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정학습환경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Application of a Practical Problem - Based Lesson Plan for the "Understanding Myself and MY Family" Unit to Heighten Awareness of Gender - role Equity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중학생의 양성 평등 의식 고양과 집안일 참여를 돕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나와 가족의 이해" 단원을 중심으로 -)

  • Kim, Eun-Suk;Cho, Byung-E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2 no.3
    • /
    • pp.77-9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actical problem-based lesson plan for the "Understanding Myself and My Family" unit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sson plan.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were selected, and a practical problem-based lesson plan for five session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With 150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a pre-test and post-test comprised of a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 plan on the students' sex role characteristics, awareness of gender-role equity in occupational, familial and societal settings and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Results from the post-test revealed that the students displayed androgynous sex-role characteristics, a heightened awareness of gender-role equity and a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after the five sessions. Assessment of the class was found to be very positive. Consequently the study showed that the lesson proved to be helpful for the students.

  • PDF

The Architecture of an Intelligent Agent for RFID-based Home Networking (RFID기반의 홈네트워킹을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 아키텍처)

  • Kim Dongkyu;Lee Woojin;Kim Juil;Chong K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484-486
    • /
    • 2005
  •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사무실 중심으로 구축되던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 내의 디지털 가전기기로 확산되어가면서 홈네트워크 산업과 관련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홈네트워크 구성은 주파수중첩, 새로운 가전기기 추가 시 네트워크 환경변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경우가 드물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FID를 기반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RFID 기반의 홈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를 제시한다. 제시한 지능형 에이전트는 홈네트워크 내의 정보가전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자율적으로 가정 내 상황을 학습하고 사용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 PDF

Brain-based Learning Science: What can the Brain Science Tell us about Education? (뇌기반 학습과학: 뇌과학이 교육에 대해 말해 주는 것은 무엇인가?)

  • Kim, Sung-Il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7 no.4
    • /
    • pp.375-398
    • /
    • 2006
  • Humans learn by observing, hearing, imitating, doing, and feeling. The brain(cortex) is the central tore of this process. The recent rapid progress of brain science and the activ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etween brain 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opens a new possibility. That is a new research Held called 'Brain-Based learning Science', 'Edutational Neuroscienre', or 'NeuroEduration' This study reviews the nature and basic assumptions of brain-based learning science, current directions in educational neuroscience research, the neuro-myth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neuroscience, and a possibility of making a meaningful connection between brain science and education. Also the future prospects and limitations of the brain-based learning science are discussed.

  • PDF

The multi agent control heuristic using direction vector (방향 벡터를 이용한 다중에이전트 휴리스틱)

  • Kim Hyun;Lee SeungGwan;Chung TaeCh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25-528
    • /
    • 2004
  • 먹이추적문제(prey pursuit problem)는 가상 격자로 이루어진 공간 내에 다중의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먹이를 포획하는 것이다. 에이전트들은 먹이를 포획하기 위해 $30{\times}30$으로 이루어진 격자공간 (gride)안에서 기존 제안된 지역 제어, 분산 제어, 강화학습을 이용한 분산 제어 전략들을 적용하여 먹이를 포획하는 전략을 구현하였다. 제한된 격자 공간은 현실세계를 표현하기에는 너무도 역부족이어서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격자공간이 아닌 현실 세계와 흡사한 무한 공간 환경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표현된 환경의 모델은 순환구조(circular)형 격자 공간이라는 새로운 실험 공간이며, 새로운 공간에 맞는 전략은 에이전트와 먹이와의 추적 관계를 방향 벡터를 고려한 모델로 구현하였다. 기존 실험과는 차별화 된 환경에서 에이전트들은 휴리스틱을 통한 학습을 할 수 있다는 가정과 먹이의 효율적 포획, 충돌문제 해결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 PDF

Need Analysis for Educational Use of Personal Multimedia Player(PMP) focusing on Roles of Teachers in u-Learning (요구분석을 통한 PMP의 교육적 활용방안: u-Learning 환경에서의 교수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 kim, Mi-Ryang;Kim, Jae-Hyou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9 no.5
    • /
    • pp.9-21
    • /
    • 2008
  • In theory, within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 is happening all around the student but the student may not even be conscious of the learning process. But,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where PMP (Personal Multimedia Player) is being used for delivering the learning-conten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atic factors recognized by PMP users in u-learning environment. A need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and evaluate needs of 74 PMP users as well non-users. Based on the interviews of participants, we give a brief summary results on motivation for using PMP, purchasing and operating costs, category of contents being used, dissatisfying and problematic factors with using PMP in u-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we present six categories of factors preventing the u-learning with PMP from being diffused such as lacks of awareness, loss of confidence, side-effects, lacks of education and support, costs, and lacks of contents. In conclusion, we suggest a set of guidelines which might help remove these the resistance factors.

  • PDF

A Suggestion for Adaptation of U-Learning in Inclusive Education (U-러닝시스템의 통합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제언)

  • Kim, Y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3
    • /
    • pp.295-302
    • /
    • 2007
  •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has been undergoing dramatic developments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digital information transfer, storage and communication methods. Education and training technology is constantly evolving and growing. Because we continually meet the new and interesting advances in our world. The evolu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 at a distance can be characterized as a move from traditional learning to u-learning.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application of u-based education methodolog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argeting to empower them. Instead of the classic educational support such as extended time to take exams, a reader and/or scribe to assist with exams and note taking servic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definition of inclusion and disabilities which does not been fully understood what they mean and then possible implementing materials which can empowe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accomplishments. We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we concentrate on the aspects of instructional science particularly related with inclusive classes.

  • PDF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framework to inverse-track a contaminant source of hazardous chemicals in rivers (하천에 유입된 유해화학물질의 역추적을 위한 기계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Kwon, Siyoon;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12-112
    • /
    • 2020
  • 하천에서 유해화학물질 유입 사고 발생 시 수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한 초기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환경 화학사고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하천 실시간 모니터링 지점에서 관측된 유해화학물질의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발생원의 유입 지점과 유입량을 역추적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프레임워크는 첫 번째로 하천 저장대 모형(Transient Storage Zone Model; TSM)과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유량의 수리 조건에서 화학사고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두번째로 생성된 시나리오의 유입 지점과 유입량에 대한 시간-농도 곡선 (BreakThrough Curve; BTC)을 21개의 곡선특징 (BTC feature)으로 추출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재귀적 특징 선택법(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RFE)을 이용하여 의사결정나무 모형, 랜덤포레스트 모형, Xgboost 모형, 선형 서포트 벡터 머신, 커널 서포트 벡터 머신 그리고 Ridge 모형에 대한 모형별 주요 특징을 학습하고 성능을 비교하여 각각 유입 위치와 유입 질량 예측에 대한 최적 모형 및 특징 조합을 제시하는 단계로 구축하였다. 또한, 현장 적용성 제고를 위해 시간-농도 곡선을 2가지 경우 (Whole BTC와 Fractured BTC)로 가정하여 기계학습 모형을 학습시켜 모의결과를 비교하였다. 제시된 프레임워크의 검증을 위해서 낙동강 지류인 감천에 적용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시나리오 자료 기반 검증과 Rhodamine WT를 이용한 추적자 실험자료를 이용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기계학습 모형들의 비교 검증 결과, 각 모형은 가중항 기반과 불순도 감소량 기반 특징 중요도 산출 방식에 따라 주요 특징이 상이하게 산출되었으며, 전체 시간-농도 곡선 (WBTC)과 부분 시간-농도 곡선 (FBTC)별 최적 모형도 다르게 산출되었다. 유입 위치 정확도 및 유입 질량 예측에 대한 R2는 대부분의 모형이 90% 이상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 PDF

Development of 'the safety'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Kim, Nam Eun;Chae, Jung Hyun;Cho, Jae 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8 no.1
    • /
    • pp.19-3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afety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Instruction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live their safe live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HE curriculum documents from the 1st to the 2015 revision were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iddle school students' current status of safety accidents and needs on the HE safety education.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were the 512 students of one ${\bigcirc}{\bigcirc}$ Girls' Middle School in Busan. And then, the seven integrated themes were selected, each seven integrated theme-networks were formed, and safety theme-ba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The safety education content has continually been included from the first HE curriculum of 1954 to the 2015 revised HE curriculum. The middle school student respondents highly needed the content of 'the methods to deal with sexual violence and prostitution prevention', 'suicide prevention', and 'bullying net' for the HE safety education. All the 42 items were needed for the HE safety education by the respondents. The safety theme-based 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developed finally included the seven integrated themes, which were (1) dietary life safety, (2) adolescents' sex and safety, (3)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safety, (4) family life and safety, (5) dwelling life and safety, (6) adolescents' egos and safety, and (7) social environment and safety. Each integrated theme consisted of three to six small themes, which amounted to total 28(for 35 lessons). Each small theme was presented with learning objectives and particular goals. The total 157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developed, which offered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 for each safety theme, total 28 teaching and learning plans(for 35 lessons) were developed, which offered specific instructions for the easy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n the classroom, 28 PPTs, 25 film materials, four reading materials, 61 workbooks, 14 activity sheets, 16 evaluation sheets, 3 test sheets, 2 reference materials, and 4 learning material models(the refrigerator model, traffic lights for discussions, food tray model and stickers, and food mileage card). In this study, the safety education themes of 'clothing life and safety', 'conflict and safety', 'professional life and safety', and 'consumer and safety' were not addressed because these theme were not needed highly by the respondents. Therefor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HE safe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evaluate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to address the themes of 'clothing life and safety', 'conflict and safety', 'professional life and safety', and 'consumer and safety'.

일본의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기본 계획'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44 no.1 s.338
    • /
    • pp.74-85
    • /
    • 2003
  • 일본 정부는 지난 2002년 8월 2일 각료회의에서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기본 계획’을 결정하였다. 이 기본 계획은 어린이가 자주적으로 독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그 환경을 정비한다는 관점에서, 2001년 12월에 의원입법되어 공포.시행된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정부가 수립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된 것이다. 이 계획을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에 걸친 시책의 기본 방향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가정, 지역사회, 학교를 통하여 어린이가 독서와 친해질 수 있는 기회 제공 가정교육에 관한 학습기회를 통하여 부모에게 독서의 중요성을 이해시킨다. 도서관에서의 어린이 독서활동을 추진하여 민간단체 활동을 지원한다. 학교에서의 학습활동을 통하여 독서습관을 확립하고 독서활동을 추진한다. 2. 도서자료 정비 등 제반 조건의 정비 및 충실화 도서관과 공민관 도서실 등 지역사회의 독서환경을 정비한다. 도서관 자료를 정비하고 정보화를 추진하며 사서 연수를 충실화한다. 학교도서관의 도서정비 5개년 계획, 정보화 추진, 사서교사 발령을 촉진한다. 3. 학교, 도서관및 관계기관, 민간단체의 연계.협력체제 추진 4.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한 보급.계발 어린이 독서의 날(4월 23일)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홍보한다. 홈페이지 개설로 관련정보를 광범위하게 제공한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이 기본계획에 기초하여 관계부처 등과 긴밀히 협조하여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시책을 더욱 충실히 하기로 하였다. -편집자주

  • PDF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for the analysis of dynamic stage-discharge relations (수위-유량 관계 동적 변화 연구를 위한 기계학습 활용)

  • Tae-Ho Kang;Yeon-Su Kim;Joon-Woo N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18-318
    • /
    • 2023
  • 수자원개발과 관리 측면에서 하천에서 흐르는 유량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은 이수와 치수 두 측면에서 모두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과거의 유량측정성과를 이용하여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을 구하면, 현재 관측된 수위만으로도 유량을 간단히 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량 산정에서 있어서,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수위-유량 관계식의 신뢰도에 의해 유량 산정의 정확성이 좌우되는 것이 사실이다. 과거 일반적인 단일 수위-유량 곡선의 적용으로는 유량추정에 높은 불확실성이 존재할 수 있음이 확인되어, 하천의 단면변화, 식생변화, 유사이동, 비정상류 등 영향인자를 파악하고 수위-유량 관계의 동적 변화를 추정하는 기술의 고도화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하천의 수위에 따른 단면 변화율 차이 등을 가정하고 수위구간을 구분 다른 수위-유량 관계식으로 추정하는 방안이 제안되거나, 부정류, 하상경사, 그리고 조도계수 변화에 따른 수위-유량 관계 변화 가정하고 특정 조건에 따라서 수위-유량 관계가 변화하는 특성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검토한 바에 따르면 기존 연구에서는 대부분 수위 관측 지점에 한하여 단면 및 하상특성 등의 영향을 고려하였으며, 수km 떨어진 원거리 하류 범위에서의 하상 등 동적 변화로 인한 상류 지점의 수위-유량 관계의 영향에 대해서는 정량적 분석이 미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건에 따른 복잡한 동적 수위-유량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계학습 기반 데이터 분석기술의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시범적으로 금강 세종보가 가동중이였던 2017년 관측된 보상류 5km 지점의 수위와 유량 데이터 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하류 5km 범위에서의 하상변화는 즉각적으로 상류의 수위-유량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하류에서의 준설, 퇴적, 교량 및 보건설, 가동보 운영 등이 있을 경우 수km 떨어진 상류에서 수위-유량 관계는 크게 변화함을 예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량산정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안과 같이 동적 수위-유량 관계를 추정하는 기술이 점차 확대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