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정부문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취학 전 아동, 어린이 및 청소년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수준 비교 - 2001 국민건강ㆍ영양조사 -

  • 김복희;이윤나;이행신;장영애;김초일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12-413
    • /
    • 2004
  • 사회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사회참여가 크게 증가되는 추세이다. 가정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식생활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1 국민건강ㆍ영양조사-영양조사부문의 결과를 심층 분석하였다. 2001 국민건강ㆍ영양조사는 2001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 200개 지역에서 약 4,000가구, 1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전업주부가정의 3,482명과 취업주부가정의 2,731명의 가족에 대한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중략)

  • PDF

탄소세 부과의 경제적 효과 - 에너지 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분석 -

  • Lee, Man-Gi;Kim, Seung-Su;Mun, Gi-Hw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7 no.2
    • /
    • pp.137-169
    • /
    • 1998
  • 본 연구는 탄소세 부과가 우리 나라의 에너지 및 국민 경제에 미치는 충격의 영향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에너지-경제 연계 계량경제모형을 수립하였는데 본 모형은 기존의 거시경제모형을 수정한 후 에너지 모형과의 연계를 통해 에너지 부문의 충격이 경제부문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량에 대한 규제가 탄소세 부과를 도입하도록 유도하고 에너지가격의 상승과 에너지수요를 감소시킴으로써 경제부문의 생산을 위축시키는 흐름도를 가정하고 있다. 분석의 과정에서 탄소세 부과가 에너지 및 국민경제 부문에 미치는 효과의 측정은 에너지가격 및 수요변화, 국내총생산액의 변화 등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탄소 배출량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탄소세가 상당히 높게 부과되어야 하며 전력가격 및 에너지가격의 상승에 미치는 효과와 국내총생산액 등 주요 경제 변수에 미치는 충격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계량경제모형을 통하여 여러 가지 정책수단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정책의 효과분석 및 동 분야의 향후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Greenhouse Gas by Emission Regions and Sectors using GHG-CAPSS(2006) (GHG-CAPSS를 이용한 지역별,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특성 분석(2006))

  • Lee, Sue-Been;Lim, Jae-Hyun;Lyu, Young-Sook;Yeo, So-Young;Hong, You-Deog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2 no.2
    • /
    • pp.69-77
    • /
    • 2011
  • While increased use of energy and fossil fuel in the recent years could worsen air quality and climate change, on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characterization of emission types by sectors and regions in Korea. In this study, greenhouse gases emissions based on resions(Si, Gun, Gu) and emitted sectors(industry, transport, cemmercial and institutional, residential, waste, agriculture, others) were investigated using GHG-CAPSS(Greenhouse Gas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developed to support to national and regional greenhouse gases reduction strategies. GHG-CAPSS follows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uideline methodology to categorize the emission sources and estimation of greenhouse gases using bottom-up approach. Estimated total greenhouse gases emissions were 588,011 thousand tons as $CO_2$ equivalent. Industry(50.1%) sector exhibited the highest portion followed by transport(17.6%), commercial and institutional(12.6%), residential(12.6%), waste(2.6%), agriculture(2.5%). Based on regional estimation, Gyeonggi(14.9%) demonstrated the highest emitted greenhouse gases among big cities followed by Jeonnam(12.4%), Gyeongbuk(11.0%), Ulsan(9.2%) and Seoul(8.9%).

A Study on the Effect of Water Saving Awareness on Purchasing Intention of Water Saving Product at Home (가정에서의 물 절약 인식이 절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Choi, Tae-Wol;Suh, Kee-Won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1 no.1
    • /
    • pp.123-128
    • /
    • 2016
  •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water saving awareness on purchasing intention of water saving product at hom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necessity awareness of water saving at home(p<.001) and satisfaction of the water saving effect on water saving product(p<.01) significantly affecte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water saving product. Also, this study found purchasing intention of water saving product's between-group differences depended on occupation, awareness of the need of water saving at home, the most exertive part for saving water at home, the most effective water saving product and the weakness of water saving product.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 for promoting positive consumer behavior of using water saving product.

우주방위-기술한계는 어디인가

  • Mun, Sin-Hae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2 s.142
    • /
    • pp.54-59
    • /
    • 1990
  • 명백히 현재 군사부문에서 얻어지고 있는 순수한 과학적 지식은 종래에는 민간부문의 많은 분야에서 응용될수 있을 것이다. 미사일을 공격하기 위한 고출력 자유전자 레이저는 이미 의학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다른 많은 파괴를 위한 개발노력들이 유용하게 응용될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무리가 아니다. 이제 미국과 소련이 전략방어체제에 실체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으므로 협력만이 앞으로 계속해 나갈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무엇보다도 상호경쟁을 제거해 나감으로써 예산을 절감할수 있고, 새로운 기술의 평화적 이용을 극대화시킬수 있을 것이다

  • PDF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통계 시스템 구축

  • Korea Energy Forum
    • 에너지협의회보
    • /
    • s.76
    • /
    • pp.38-43
    • /
    • 2006
  • 2007년이면 온실가스 배출통계 시스템 구축이 완료된다. 산자부는 에너지∙산업공정부문 배출통계 작성, 관리에 관한 법적근거를 에너지기본법에 신설하고, 『온실가스통계 DB구축 추진협의회』를 구성, 온실가스 인벤토리시스템(KONIS:Korean National Inventry System)을 구축한다. 또한 산업, 가정∙상업, 수송부문 최종소비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를 추진하여 국가에너지종합정보DB를 구축한다. 산자부는 온실가스통계 체계 구축을 통해 기술적, 경제적 감축잠재량을 분석하고, 정부-산업계가 수용 가능한 수준의 자발적 감축규모를 산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Post-2012 국제협상에 대비한 우리나라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산업계의 기후변화협약 대응능력과 조기감축 노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중국의 장기전력 수급전망

  • 가즈야 후지메
    • 에너지협의회보
    • /
    • s.40
    • /
    • pp.63-73
    • /
    • 1996
  • 중국의 전력소비는 1980-92년간 연율 7.9$\%$ 증가했으며, 1992-2010년간 실질 GNP 성장률이 연율 8$\%$라는 전제하에 전력소비는 연률 7.8$\%$증가할 것이다.(1992-2000년간은 연율 9$\%$, 2000-2010년간은 연율 7$\%$ 예상). 가정 및 상업부문 전기소비가 산업부문보다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소득증가로 가전기기의 보유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지속적인 GNP서장의 제약요인으로 SOx, NOx, $CO_2$ 배출 등 환경 문제가 될 것이며, 발전 송전 배전인프라 건설에 필요한 자본투자규모가 1조달러에 이른다. 2010년에는 3백만b/d의 석유, 1백만톤의 석탄, 13.5백만톤의LNG 등 에너지수입에 국제수지균형이 애로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 PDF

Electric Power 01_해외전력

  • Korea Electric Association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358
    • /
    • pp.16-17
    • /
    • 2006
  •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의 빅토리아 주는 지난 6월 5일 가정용 민생부문 전력수요를 대상으로 한, 에너지 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삭감을 목표로 하는 대규모의 에너지절약 캠페인‘You have the Power, Save Energy’를 전개한다고 발표하였다.

  • PDF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 Lee, Hye-Gye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73-106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로의 혼인이주와 그 가정에 대한 연구로 국내로의 혼인이주의 추이와 현황을 살펴 본 후, 혼인이주자의 특성 및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는데, 우선 통계청과 법무부의 나료와 그간 국내 선행연구의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본인에 의해 수행된 2004년 7월 국제결혼중매업체에 대한 인터넷조사와 2004년 3월부터 12월 사이에 수집된 서비스부문 이주여성 인터뷰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우리 국민의 혼인이주보다 외국인의 국내로의 혼인이주가 증가하였고, 특히 중국교포를 위시한 외국인 여성의 혼인이주가 증가하였다. 둘째, 외국인 여성의 혼인이주는 90년대 초반에는 농촌 노총각의 배우자로 90년대 중반이후에는 도시 재혼자의 배우자로 선호되었다. 그리고 지방에서는 통일교를 통한 혼인이주가 많으며, 수도권에서는 국내입국을 위한 위장결혼도 많은 편이다. 셋째,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로는 가정경제의 어려움, 부부관계의 계급화, 그리고 서로 다른 기대차이를 살펴보았다. 넷째, 다른 외국인 주부에 비하여 중국교포 혼인이주 여성들은 국내에서 일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으므로 가출이 더 용이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국교포 여성의 혼인이주는 국가간의 노동이동의 범주로 파악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