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용 lysin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2초

재래식 간장 및 된장 제조가 대두단백질의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제3보 Lysine 가용도의 변화- (The Effect of Korean Soysauce and Soypaste Making on Soybean Proteion Quality -Part III. Changes in the Lysine Availability-)

  • 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3-69
    • /
    • 1976
  • 재래식 간장 및 된장 제조중에 일어나는 대두단백질 중의 lysine 가용도의 변화에 관하여 화학적 방법 및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서로 다른 측정 방법에 의한 결과의 차이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TLMI법에 의한 FDNB-reactive lysine의 동향을 보면 대두의 삶음과 메주 발효과정중 lysine의 가용도는 저하하나, 8개월간의 메주 장숙성과정에서 그 가용도가 다시 증가되어 원료대두 단백질중의 lysine가용도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되었다. 한편 백쥐의 사양시험에 의한 생물가 (BV), NPU, NER 및 상대적 lysine 가용율등에 의하면 메주 제조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숙성과정중에도 lysine 가용도는 계속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녹두(綠豆)지짐에 있어서의 함질소화합물(含窒素化合物) 특(特)히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의 소장(消長)에 관(關)하여 (A Study on Nitrogen Compounds and the Vicissitude of Free Amino Acids in Mong-bean Saute)

  • 강영희;이정옥;정하분;이기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권1호
    • /
    • pp.63-67
    • /
    • 1971
  • (1) 쌀에 있어서 보다 녹두(綠豆)에 있어서 전질소량(全窒素量), 가용성질소양(可溶性窒素量), 단백태질소양(蛋白態窒素量) 및 Alcohal 가용성(可溶性) 질소양(窒素量)이 더욱 많았다. (2) 쌀혼합녹두(混合綠豆)를 지진 경우가 지지기 전(前)보다 전질소양(全窒素量)과 단백태질소양(蛋白態窒素量)이 더 많았고 가용성질소(可溶性窒素), Alcohol 가용성(可溶性) 질소(窒素)에서는 별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Alcohol 가용성질소(可溶性窒素)에서는 약간의 감소(減少)를 보였다. (3) 녹두(綠豆)를 지짐으로 해서 Valine, ${\gamma}-aminobutyrate$, Glutamine, Arginine, Methionine, Unknown 1,2 가 소실(消失)되었고 Proline, Lysine, Homoserine, Tyrosine은 검출(檢出)되었다. (4) 쌀혼합녹두(混合綠豆)리 지진 경우 지짐으로 해서${\gamma}-aminobutyrate$, Lysine, Histidine, Tyrosine, Cysteine 이 소실(消失)되었고 Phenylalanine, Leucine, ${\beta}-alanine$이 검출(檢出)되었다.

  • PDF

뇨중의 산가용성 펩타이드에 의한 식이 단백질 이용 효율의 추정 (Estimation of the Efficiency of Dietary Protein Utilization Based on the Urinary Excretion of Acid-Soluble Peptides in Rats)

  • 남택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6-132
    • /
    • 1991
  • 식이 단백질의 질적인 차이에 의해 뇨중에 배설되는 산가용성 펩타이드의 배설과 단백질의 체내 이용효율을 검토하였다. PE식이의 산가용성 펩타이드의 배설량과 ASP-form 아미노산 pattern을 G식이, C식이, GLT식이 군과 비교한 결과, 각 단백질식이군에서 산가용성 펩타이드 배설량이 많았지만, 산가용성 펩타이드를 구서 고 있는 아미노산의 조성은 거의 유사하였으므로 뇨중 펩타이드가 내인성 대사 생성물임이 확이되었다. 그리고 뇨중에 배설되는 산가용성 펩타이드를 토대로 각 식이 단백질의 체내 이용효율을 계산한 결과 G식이는 $74{\pm}1%$, C식이는 $93{\pm}3%$, GLT식이는 $91{\pm}2%$였다.TEX>였다.

  • PDF

상이한 조건하에서 저장한 압출보리의 품질특성에 관한 이화학적 평가 -제 2 보 : 비효소적 갈색화- (Physicochemical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Barley Under Varied Storage Conditions -II. Non-enzymatic Browning-)

  • 신효선;제이아이그레이;에스엘큐페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7-294
    • /
    • 1983
  • 3가지 다른 조건하에서 제조된 압출보리와 생보리를 0.31 및 0.71의 수분활성과 $25^{\circ}C$$40^{\circ}C$의 온도에서 각각 4개월 저장하면서 색도, 갈색화지수, 가용성 단백질, 환원당 및 유효성 리진의 변화에 대한 수분활성과 온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와 함께 수분활성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백색도의 손실이 증가하였다. 생보리는 압출보리보다 저장중 갈색화 지수의 증가가 심하였고,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압출보리는 다른 압출보리보다 저장중 갈색화가 적었다. 수분활성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시료중의 환원당, 가용성 단백질 및 유효성 리진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이와같은 결과는 저장중 Maillard반응에 의한 것임을 알았다.

  • PDF

치어기 잉어에 있어 사료내 Lysine 부산물의 첨가효과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Lysine Cell Mass (LCM) in Juvenile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 김강웅;왕소길;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6-341
    • /
    • 2002
  • 본 연구는 치어기 잉어에 있어서 어분 (fish meal, FM) 대체 단백질원으로서 lysine 부산물 (lysine cell mass, LCM)이 사료내 이용 가능성과 대체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은 $38\%$, 가용에너지는 15.2kJ/g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16.7, 16.7 and 37.7kJ/g)으로 동일하게 맞추어 실험사료를 제조하였으며, 사료의 조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00\%$ $FM; LCM_20$, $80\%$ $FM+20\%$ $LCM; LCM_40$, $60\%$ $FM+40\%$ $LCM; LCM_60$, $40\%$ $FM+60\%$ $LCM; LCM_100$, $100\%$ $LCM; LCM_20$l, $80\%$ $FM+20\%$ $LCM+0.07\%$ $Lysine; LCM_40$l, $60\%$ $FM+40\%$ $LCM+0.14\%$ $Lysine; LCM_60$l $40\%$ $FM+60\%$ $LCM+0.22\%$ $Lysine; LCM_100$l, $100\%$ $LCM+0.35\% Lysine. 6주 동안의 실험 결과, 증체율, 사료효율, 일간성장률, 간중량지수 및 단백질전환효율에 있어서 LCM_0와 비교하석 LCM_20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반면에 (P>0.05), $LCM_40,\;LCM_60$$LCM_100,\;LCM_40l,\;LCM_60$l 및 $LCM_100$l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LCM_0$$LCM_20$l은 증체율, 일간성장률, 간중량지수 및 단백질 전환효율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P>0.05),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LCM_0$에 비해 $LCM_20$l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헤마토그리트과 비만도는 모든 사료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따라서, 치어기 잉어에 있어서 Iysine 부산물은 어분단백질의 $100\%$ $FM; LCM_20$, $80\%$ $FM+20\%$ $LCM; LCM_40$, $60\%$ $FM+40\%$ $LCM; LCM_60$, $40\%$ $FM+60\%$ $LCM; LCM_100$, $100\%$ $LCM; LCM_20$l, $80\%$ $FM+20\%$ $LCM+0.07\%$ $Lysine; LCM_40$l, $60\%$ $FM+40\%$ $LCM+0.14\%$ $Lysine; LCM_60$l $40\%$ $FM+60\%$ $LCM+0.22\%$ $Lysine; LCM_100$l, $100\%$ $LCM+20\%까지 대체 가능하며, lysine 부산물에 결핍된 필수아미노산인 lysine을 첨가한 사료구에서는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붕어 및 가물치의 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 (Compositions of Protein and Amino Acid in Crucian Carp and Snakehead)

  • 최진호;임채환;최영준;김창목;오성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338
    • /
    • 1986
  • 우리 나라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는 붕어와 가물치의 영양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백질,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하고, 육단백질중 근형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은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하여 그 구성 sub-unit를 검토하였다. 가물치는 붕어에 비하여 조단백질의 함량이 $3\%$가량 높았으며 Ex 분의 함량 또한 월등히 많았다. 육 단백질을 구성하는 단백질 조성은 붕어의 경우 근형질 단백질이 $32.6\%$, 근원섬유 단백질이 $62.0\%$, 알칼리가용성 단백질이 $4.9\%$, 기질 단백질이 $0.6\%$이었으며, 가물치는 근형질 단백질이 $30.7\%$, 근원섬유 단백질이 $64.1\%$, 알칼리가용성 단백질이 $4.7\%$, 기질 단백질이 $0.4\%$를 차지하고 있었다. 근형질 단백질과 근원섬유 단백질 분획의 일부에 대하여 구성 subunit를 분석한 결과, 붕어의 근형질단백질은 10개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었고, 가물치는 12개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근원직유 단백질은 붕어가 19개의 subunit이었으며, 가물치는 18개 subunit로 이루어져 있었다. 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lysine과 glutamic acid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붕어와 가물치가 비슷한 편이었으며,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및 arginine이 전체 구성아미노산의 약 $46\%$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유리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 붕어는 histidine이 전체유리아미노산의 $52.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물치는 glutamic acid, glycine와 taurine이 전체유리아미노산의 약 $84.5\%$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총 유리아미노산의 양에 있어서 가물치는 붕어의 약 6.2배에 달하였다.

  • PDF

장류제품의 아미노산 조성과 그 단백질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n Fermented Soybean Meju Products and the Evaluation of the Protein Quality)

  • 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10-214
    • /
    • 1973
  • 한국 재래식 장류 및 개량식 제품과 중간 가공물인 메주와 koji-mix 및 원료 대두에 대한 아미노산 조성과 available lysine 함량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각 제품의 단백질 품질평가를 시도하였으며 Eggum의 단백질 chemical score와 biological value 와의 상관회귀 방정식을 이용하여 각 제품 단백질의 대략적인 biological value를 추산하였다. 메주용 대두의 amino-N 함량은 총 질소량의 85%에 달하나 장류 제품에는 총 질소량의 약 75%의 amino-N 함량으로 감소하는 반면 $NH_3-N$ 과 기타 N-compounds 함량이 증가한다. 이중 가내제조된 간장은 예외적으로 낮아 총 질소량의 53%에 불과한 amino-N을 함유하고 있다. 장류제조에서 재래식 방법과 개량식 제품 단백질의 질적변화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며, 메주제조 단계까지는 원료 대두단백질의 영양가가 크게 손상되지 않으나 사임 담금이후 후숙 분리과정에서 단백가가 크게 손상되어 제품의 단백가는 원료 대두 단백질의 약 1/2에 불과한 chemical score를 나타내며 약 $1/3{\sim}1/2$에 미달되는 낮은 lysine 가용도를 갖게된다.

  • PDF

진탕배양법(振?培養法)에 의한 양송이 균사체(菌絲體)의 생산(生産) (Production of Mushroom Mycelium (Agaricus campestris) in Shaking Culture)

  • 이정숙;이서래;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2-29
    • /
    • 1975
  • 양송이(Agaricus campestris var. bisporus)의 액체배양을 위하여 TGY 배지(培地)에서의 배양조건을 보면 $27{\sim}30^{\circ}C$ 진탕배양에서 pH는 배양일수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배양(培養) 12일에는 균체량의 생산도 많았고 질소함량도 7%를 유지하였으며, 배지중 탄소원은 거의 소실되었다. 배양기의 질소원으로는 ${(NH_4)}_2HPO_4$에서 수율(收率)이 좋았고, yeast extract 를 첨가하였을 때 균사체량이 더 증가하였다. 탄소원으로서는 glucose 가 가장 좋았고 fructose, maltose, lactose, sucrose 는 거의 비슷하였으며 가용성 전분은 거의 자화(資化)하지 못하였다. 양송이 균사체(菌絲體)는 단백질 함량이 48%이고 유리(遊離)아미노산으로서는 arginine,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proline, tyrosine 의 8종이 검출되었으며 단백질에는 각종 필수(必須)아미노산 특히 lysine, threonine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고품질(高品質)의 단백질 식품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치어기 틸라피아에 있어 사료내 어분 대체원으로서 라이신 부산물의 첨가효과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Lysine Cell Mass as a Fish Meal Replacer in Juvenile Nile Tilapia)

  • 김강웅;이진영;배승철;이희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7-203
    • /
    • 2001
  • 이 연구는 치어기 틸라피아에 있어서 어분(fish meal, FM) 대체 단백질원으로서 라이신 부산물(lysine cell mass, LCM)이 사료내 이용 가능성과 대체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사료는 조단백질 35%, 가용성 에너지 15.3 kJ/kg으로 설계되었고, 주 단백질원으로 어분, 대두박, 콘글루텐밀 및 라이신 부산물을 사용하였다. 주 동물성 단백질원인 어분 단백질을 라이신 부산물에 의한 대체 수준에 따라 사료 조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CM_0, 100% FM: LCM_{10}, 90% FM+10% LCM, LCM_{20}, 80% FM+20% LCM; LCM_{30}, 70% FM+30% LCM; LCM_{40}, 60% FM+40% LCM; LCM_{30}l, 70% FM+30% LCM+lysine; LCM_{30}ln, 70% FM +30% LCM + lysine +NaOH; LCM_{40}lan, 60% FM+40% LCM+lysine+arginine; LCM_{40}/lan, 60% FM+40% LCM+lysine+arginine+NaOH.$ 8주간의 실험 결과, 증체율과 일간성장률에 있어서는 사료구 $LCM_0$와 비교하여 모든 사료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아울러 아미노산 첨가 및 중화효과는 모든 사료구에서 나타나지 않았다(p>0.05). 사료효율과 단백질 전환효율에 있어서 사료구 LCMo는 사료구 $LCM_{10}. LCM_{20}. LCM_{30}lan, LCM_{40}lan 및 LCM_{40}lan$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P>0.05), 사료구 $LCM_{30}, LCM_{40} 및 LCM_{30}l$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아미노산 첨가와 중화효과에 있어서 사료구 $LCM_P{30}la, LCM_{30}l 및 LCM_{30}ln$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사료구 $LCM_{40}la 및 CM_{40}lan은 LCM_{40}$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치어기 틸라피아에 있어서 성장을 기준으로 라이신 부산물은 어분 단백질을 40%까지 대체가 가능하였으며, 아울러 높은 라이신 부산물의 대체 수준에 있어서 사료효율과 단백질 전환효율을 고려한다면 아미노산 첨가(라이신과 아르지닌)와 중화 효과에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과요오드산 산화당에 의한 인공단백질의 조제 메카니즘 (Preparation Mechanism of Glycoprotein by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and Maltooligosaccharides)

  • 안용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82-487
    • /
    • 1999
  • 과요오드산으로 산화시킨 당을 유리아미노산과 반응시켜서 ${\alpha}-NH_2$기와 펩티딜리신의 ${\varepsilon}-NH_2$기와 반응하여 결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제조한 과요드산-산화당은 단백질 분자 표면의 리신의 ${\varepsilon}-NH_2$기와 Schiff 염기 반응으로 공유결합하여 당단백질을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과요드산 산화당으로 변형한 고구마 ${\beta}$-아밀라아제는 C, H는 증가, N은 감소하였다. N말단의 ${\alpha}-NH_2$기는 70% (pentamer), 73% (monomer), ${\varepsilon}-NH_2$기는 33% (pentamer), 26% (monomer)가 산화당과 반응하였다. 페놀-황산법에 의한 총당 정량과 DNP 법으로 분석한 결과, $IO_4$-산화말토헥사오스는 고구마 ${\beta}$-아밀라아제 1몰당 6몰이 결합된 것으로 나타났고, 고구마 ${\beta}$-아밀라아제에 결합된 산화가용성 전분은 효소단백질 대비 13.2% (monomer), 13.5% (pentamer), 산화말토헥사오스는 9.7% (pentamer), 9.3% (monomer)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