-being programs are the communication skill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arenting role. The demand for the family well-being programs is different with the users' age, motivation, institutions, etc. So the organization of the program can very as users'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s.

  • PDF

Column - 2014년도 대한결핵협회 사업 추진방향

  • 신상숙
    • 보건세계
    • /
    • 제62권5호
    • /
    • pp.24-25
    • /
    • 2013
  • 경제위기 이후 노숙인 증가와 글로벌 시대에 따른 다문화 가정 및 외국인 근로자와 핵가족화로 인한 독거노인, 청소년 쉼터 등 의료취약 계층 및 장애인 복지시설, 중증노인 복지시설 등 취약계층에 대한 결핵관리가 필요하다.

  • PDF

장애인거주시설 유형별 이용자 보호비용(care-cost) 비교 (Comparison of Care Cost Among Large Institution, Small Group-home and Independent Living Home for Disabled People)

  • 강희설;김용득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345-36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 중 장애유형별생활시설,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장애인자립홈의 이용자 1인당 거주시설 보호비용을 산출하고, 이를 시설유형별, 세입재원별, 장애정도별로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보다 엄밀한 보호비용 산출을 위하여 회계분야에서 사용하는 원가분석(cost-analysis)방법을 활용하여 거주시설 이용자 1인당 연간 보호비용(단위원가)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거주시설 유형별로 생활시설은 약 15,000천원 ~ 20,000천원, 공동생활가정은 약 10,000천원 ~ 11,000천원, 자립홈은 약 4,025천원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가 유사한 이용자들만을 별도로 선정하여 거주시설 유형별 보호비용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생활시설에 거주하는 이용자가 공동생활가정 이용자보다 높았고, 공동생활가정 이용자는 자립홈 이용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우리나라에서 주장되고 있는 시설보호의 '규모의 경제' 논리는 실증적인 근거에 반한다고 할 수 있다. 서비스 효과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비용측면에서도 향후 정책방향은 소규모 지역사회시설을 중심으로 공급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현재 턱 없이 낮게 설정되어 있는 소규모 지역사회거주시설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 수준을 높이는 일도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 직무요인, 조직성과의 모형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Based for Jop Factor, Organization Performance of Senior Care Facilities Workers)

  • 조우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년도 제39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6권2호
    • /
    • pp.345-349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배경에서 노인복지시설에 관한 문헌 검토와 노인 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요인 및 조직성과에 대한 제이론을 검토하였다. 이론을 근거로 실증적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영향요인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요인인 보수, 승진, 조직풍토, 업무환경, 조직구조가 조직성과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충성도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증적 분석에서는 연구대상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검증하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향해 가설검증을 실행하고자 한다.

  • PDF

독일의 지역보건지원소(Sozialstation)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ozialstation in Germany)

  • 남윤옥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7-24
    • /
    • 2002
  • In the 70s, facility called 'Sozialstation' was introduced in Germany, which is a supporting organisation for a systematic and efficient integrated health and social service system for the aged. As a theoretical approach, presented here could be a foundation for space planning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health and social service system for the aged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design, concept, function, operation area and origin background etc. of the 'Sozialstation' through the case studies of space program.

  • PDF

노인복지법 시설기준에 따른 울산시 노인의료복지시설 평가연구 (An Evaluation of the Space Planning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Ulsan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ulcorner}$The Elderly Welfare Act${\lrcorner}$)

  • 김선중;류현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03-117
    • /
    • 2006
  • There is no compulsory administration on the facility status for silver medical welfare facilities under the current legal regulations based on the welfare law of the aged nor is there standardized space allotment conditions that considered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Hence, welfare facilities are presently being constructed under general architectural laws. (Ed- paragraphs combined here) Therefore, standardized space allotment conditions should be planned soon for the aged in welfare facilities. (Ed- paragraphs combined he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ituation of space allotment through both blueprint analysis and interview with building supervisors. However, in future studies, we will focus on space insufficiency situations and the needs of the aged residents in welfare facilities.

가정외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their self-reli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 신지혜;강현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8호
    • /
    • pp.77-10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청소년(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의 사회적자본이 그들의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 경로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양육 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청소년들 가운데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만 13세 이상 만 19세 이하의 청소년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표집 하였고, 총 358명의 가정외보호청소년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요 통계 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가정외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이 자립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학교적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 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과 학교적응, 그리고 자립의지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