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Lee, Hye-Gyeong (배재대학교 사회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v.28, no.1, 2005 , pp. 73-106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혼인이주;국제결혼;중국교포;필리핀 여성;이주의 여성화;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애령(1998), '충남 거주 조선족여성의 결혼과정과 적응에 관한 연구' 충남도청
2 윤형숙(2004b),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2004년도 한국여성학회 10원 심포지움 발표논문, pp. 1-25
3 전수현(2002), '필리핀 노동자와 결혼한 한국 여성의 주변적 지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4 통계청(2000), <인구동태통계연보(혼인, 이혼편)>
5 통계청(2003), <한국의 사회지표>
6 Kim, Bok-Lim C. (1977), 'Asian Wives of U.S. Servicemen: women m shadows' Amerasia Journal, 4(1):91-115
7 Piper, Nicola and Mina Roces, ed. (2003), Wife or Worker? Asian Women and Migration, Rowman & Littlefield Pub., Inc.
8 Simons, Lisa Anne (2001), 'Marriage, Migration, and Markets: International Matchmaking and International Feminism'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Denver
9 Thai, Hung Cam (2002), 'Clashing Dreams: Highly Educated Overseas Brides and Low-Wage U.S. Husbands' In Global Woman: Nannies, Maids and Sex Workers in the New Economy, Edited by B. Ehrenreich and A.R. Hochschild, New York: Metropolitan Books:230-253
10 홍기혜(2000),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11 인봉숙(2001), '한일국제결혼가정 2세의 한국생활 적응 실태조사 연구- 천안시 거주 통일교인 가정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12 조성원(2000), '외국인 노동자와 노동계층 한국여성의 결혼사례를 통해 알아본 새로운 마이너리티의 형성과 재생산' 한양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13 Perez, Beverly Encarguez (2003), 'Woman Warrior Meets Mail-Order Bride: Finding an Asian American Voice in the Women's Movement' Berkeley Women's Law Journal:211-236
14 Walby, Sylvia (1990), Theorizing Patriarchy, Oxford: Blackwell
15 이금연(2003), '이주여성의 결혼과 가족' 대전포럼(이주노동자지원단체연대), 2003 이주노동자운동 정책심포지움 자료집 <국경과 인종, 피부새고가 문화의 차이를 넘어 평등과 연대를 향해>, 충남여성개발원, 2003년 11월 6-7일
16 이윤애(2004), <전북지역 외국인여성 정착지원 방안> 전라북도 여성발전연구원
17 박종삼(1982), '한미 국제결혼에서 문화적 배경의 차이로 인한 의사전달 갈등의 이론적 고찰' 숭전대학교 논문집 12: 99-136
18 박현정(2004), '광주, 전남지역 국제결혼한 이주여성 실태보고' 광주여성의 전화부설 광주가정폭력상담소, '광주전남지역 국제결혼한 이주여성 실태보고 및 토로회' 자료, 2004년 12월 30일, 광주여성의 전화 2층 교육실, pp.1-46, 85-99
19 석원정(2004), '국제결혼에 대한 이해' 사단법인 인천여성의 전화 본회 10주년 및 여성주간기념, 이주여성문제 개선을 위한 정책제안 토론회 자료집 <여성과 이주현실> 2004년 6월 30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28-45
20 O'Rourke, Kate (2002), 'To Have and to Hold: a Postmodern Feminist Response to the Mail-Order Bride Industry' Denver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and Policy, 30(4)476-497
21 민경자(2003), '충남거주 외국인 주부의 정착 지원방안 연구' 충청남도 여성정책개발원. 2003-8 연구보고서
22 최근정(2003), '우편주문신부 그 현황과 성매매로서의 의미' <국제성매매근절 운동팀 강연회자료집> 2003년 11월 28일 이화여자대학교포스코과, http://www.han-sori.org (접근일: 2004/7/14)
23 문옥희(2004) '외국인 여성 실태조사 및 사회지지체계 조사결과 분석내용' 광주여성의 전화부설 광주가정폭력상담소, '광주전남지역 국제결혼한 이주 여성 실태보고 및 토로회' 자료, 2004년 12월 30일, 광주여성의 전화 2층 교육실, pp.47-65
24 통계청(1997), <한국의 사회지표>
25 통계청(1999),<인구동태통계연보(혼인, 이혼편)>
26 Kim, Bok-Lim C. (1972), 'Casework with Japanese and Korean Wives of Americans', Social Casework, 53(5):273-279
27 Schaeffer-Grabiel, Felicity (2003), 'Cyber-brid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Transnational Imaginaries, Migration, and the Intimate Economy of Marriage' Ph.D. Dissertation, American Studies,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Minnesota
28 광주여성발전센터(2003), <외국인 주부 실태조사>
29 민가영(2004), '로컬 가부장제와 글로벌 자본의 충돌과 공모: 중국 조선족 공동체 해체 주범으로 재현되는 중국 조선족 '여성 유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창립 118주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국가회단 시대 변화하는 아시아의 여성> 2004년 6월 4일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관:43-71
30 와따나베 미유끼(2004), <외국인 주부 정착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2004. 11. 3, 충북도청 회의실
31 서영주(2001), '강원지역 외국인 주부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강원도 여성정책실, '외국인 주부 복지증진을 위한 토론회' 2001년 9월 7일 춘천, pp.21-75
32 Lee, Hye-Kyung (2003), 'Gender, Migration and Civil Activism in South Korea', Asian and Pacific Migration Journal, 12(1-2):127-153
33 Lee, Daniel B. (1981), 'Military Transcultural Marriage: Research Findings,' A paper presented at the Department of Army Behavioral Science Conference, El Paso, Texas
34 김민정(2003), '필리핀 이주노동자의 '한국남편' 되기' 제35차 한국문화인류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
35 Truong, Thanh-Dam (1995), 'Gender, International Migration and Social Reproduction: Implications for Theory, Policy, Research and Networking' A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International Female Migration and Japan: Networking, Settlement and Human Rights' December 12-14 1995, at the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Meiji Gakuin University, Tokyo
36 위홈(안양전진상 복지관 이주여성쉼터 위홈)(2003), <국제결혼과 여성폭력에 관한 정책제안을 위한 원탁토론회 자료집> 2003년 6월 4일, 국가인권위원회
37 한주연(2002), '한, 일 국제결혼 가정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가족치료전공 석사학위논문
38 성지혜(1996), '중국교포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연구'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39 Piper, Nicola (1997), 'International Marriage in Japan: 'race' and 'gender' perspectives' Gender, Place and Culture, 4(3):321-338   DOI   ScienceOn
40 Hsia, Hsiao-Chuan (2004), 'Intemationlization of Capital and the Trade ill Asian Women: The Case of 'Foreign Brides' in Taiwan' Delia D. Aguilar and Anne E, Lacsamana Edit. Women and Globalization, New York: Humanity Books, pp.181-229
41 Yu, Kojima (2001), 'In the Business of Cultural Reproduction: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Mail-Order Bride Phenomenon'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24(2): 199-210   DOI   ScienceOn
42 Yuh, Ji-Yeon (2002), Beyond the Shadow of Camptown: Korean Military Brides in America,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43 Wang, Hong-zen and Shu-ming Chang (2002), 'The Commodific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s: Cross-border Marriage Business in Taiwan and Viet Nam' International Migration, 40(6):93-116   DOI   ScienceOn
44 송성자(1974), '국제결혼에 있어서의 부부갈등: 미8권 정신위생과에 의회해 온 미국군인배우자를 가진 한국여성을 중심으로 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석사학위논문
45 윤형숙(2004a),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 외 엮음.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 pp.321-349
46 김정선(2004), '이주노동자 남성과 한국여성의 '가족'만들기르르 통해 본 지역 가부장제의 변형 및 재구성' 이화여자대학교 창립 118주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국가 횡단 시대 변화하는 아시아의 여성> 2004년 6월 4일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5-41
47 법무부(2001. 2), '국민과 결혼한 외국인배우자의 국내체류실태' 내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