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정생활구조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Intrinsic Aim of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가정교과의 내재적 목적에 관한 고찰)

  • Hong, Eun-Jeo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3
    • /
    • pp.65-84
    • /
    • 2008
  • Historically the value of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has been justified with the extrinsic aim to satisfy the needs of the individual and family and of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reasoning out its intrinsic aim. From the point of discipline-based curriculum, Home Economics as 'the structure of knowledge' constitutes the curriculum of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family life intellectually with its unique perspective. When students understand these theoretical contents, they will internalize the core idea of Home Economics so that their cognitive perspective on family life is developed or widened. With this cognitive perspective, they are able to discover the aspect of family life from their daily life, to interpret and judge every situation properly. It is the presupposition of socially expected practical problem solving that makes Home Economics education intrinsically meaningful. In conclusion,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needs to be reinterpreted or reorganized as the structure of knowledge, not as fragmentary informations or facts, through which the broad cognitive perspective on family life is developed and Home Economist's mode of thinking is transmitted.

  • PDF

An Analysis of Consumers' Socio-Cultural Experiences Expressed in Consumption Stories : An Experimental Application of a Narrative Analysis (소비생활 이야기에 반영된 소비자의 사회문화적 경험 분석: Narrative 분석의 실험적 적용)

  • Kim, Kee-Ok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7 no.5
    • /
    • pp.61-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cosumers' lives in Korea with a narrative analysis method. The epistemological orientation of eh narrative analysis is Interpretivism, which blends the two polar philosophical perspectives, Empiricism and Rationalism, and includes Narrotology, Hermeneneutics, Semiotics, and Structural Criticism. Narrative analysis takes as its object of investigation the story itself. This study collects eleven narrative plots from four housewives, into which Labov's structural approach is applied. This study shows clearly that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consumers live has strong influence on their consumption behavior and also reveals that narrativization tells not only about past actions but how individuals understand those actions, that is, meaning.

  • PDF

Husband's Time Spent Structure and Husband and Wife's Perceptions of the Family Life Problem (남편의 생활시간구조와 가족생활시간에 관한부부의 지각)

  • 이기영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45-160
    • /
    • 1994
  • 이 논문의 목적은 남편의 장시간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는 실정에서 남편이 직업노동과 관련해서 소비하는 시간이 어느정도나 되며 이것이 다른 생활시간배분에 어떤 영향을 주고 또 가정생활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남편의 총직업노동시간의 실태를 보면 평일 11시간 43분 토요일이 8시 간 21분 일요일이 1시간 13분으로 나타났다 평일 직업노동시간을 5집단으로 나누어 다른 생 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직업노동시간이 긴 집단이 짧은 집단에 비 해서 다른 모든 생활시간- 생리적, 가사적, 사회문화적 시간-에 소비하는 시간이짧은 것으 로 나타났다 . 2) 남편의 장시간노동으로 인한 가정생활문제에 대한 지각에 있어서는 남편 은 주로 자신의 피로회복문제나 스포츠.여가시간 부족문제 생활의 여유가 없다는 문제 가 족단란시간 부족문제 자녀와의 접촉시간 부족문제 등을 심각하다고 지각하고 있었고 부인은 남편의 건강염려 남편의 자녀접촉시간 부족 가족단란시간 부족 남편과 취미 스포츠를 할 시 간 부족 부부간 대화시간 부족등이 문제가 된다고 지각하였다 3)남편의 장시간노동으로 인 한 가정생활문제에 대한 지각은 남편의 경우에는 연령 부인의 취업여부 막내자녀연령, 직업 노동시간, 직업노동시간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 부인의 경우에는 연령, 부인의 취업여부, 막 내자녀연령, 남편의 직업노동시간에 대한 태도, 성역할태도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for Development of Family Life Structure Analysis Scale (가정생활구조분석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기영;송혜림;이승미;구혜령;김유경;김선미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9 no.4
    • /
    • pp.137-14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analyzing family life structure. For this purpose, family life was divided into 8 areas as to be grasped on the whole at first. Next the items to measure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sides of each area are selected. At last,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we followed a process of verification. Diagnosing each family and making its problems and weaknesses clear with this scale will offer a base for developing the service which meets that familys needs.

  • PDF

$\cdot$$\cdot$고등학교 의생활 교육내용의 체계에 관한 연구

  • 이은희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91-91
    • /
    • 2003
  • 제7차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에서는 교육내용 조직이나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에 있어서 연속성의 보장을 제도화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학교급별에 따라 교과의 명칭만 다를 뿐 교과의 성격, 목표, 지도내용 등에서 체계적으로 편성되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취지와는 달리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는 다르게 조직되었다. 특히 의생활 교육내용의 경우 일부 학년에 국한되어 제시되고 있거나, 내용구조도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7차 교육과정에서도 의생활 교육내용이 체계적으로 편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초$\cdot$$\cdot$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의생활 교육내용의 체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의생활 교육내용의 조직과 선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교과서 분석에는 체계적 내용분석(systematic content analysis) 방법을 채택하였다. 체계적 내용분석은 교육내용의 임의적 서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생활 교육이 그 가치와 위치를 정립하려면 그 분야만이 가지는 독특한 영역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체계적인 이론을 통해서만 드러낸다. 체계적인 이론은 우리가 교육현상을 바르게 지각하고 이해하며 그 실체를 볼 수 있게 하는 틀을 마련해 준다는 의미에서 이 방법을 채택하였다.

  • PD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in Adolescent Period Solidarity between Old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and Life Satisfaction of Old Parents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 및 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 김명자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36-46
    • /
    • 1995
  • 본 연구는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 및 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가 노인의 생활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변인들간의 인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가 애정적.권위적.자율적이고 갈등의 정도가 낮았을수록 높았다. 2) 노인의생활만족도는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가 애정적.자율적이었으며 갈등의정도가 낮 았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권위적 관계였을수록 과거 생활만족도는 높았고 미래 생활만족도는 낮았다 또한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현재 성인자녀가 접촉적.정서적 .일치적.기능적.규범 적 결속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구조적 결속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3) 노인의 생활만족도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중 갈등적 관계였다.

  • PDF

A Study on the Emotional/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es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관한 연구)

  • Young, Baek Seung;Jin, Seon 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59-161
    • /
    • 2013
  •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과 그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는 점에 대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정서 행동문제에 대한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부모의 갈등과 양육태도, 정서 행동으로서의 내재화와 외현화 그리고 학교생활과 관련된 학교적응과 또래관계에 대해서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변수들만의 관계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차원에서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