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정용 서비스 로봇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Home Service Robot Control Using Intelligent Wearable Machine (휴대용 지능 기기를 이용한 가정용 서비스 로봇 제어)

  • 김형래;최우경;김성현;김용민;전홍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48-51
    • /
    • 2004
  • '유비쿼터스'라는 신조어를 통해 우리의 현재 IT 분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 개념과 맞물려 우리 일상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현재 인터넷은 우리 생활치 일부가 되었고 다음은 로봇의 시대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많은 국가와 연구실에 로봇에 관한 많은 연구를 하고 있으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을 지니고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기기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로봇을 제어하고자 한다 유비쿼터스 개념과 같이 언제 어디서든지 연결이 가능하도록 무선랜 통신을 사용하여 휴대용 기기와 가정용 서비스 로봇은 정보를 상호 교환 할 수 있다. 지능형 휴대용 기기는 가정용 서비스 로봇이 가정에서 여러 가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소프트 컴퓨팅 기법을 사용한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또 한 로봇은 환경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다종의 센서를 부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환경에 맞는 임무를 수행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수집한다. 본 논문은 지능형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인간 친화적인 가정용 서비스 로봇이 될 수 일도록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다.

  • PDF

지능형 서비스 로봇 기술현황 -청소로봇에 대하여-

  • 김병수
    • Journal of KSNVE
    • /
    • v.14 no.3
    • /
    • pp.23-30
    • /
    • 2004
  • 가정용 로봇은 정보제공, 교육, 오락 등의 다양한 분야에 대해 서비스가 가능한 로봇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가정에서의 가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는 로봇이 청소로봇이다. 대부분의 가정이 청소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으며 청소로봇은 이러한 측면에서 노동력의 절감 및 윤택한 삶을 누리는데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수 십년 전부터 가정용 청소기가 판매되면서 자동으로 청소하는 것에 관심을 두어 왔으나 로봇기술이나 주변 부품기술이 발전하지 못하여 로봇의 개발이 어려웠었다. 최근 실생활에 적용되는 청소로봇이 시중에 판매되면서 청소로봇은 가정용 로봇 중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가정용 청소로봇은 단순기능을 갖는 장난감 형태의 로봇에서 수백만원대의 청소로봇까지 개발되고 있다. 그림 1은 다양한 청소로봇을 성능 대 가격측면에서 포지셔닝한 것이다. (중략)

A study of Service Test of Home Robot (가정용로봇 서비스 시험평가에 관한 연구)

  • Hwang, Sun-Myung;Chae, Hyeon-Cheol;Kim, S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34-37
    • /
    • 2008
  • 본 논문은 가정용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기능 컴포넌트에 대하여 시험평가를 위한 규격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2006년 말부터 실제 사업화가 이루어질 우리나라의 지능형 로봇시장을 선점하여 로봇 컴포넌트의 품질 보증을 위한 평가 프로세스 및 절차, 가정용 로봇 시험평가를 위한 테스트케이스, 시험 평가 규격 등의 개발을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가정용로봇의 기본적인 필요 특성을 보장하고, 실내/외에서 제공되는 홈 네트워크와의 연동 서비스 및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정용로봇의 종합적인 기능 확인 및 기본 성능에 대한 시험 평가 분석 항목 및 규격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 PDF

21세기에 산다 - 진화하는 로봇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8 s.363
    • /
    • pp.32-33
    • /
    • 1999
  • 로봇이 진화하면 과연 사람과 같은 지능을 갖출 수 있을까. 6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등장한 산업용 로봇은 진화를 거듭하여 서비스로봇 과정을 거쳐 마침내 사람을 닮은 휴먼로봇시대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21세기에는 농사를 돕는 로봇, 불을 끄는 소방용 로봇, 요리하는 가정용 로봇, 수술하는 로봇 등 사람을 대신하는 다양한 로봇이 등장할 것이다.

  • PDF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and Human Friendly Home Service Robot (인간 친화적인 가정용 지능형 서비스 로봇 구현)

  • 최우경;김성주;서재용;조현찬;전홍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49-53
    • /
    • 2004
  • 최근 로봇의 형태는 인간의 명령을 이행하고 스스로 학습하며, 감정을 지닐 수 있는 인공지능을 내장한 로봇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닌 로봇의 용도는 조립, 도장, 용접 둥 단순 반복 작업이나 위험한 산업현장에서 벗어나 좀더 다양한 분야로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활용의 예는 '가족 도우미'의 역할을 수행하는 로봇으로써 가사, 방범, 오락 그리고 교육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형태로써 보다 다양화되고 향후 가정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이러한 로봇의 구현에 인공지능의 요소를 활용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며 그 범위 또한 광범위하다. 로봇이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환경 정보를 받아들이는 센서의 역할이 크며 이런 센서를 사용조건에 맞게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에 부착된 센서의 환경 정보값을 적절히 활용하여 로봇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가정용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구현하고자 한다. 센서 정보는 지능 기법으로 널러 알려진 소프트 컴퓨팅 기법을 사용한다.

  • PDF

A Study on the Social Needs of Customer for Robot Design (로봇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사회적 니즈 추출에 관한 연구)

  • 김현진;박용국;김재우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3
    • /
    • pp.253-262
    • /
    • 2003
  • This article suggest a research method to extract user needs for designing social interface of a service robot. We first discuss social design issues for the service robot. Then we present a novel survey method for the service robot based on the social design issues and robot characteristics. Finally we discuss survey results, answered by Korean customers, of functional needs, social characteristics, product design for a home service robot. It is analyzed that Korean customers expect the image of home service robot as “a late teenager female who helps household work effectively”

  • PDF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Home Robot based on Smartphones and Moving Devices (스마트폰과 이동형 디바이스에 기반한 지능형 가정용 로봇 구현)

  • Yang, Woocheol;Kim, Hajong;Park, Yongjin;Yu, Jeongho;Lim, Sanggul;Lee, Sangjun
    • Journal of IKEEE
    • /
    • v.17 no.4
    • /
    • pp.446-451
    • /
    • 2013
  • As IT technology advances, the need for robots in various areas has been recognized. Robots that focused on the industrial market have been extended to household robots in everyday life. In fact, cleaning robots and security robots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Most home robots, in spite of high price, their functions are limit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telligent home robot which is based on smartphones and moving devices to provide various services and voice control.

Implementation of temporal reasoning services using a domain-independent AI planner (영역-독립적인 인공지능 계획기를 이용한 시간 추론 서비스의 구현)

  • Kim, Hyun-Sik;Park, Chan-Young;Kim, In-Cheol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4
    • /
    • pp.37-48
    • /
    • 2009
  • Household service robots should be able to provide their users with a variety of temporal reasoning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way of developing such temporal reasoning services using a domain-independent AI planner. Developing temporal reasoning services with a domain-independent AI planner, we have to address both the knowledge engineering problem of how to represent various real-world temporal constraints in a planning domain definition language, and the system design problem of how to realize the interface between the AI planner and the service consum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example scenario and a set of typical temporal constraints for a household service robot, and then present how to represent them in the standard planning domain definition language. We also explain how to implement a service agent based on an AI planner in order to develop and provide new services efficiently.

Design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ing Home Robot (홈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학습도우미 시스템 설계)

  • Choi, Jae-Seong;Kim, Dong-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381-388
    • /
    • 2004
  • 가까운 미래의 가정에서는 여러 기능을 가진 로봇이 등장하여 사람과 늘기도 하고 집도 지키는 방범활동도 수행하는 등 공상과학영화 속의 일들이 현실로 다가올 것이다. 핵가족화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어린이들이 혼자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졌으며 이에 불안을 느낀 학부모들은 자녀들을 학원 등의 사설교육기관에 맡겨 사교육비의 증가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 부모와 떨어져 있는 동안의 어린이의 생활을 보여주거나 학습을 도와주는 로봇이 가정에 있다면 부모들은 안심하고 직장생활에 더욱 충실하게 될 것이며 사교육비의 감소현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로봇이 서비스하게 될 기능들 중에 초등학교 어린이의 학습을 도울 수 있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설문을 통해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홈 로봇과 사용자간의 메뉴를 크게 일정관리, 학습관리, 학습, 메신저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각 항목별로 세부 서비스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로봇을 활용한 학습 도우미 시스템의 설계는 앞으로 무한한 부가가치를 창조하게 될 로봇산업의 발달과 새로운 형태의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 PDF

Design and Workspace Analysis of Korean Service Home Robot (한국형 가정용 서비스 로봇의 설계 및 작업 공간 분석)

  • Bae, Yeong Geol;Jung, Se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3 no.2
    • /
    • pp.158-165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design and workspace analysis of a Korean home service robot. The robot is designed with specific needs of floor-task applications suitable for Korean life style. Shoulder and waist of the robot are adjusted by sliding mechanism to increase the workspace of the robot arms. Manipulators are designed and built and their workspaces are analyzed. Experimental studies of the robot for cleaning the floor are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