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정간호대상자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NEED FOR DEVELOPMENT OF HOME HEALTH NURSING PROGRAM IN KOREA (가정 간호 사업에 관한 연구)

  • Ruth M. Virginia;Moon Jung Soon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5 no.1
    • /
    • pp.53-69
    • /
    • 1991
  • 가정간호사업 도입에 대한 대상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1988년 7월 1일부터 동년 8월말까지 서울시내 5개 대학병원에서 퇴원하는 환자 390명과 환자 보호자 380명, 주민 780명, 총 15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81\%$의 대상자가 가정간호 사업 도입이 필요하다고 한 반면 $7.5\%$는 필요 없다고 하였으며, $11.5\%$는 잘 모르겠다고 하였다. 필요성 인식 율은 주민이 $83\%$, 환자보호자가 $79\%$, 환자가 $78\%$로서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P<.01). 인구학적 변수별로 보았을 때, 교육수준과 가정수입에 따라 인식 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P<.001, P<.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수입이 많을수록 높았다. 2. 필요성 인식 율은 가정간호사업 이용의사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P<.001), 이용의사가 많은 군이 인식 율도 높았다. 3. 환자들의 필요성 인식 율은 퇴원시기에 대한 의견과 병원비 지출액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P<.05, P<.02), 퇴원시기가 적절하다는 군이 부적절, 하다는 군보다, 또한 병원비 지출액이 적을수록 인식 율이 높았다. 진단명에 따라서는 피부 및 피하조직 진환$(100\%)$, 임신 및 출산에 관련된 합병증$(90\%)$, 신경 및 감각기계 질환$(85\%)$, 부상 및 중독$(83\%)$, 신생물$(79\%)$, 등에서 필요성 인식 율이 높았다. 4. 가정간호사업 이용에 대한 대상자의 의견을 $47.8\%$가 이용할 의사가 있었고, $49.9\%$는 상황에 따라 결정하겠다고 하였으며, $3.2\%$는 이용하지 않겠다고 응답하였다. 인구학적 변수별로 보았을 때, 연령별로는 노년층, 성별로는 남성이, 교육수준은 낮은 군이, 의료보험을 가진 군이 이용할 의사가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1, p<.001, p<01, p<.01). 5. 환자들의 가정간호사업 이용 의사는 퇴원시의 상태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P<.02), 상태 가 입원 시와 변화가 없거나 악화된 군이 이용할 의사가 많았다. 진단별로는 내분비계 질환$(63\%)$, 신생물$(57\%)$, 혈액 및 조혈기능 장애$(55\%)$, 부상 및 중독$(55\%)$, 등이 이용할 의사가 많았다. 6. 대상자들이 가정간호사업의 장점으로 생각하는 것은 환자의 심리적 안정$(66\%)$, 시간 절약$(57\%)$, 가족의 편이$(57\%)$, 환자 간호에 대해 배운다$(53\%)$, 질병 과정을 배운다$(51\%)$ 등이었다. 7. 대상자들이 가정간호사업의 단점으로 생각하는 것은 응급시에 대처하기가 어렵다$(49\%)$, 환자가 불안해 할 것이다$(41\%)$ 가정환경이 환장에게 부적합하다$(43\%)$ 등이었다. 8. 가정간호사업에서 수용할 수 있는 간호 업무로$50\%$ 이상의 대상자가 지정한 것은 활력징후측정, 경구 및 비경구 투약, 운동과 휴식지도, 개인 위생관리, 보건교육, 정신 심리 간호 등이었다. 9. 가정간호사업에 대한 지불방법은 $32.9\%$가 제공된 업무에 따라 지불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가장 많았다.

  • PDF

Development of Nursing Process Information System for the Home Health Care (가정간호를 위한 간호과정 정보시스템 개발)

  • Cho, Hyun;Kang, In-S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5
    • /
    • pp.1126-1132
    • /
    • 2009
  •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reduce the gaps between medical institutes and between medical personnels and help to improve medical service quality, by classifying diagnoses and related interven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andard nursing intervention and by computerizing protocols. We considered two processes: one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home nursing standard intervention, and the other is the process of computerizing its related protocols. For the former, research covered analysis of home health care practices, development of client assessment protocol, of patients diagnosis protocols, and of patients intervention protocol. For the latter, strategies for home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s should be set up and it constituted four research contents of analysis, design,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the systems. We also trained and educated home nurses who work at home health service center, by making them use the manual of home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s at a certain city of P. In this study, therefore, we developed elements of standard home health care mediation so that they could be included in the forms of home health information note, home health progress note, and home health progress summary, home health discharge summary. Because standard home health care intervention has been developed, it became easier to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home heath service center offices, can prevent from missing or redundant information, and contribute to standardization of hospital terminologies when EMR and HMR are developed.

Marriage Migrant Women's Gender Role Attitude and Perceptions of Domestic Violence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 Kim, Hye-Suk;Choi, Eun-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2
    • /
    • pp.9-16
    • /
    • 2021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domestic violence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1 married migrant women residing in area J from October 4 to December 20, 2019. Data analysis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WIN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bject's gender role attitude was found to be an average of 2.05 points out of 4 points. The subject's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was an average of 2.02 out of 4 poi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role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domestic residence period, education level, nationality,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use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age, education level, nationality, and whether they were marri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hoped that the foundation for preventing and solving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laid through awareness education and publicity on domestic violence.

A Comparison between Home Care Nursing Interventions for Hospice and General Patients (가정 호스피스 대상자와 일반 가정간호 대상자에게 제공된 간호중재 비교)

  • 용진선;노유자;한성숙;김명자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31 no.5
    • /
    • pp.897-911
    • /
    • 2001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home care nursing intervention activities analyzed by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system for hospice and general patients. Method: For the descriptive survey study, data was collected by reviewing charts of 151 hospice patients and 421 general patients who registered in the department of home health care nursing at K Hospital. Results: According to the NIC system application, there were 2380 total nursing interventions used for the hospice patients and 8725 for the general home care patients. For both sets of patients (hospice vs. general), the most frequently used nursing intervention in level 1 was the Physiological: Complex domain (40.13 vs. 31.06 percent), followed by the Safety domain; in level 2, the Risk Management class (28.4 vs. 27.70 percent), followed by Tissue Perfusion Management; and in level 3, Vital Sign Monitoring (6.18 vs. 4.84 percent), followed by Health Screening.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lack of specialized hospice nursing interventions such as emotional, family and spiritual support, and care for dying hospice patients.

  • PDF

Risk Factors for Mutidrug-Resistant Organisms Carriage Among Home Health Nursing Patients (의료기관 가정간호 대상자의 다제내성균 보유 위험요인)

  • Park, Min-A;Jang, Jung Sook;Cho, Young Yi;Choi, Ji Yeon;Lee, Jong-Eun
    • Journal of Home Health Care Nursing
    • /
    • v.30 no.2
    • /
    • pp.155-16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atus and risk factors for the carriage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carriage in home health nursing patient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nrolled 122 participants who received home health nursing and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chart review and diagnostic tests for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carriage from January 2019 to January 2021. Results: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surgical procedures in the preceding year, injectable antibiotic use in the preceding month, pressure ulcer, and indwelling nasal tub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ulti-drug resistant infection. Conclusions: Infection-control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and customized for use in the home health-nursing service for patients who are carriers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HOME NURSING CARE NEEDS IN RURAL KOREA (한국 농촌 지역의 가정간호 요구에 관한 연구)

  • KIM, SUNG SIL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8 no.1
    • /
    • pp.44-69
    • /
    • 1988
  • 보건의료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었다 하더라도 의료의 혜택이 필요할 때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제공될 수 없는한 전체 국민의 건강요구를 포괄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나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 집단의 최소 단위인 가정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합리적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정간호 요구의 사정 및 가정간호 수행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가정 간호(Home Nursing Care, Home Health Care)는 추후관리를 받아야 할 대상자, 고령자, 만성질환자에게 규격화되어 있는 병원간호를 가정이라는 친숙한 분위기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가정 중심의 심리적 안정은 물론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적 간호수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농촌가정의 가정간호의 요구는 무엇이며 그 요구의 원인은 무엇인가\ulcorner 둘째, 농촌가정에서 가지고 있는 상병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행하여 지고 있는 가정간호의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가정간호 수행자는 누구이며 이에 대한 수혜자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ulcorner 본 연구의 방법은 1985년 6월 18일 부터 8월 7일 까지 C군에 거주하는 주민중 11개소 보건진료소가 소재한 반의 주민 전체 1,027명 중 상병자 159명과 30세 이상의 인구 440명, 가구주 239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면접으로 질문지를 기록케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첫째 간호요구의 측정을 위한 도구로 Virginia Henderson의 기본간호활동 14가지를 기초로 지역주민 50명과 현직 간호원 50명에게 개방질문으로 얻은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하였으며 둘째, 가정간호수행에 대한 도구로 Orem의 간호이론 중 간호방법 5가지를 근거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보건진료원에 의하여 사정된 간호요구와 그 원인들을 인간의 기본요구 영역별로 분류하여 가정간호진단을 위한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정 및 진단도구로 쓸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상병자에 대한 가정간호 수행은 수행빈도와 수행내용에 따른 수행자와 수행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1. 가정간호요구에 대하여 1) 가정간호요구 측정은 신체영역 중 몸을 청결히 하고 몸차림을 단정히 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내용에서 더위나 추위에 대하여 옷을 맞추어 조절하기의 요구, 적절한 식사와 수분섭취하기 내용에서 배변의 요구, 또한 몸을 움직이고 바람직한 체위를 유지하기 내용에서 한가지 자세를 계속하기의 요구가 높았고 정상호흡하기 내용에는 일상활동시 호흡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었다. 사회, 심리, 영적 간호요구 영역에서는 자신이 신앙에 따라 예배하기 내용에서 신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요구가 높았으며 여러가지 오락의 형태를 취하여 이에 참여하기 내용에서는 취미생활의 요구가 높았다. 2) 가정간호요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의 가정간호요구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내용별 요구의 차이는 없었다. 2. 가정간호수행에 대하여 1) 가정에서 수행되는 가정간호내용으로는 직접간호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내용으로는 구강청결, 옷 갈아 입기, 투약, 음식투여, 대ㆍ소변보기의 빈도가 많았다. 건강한 환경제공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적당한 실내온도 유지하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내용에서는 투약요령 알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보호와 지지내용과 교육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현 상태 인정하기와 투약 방법에 대한 교육하기의 간호수행빈도가 가장 많았다. 2) 간호수행자에 있어서 직접간호 수행은 본인 스스로 하는 빈도가 가장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 및 교육의 간호수행은 전문가가 많았고 보호와 지지간호는 가족이 많았고 건강한 환경제공간호는 배우자에서 더 많았다. 3) 간호수행자에 대한 만족도는 직접간호 방법에서는 가족이, 안내와 지도는 배우자가, 보호지지, 건강한 환경제공 및 교육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간호수행 만족도가 높았다. 4) 상병상태에 따른 주 증상은 관절통 요통이 가장 많았고 상병자는 남자가 많았고 주 중상에 대한 성별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 가정간호요구와 정도 및 가정간호 수행의 내용을 기반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개선책이 요구된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

Activities of a Home Hospice Organization (가정호스피스기관의 활동에 관한 연구)

  • Kim, Jung-Hee;Choi, Young-Soo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3 no.1
    • /
    • pp.28-38
    • /
    • 2000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problems of and services provided to hospice recip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at a home hospice organizat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113 people who were discharged from one free-standing home hospice organization between November, 1994 and lune, 1999. Since the opening of the organization in November of 1994, it has provided hospice services at patients' homes with no charge. Data were collected from those subjects' records. Results :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57.1 years; those aged 60 and over were 54%. Spouse was the most frequent(50.9%) primary caregiver followed by daughter-in-law and daughter. All the subjects were diagnosed as having cancer. Of those 41 subjects who did not know their terminal stage in the beginning, 31 subjects came to know their states. Of the subjects, 72.7% were referred from their physicians. On the average, the service duration and the number of home visits were 6.8 weeks and 7.2 times, respectively. Pain was the most prevalent problem of the subjects(89.4%). Medication management was the most frequently provided service followed by psychological supports. The reasons for discharge were death(88.5%) and refusal(8%). Home was the most frequent place of death(60%). Conclusion Home hospice service providers should be trained particularly in working with elders and in managing cancer pain. People need to be referred at an appropriate time for achieving goals of hospice. Community recognition of hospice services needs to be promoted.

  • PDF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Home Care Patient's Primary Caregiver (가정간호대상자 주돌봄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an, Suk-Jung
    • Journal of Home Health Care Nursing
    • /
    • v.17 no.2
    • /
    • pp.144-15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QOL)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home health care patients. Method: The subjects were 110 primary caregivers of patients who were receiving home health care from two home health care centers affiliated with general hospitals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five questionnaires. Results: Positive relationships were evident between QOL and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primary caregiver. Negative relationships were evident between QOL and burden and depress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QOL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influencing factor was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burden, and depression explained 34.3% of the variance. Conclusion: Burden,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are related with QOL of primary caregivers of home health care patients.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directed at this caregiver population are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