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정적 남성

Search Result 200, Processing Time 0.02 seconds

Individual and Family Background Predictors of Nontraditional Career Orientation among U.S. College Women (전통적으로 남성 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희망하는 여대생의 성격 및 가족환경의 특성 연구 : -법률가 및 의사직을 준비하는 미국 여대생을 중심으로-)

  • 김용미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27 no.3
    • /
    • pp.173-182
    • /
    • 1989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남성 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희망하는 여대생(이 연구에서는 법률가 및 의사직, 이하 비 전통적인 여성이라 부름)과 전통적으로 여성 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준비중인 여대생 (이 연구에서는 교사 및 간호사직, 이하 전통적으로 여성 이라 부름)을 구분 할수 있는 개인의 성격 및 가족환경의 특성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남성 주도적인 전문직에 진출을 준비하거나 그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발표되었으나 그 특징들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비중이 있는지는 연구되어 있지 않다. 발단론적 환경이론(Developmental-Contextualism)과 직업 발달에 대한 역동적 상호관계 모델(Dynamic Interaction Model)이 본 연구의 이론적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 연구에 포함성의 위치, 심리적 남성특성, 출신가정의 사회경제수준, 그리고 부모의 뒷받침과 이해였다. ANOVA 결과에 의하면 비전통적인 여성들이 자아존중감, 학교성적 성취도, 내적 통제성, 심리적 남성특성, 그리고 출신가정의 사회경제수준 면에서 전통적인 여성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단계적 분별 분석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결과에 따르면, 심리적 남성 특성, 내적 통제성, 학교성적 성취도, 그리고 출신가정의 사회경제수준이 위 두집단의 여성들을 분별하는 가장 뛰어난 특성들이었으며 전체 표본의 76.99%가 이 요인들에 의해 정확하게 분류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역동적 상호관계모델은 여성의 직업발달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이론정립과 검사에 유효한 도구로 보이며, 이 연구에 포함한 변수들은 비 전통적인 여성들의 특성을 정확하게 묘사하는데 상당한 공헌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전통적인 여성들의 직업발달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능력특성군(Competency-related traits)"의 변수들을 좀 더 정확하게 분류할 필요가 있으며, 이 변수들과 여성의 직업발달의 관계를 자세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요가 있다고 본다.

  • PDF

지구는 남성을 중심으로 돈다(?) - 남성이 벗기 힘든 편견 3가지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v.37 no.6 s.430
    • /
    • pp.22-23
    • /
    • 2004
  • 우리나라의 성문화는 여전히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인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전통적인 한국의 가부장적인 성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면서 혹시 여전히 이러한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연애할 때 정말 겁이 없을까? 남성의 연애 심리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v.37 no.4 s.428
    • /
    • pp.22-23
    • /
    • 2004
  • 많은 남자들이 일이나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있어 적극적이라 하지만 적어도 연애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상대 여성이 좋으면 좋을수록 더 그렇다. 정도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대부분의 남성이 여성앞에서 신중하고, 적잖게 겁을 내는 것을 보게된다. 남성이 연애에 있어서 소극적인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 PDF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the Husbands of Married Migrant Women on 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다문화가정 한국남성 배우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 Lee, Eun Hee;Lee, Jung R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1
    • /
    • pp.441-44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183 married migrant women' Korean husbands who live in Pusan Ulsan city and Kyongnambuk provinc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confirm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se findings,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focus on increasing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Korean husbands were suggested.

A Dilemma of Feminist Crime Narrative -focus on Yang Gui-Ja's Romance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어느 페미니스트 범죄 서사의 딜레마 -양귀자의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소고)

  • Lee, Hye-Ryoung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 /
    • v.25 no.4
    • /
    • pp.223-261
    • /
    • 2019
  • This article is a reexamination of the feminist criminal narrative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by Yang Gui-ja in the context of the rise of the women's movement and consumer culture of the middle class in Gangnam in the 1980s and 1990s. At this time, the explosive media culture served to strengthen the ideology that placed the middle-class family at the center as well as the consumption culture. The combination of consumer media culture, women's movement and democratization created a soft and domestic male image while visualizing the material foundation of the middle class in the 1990s of South Korea. In this novel, the domestic male image transforms the feminist criminal narrative into the narrative of the femme fatale attacking the stability and dignity of the middle class family, and at the moment of the transformation, the feminist woman Kang Min-ju is killed by a lower class man who has admired and loved her. This novel is not only current but also signifying as a text that overlaps sociocultural reproduction and feminist issues of the middle class based on Gangnam in the 1990s. This is because it show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femicide, such as serial murder of targeting women, as a core code of criminal narrative to be held in Korea since the late 1990s.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Zero-sum Beliefs wi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through Sexism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제로섬 신념의 관계에서 성차별적 인식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 Joeng, Ju-Ri;Sung, Yoonhee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7 no.4
    • /
    • pp.457-474
    • /
    • 2021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zero-sum belief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xism on the relation based on the Instrumental Model of Group Conflict (Esses et al., 1998).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sexism,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through sexism. Participants were 310 first-year college students (234 males and 76 females) in the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hey completed a survey consisting of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sexism, and zero-sum belief.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Proces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zero-sum beliefs was fully mediated by sexism.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sexism was moderated by gender. Specifically,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significantly predicted sexism for men, but not for women. Moreover, only for men, sexism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zero-sum beliefs. Therefore,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could cause sexism which could promote zero-sum beliefs for men.

젠더레짐이 여성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Ji-Yeo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67-170
    • /
    • 2020
  •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창업시장에 남성 못지않게 여성의 창업도 증가하고 있다. 여성 창업을 독려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도 많지만 남성의 창업 성과에 비해 여성의 창업 성과는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소기업청에서 조사된 창업 현황으로 본다면 남성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창업을 하고 있고 자금투자유치 및 고성장도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여성은 한정된 산업 분야에 개인자금조달 및 소규모경영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성과 여성의 창업 형태가 위와 같이 차이가 나는 근본적인 원인을 사회적으로 잠재되어있는 젠더레짐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으로 가정하고 실증적인 검증을 하려고 한다. 양성평등 및 차별금지에 관한 교육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뿌리 깊은 젠더편향적인 한국문화적 특성상 그 성-편향적 사고의 틀 안에서 여성 창업에 대하여 평가하고 있다. 여성 창업은 꾸준히 증가되고는 있지만 암묵적으로 방관하는 젠더편향적인 사회 문화를 인식을 개선하지 않는 이상 여성 창업 환경과 그 성과는 앞으로도 크게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 된다. 이에 남성 주류의 창업생태계 안에서 여성 창업에 대한 편견 및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그 성장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본 연구는 젠더레짐이 여성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려고 한다.

  • PDF

Male Gender Role and Adjustment of Korean Men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 Suae Park;Eunkyung Jo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8 no.2
    • /
    • pp.77-103
    • /
    • 2002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le gender role on the adjustment of Korean men. In study 1 Korean Male gender Role Scale was developed. A 52-item scal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ponses of 432 college-aged and middle-aged men to theoretically-derived preliminary items. Five factors were extracted: achievement orientation, the initiative, task orientation, responsibility for family and friendship with male friends. Study 2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gender role and several adjustment variables.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in the college men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tive and friendship with male friend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College men's depression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tive and task orientation. Among the middle-aged men, self-esteem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tive and task orientation. But responsibility for famil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job dissatisfaction in the middle-aged men. In both groups satisfaction with male gender ro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