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열 압력

Search Result 291,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KT-1 토카막의 전자석 코일에 의한 유도가열탈리

  • 정승호;박선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34-34
    • /
    • 1999
  • 토카막(Tokamak)에서는 플라즈마(plasma)로 불순불(impurity)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고진공을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가열탈리(backing), 방전세정(discharge codanning) 등 wall conditioning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KT-1 토카막은 실험실 이전에 따른 해체로 인해 진공용기(vacuum vessel) 가 대기압 하에 수개월 동안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재조립 후 가열 탈 리가 필수적이나 진공용기의 외부에 saddle loop coil을 비롯해 Rogowski, diamagnetic coil, poloidal field coil 등 많은 magnetic pick up coil 들이 설치되어 있어 열선 등 일반적인 방법으로 가열 탈 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KT-1 토카막에서는 전자석 코일에 상전원을 부가하였을 때 진공용기에 발생하는 유도가열 (inductive heatin)을 이용해 가열 탈리를 시도하였다. 유도 가열 탈리(inductive backing)는 토로이달 자장 코일(toroidal field coil)과 가열 저장 모일(ohmic heating coil)을 각각 이용하여 코일의 온도가 6$0^{\circ}C$ 이하가 유지되는 코일 전류 범위내에서 수행하였으며 먼저 이 둥 경우에 있어서 진공용기의 온도분포를 비교하엿다. 그리고 가열 탈리 기간 및 그 전, 후의 진공압력과 잔류기체 분압을 측정, 분석하였다. 유도가열에 의한 방법으로 KT-1 토카막에서 얻은 탈리온도는 12$0^{\circ}C$정도로 비교적 낮았으나 탈리 시간을 연장하여 탈리효과를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가열 탈리가 여려운 경우 유도 가열 탈 리가 채택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라 볼 수 있다.

  • PDF

A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friction weld interface in metal bearing (Metal Bearing 마찰용접면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 오세욱;이영호;민택기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8 no.4
    • /
    • pp.20-26
    • /
    • 1990
  • In this study, to make research on its optimum condition in friction weld when the heating pressure is change during 1.6 to 3.0 $kgf/mm^2$,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metal bearing under various condition; 1600 r.p.m spindile speed, 0.6 $kgf/mm^2$ preheating pressure, upset pressure 2.6 $kgf/mm^2$, 0.5 seconds preheating time, 1.7 seconds heating time, water and air was ejected 6 $kgf/mm^2$ into the bushing.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are drawn; 1) At the area of weld interface, the heardness is shown the maximum value and heat-affected zone about 0.5mm both sides. 2) Bending strength is shown the optimum heating pressure 2.4 kgf/mm. 3) With the approach of the flash, Sn is increased only 2 mm in A-alloy structure.

  • PDF

Sintering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C-8wt.%Ni Hard Materials by Two Rapid Sintering Processes (고주파 유도가열 소결장치와 펄스전류활성 소결장치에 의해 제조된 WC-8wt.%Ni 초경재료의 소결 거동과 기계적 특성)

  • Jeong In-Gyun;Kim Hwan-Cheol;Son In-Jin;Do Je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Conference
    • /
    • 2006.04a
    • /
    • pp.77-78
    • /
    • 2006
  • 급속소결방법인 고주파유도가열 소결법과 펄스전류활성 소결법을 이용하여 습식 볼밀링으로 혼합한 WC-8wt.%Ni분말에 60MPa의 압력과 고주파유도가열장치의 경우 전체 용량 (15kw)의 90%에 해당하는 고주파출력을, 펄스전류활성 소결장치의 경우 2800A의 펄스전류를 가하여 치밀한 소결체를 2분이내의 짧은 시간에 제조하였다. WC 초기입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소결체의 입자크기와 평균자유행로는 증가하였다. 또한 WC 결정립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경도는 증가하였으며, 파괴인성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0.5{\mu}m$의 분말을 60MPa의 압력하에서 고주파유도가열 소결법에 의해 얻어진 소결체의 파괴인성과 경도는 각각 $1813kg/mm^2$$8.9MPa{\cdot}m^{1/2}$ 이었고, 펄스전류활성 소결법에 의해 제조된 소결체의 경도와 파괴인성은 각각 $1839kg/mm^2$$8.5MPa{\cdot}m^{1/2}$ 이었다.

  • PDF

Safety evaluation for oven structures using parametric method (설계 변수법을 이용한 밥솥 체결 구조물의 안전도 평가)

  • Lee, Seung-Pyo;Koh, Byung-Kab;Ha, Sung-Ky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4
    • /
    • pp.853-858
    • /
    • 2008
  • The structures of induction heating type pressure rice cooker are consisted of oven. top heater plate and locking ring. Because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ir structures, those should be necessary to do the safety evaluation. In this paper, structure analysis is performed for oven structures by using finite element method and as a results, optimal thickness is achieved. Especially, analysis fur anisotropic layered material is performed because oven is made of both stainless steel and aluminum. And both von Mises and Tsai-Wu failure criterion are applied for safety factor. Parametric method is used in order to get the optimal thickness for oven and top heater plate.

Model-Based Scheduling Optimization of Hot Press Forging Process for Energy Efficiency (열간 자유 단조 공정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모형 기반 작업 계획 최적화)

  • Lee, Jeongmi;Kim, Seyoung;Ryu, Kwang Rye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641-644
    • /
    • 2018
  • 열간 자유 단조는 고온으로 가열한 강피에 압력을 가하여 원하는 형상을 빚는 공정이다. 가열로에서 여러 개의 강피를 동시에 가열하며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꺼내어 다음 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가열로에 투입하는 소재의 조합과 후단 공정을 위해 소재를 꺼내는 순서가 가열로의 에너지 효율에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에서는 열간 자유 단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비용 예측 모형 기반 작업 계획 최적화 방안을 제안한다.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열로 강피 조합을 최적화하며 각 설비별 작업 할당 규칙에 따라 전체 작업 계획을 수립한다.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후보 작업 계획을 평가하여 계획을 최적화 하며 이를 위해 각 설비별 공정 소요 시간 및 에너지 사용량 예측 모형을 이용한다. 예측 모형은 공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학습한다. 또한 주기적인 재계획을 통해 예측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작업의 진행이 계획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Basic Study on the Regenerator of Stirling Engine (III) -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Pressure drop property of the regenerator with steel wire - (스털링 기관용 재생기에 관한 기초 연구(III) - 철선을 축열재로 한 재생기의 온도 분포와 압력 강하 특성 -)

  • 김태한;오대건;이정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48-557
    • /
    • 2002
  • 본 연구는 스털링 기관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재생기의 설계에 적합한 축열재를 찾을 목적으로 단일 철선 종류(ø0.7, ø0.9, ø1.2, ø1.6, ø2.0, ø2.7), 복합 철선 4종류 (ø1.6-ø1.2, ø1.2-ø1.6, ø0.9-ø1.2, ø1.2-ø0.9), 철망-철선을 서로 다르게 혼합한 축열재 8종류(150-ø0.9, 150-ø01.2, ø0.9-150, ø1.2-150, 150-ø0.9-150, 150-ø1.2-150, 150-ø1.6-150, 150-ø2.0-150)을 공시 축열재로 하여 스털링 기관의 운전조건과 동일한 왕복 유동 상태에서 축열재의 삽입 방법에 따른 온도 분포 및 압력 강하 특성에 관한 실험을 수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일 철선을 축열재로 사용한 경우,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는 단일 철선의 직경이 작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양단의 압력 차는 단일 철선의 직경이 커질수록 작아졌다. 단일 철선 ø0.7과 ø0.9의 성능은 이들 2종류의 공시 축열재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 증가에 따른 기관의 압력증가량과 압력강하 곡선의 차를 비교한 결과, 거의 비슷함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치를 나타냈다. 2. 복합 철선 4종류의 경우, 가열부 쪽에 ø1.2, 냉각부 쪽에 ø0.9를 삽입한 것이 반대로 삽입한 것보다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큰 반면, 압력 차는 적으므로 재생기 축열재로서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 철선을 사용할 경우 가열부 쪽보다 냉각부 쪽에 철선 직경이 작은 것을 삽입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철선의 직경이 큰 것의 조합보다는 직경이 작은 철선의 조합이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큼을 알 수 있다. 3. 철망-철선 혼합재를 축열재로 사용할 경우 재생기를 반으로 나누어서 가열부 쪽에 철선을, 냉각부 쪽에 철망을 삽입한 것이 반대로 삽입한 것보다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는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낮게 나타났다. 재생기 축열재로서 철망-철선을 사용할 경우 철선-철망 ø1.2-150이 전열 표면적은 작으나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가장 낮게 나타나 공시 철망- 철선 혼합 축열재중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축열재의 경우, 철망사이에 삽입한 철선의 직경이 큰 것이 철선의 직경이 작은 것보다 재생기의 양단의 온도차가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차는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것 중 성능이 우수한 것은 150-ø2. 0-150으로 나타났다. 5. 실험한 재생기 축열재들 중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들을 비교한 결과, 복합 철선 ø1.2-1 50이 가장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afety Evaluation for Pressure Rice Cooker Oven using Experiment (실험을 이용한 전기보온압력밥솥 오븐의 안전도 평가)

  • Lee, Seung-Pyo;Koh, Byung-Kab;Ha, Sung-Ky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6
    • /
    • pp.1541-1547
    • /
    • 2008
  • Because of good taste and quick cooking, the induction heating type pressure rice cooker is widely used. Since pressure is applied to oven structure, it should be necessary to check the safety evaluation. In this paper, strain gauge experiment i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oven's strain and its result is compared with that of structural analysis. And water test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oven's permanent deformation. The result is also compared with that of structural analysis. By using these experiments and analyses the safety evaluation method of the oven is suggested.

Studies on the Contents of the Nutrients and the Nucleotides in Soup Stock During Cooking of Cow's Rumen-Reticulum (소양(Cow's Rumen-reticulum)영양성의 가열조리시 분과 맛성분의 용출에 관한 연구)

  • Lee, Yeon-Sook;Park, Dong-Yeon;Park, Ju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4 no.3
    • /
    • pp.245-251
    • /
    • 1989
  • To estimate the nutritional values and the optimum cooking method of the Cow's rumen-reticulum (tripe) which is a Korean traditional food, the nutrients of raw tissue of tripes, the changes in total N, ${\alpha}-amino$ N,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s and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contents in soup stock prepared of tripe tissues according to various boiling time period with saucepot or pressure cooker and various ratios of the water to the tripe (wt/wt) were measur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nutrients contents between rumen (1st stomach) and reticulum (2nd stomach) which contained 83% moisture, 0.4-0.5% ash, 3% fat, 13% protein, 50-56 mg% calcium, 75-76 mg% phosphorus. 75-77 mg% ${\alpha}-amino$ N on fresh weight basis.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the significant loss of nutrients observed after removing epitherial cell layer from tripe, and in aspect of the nutrients contents, the nucletides contents, and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in soup stock, the optimum cooking time period of tripe was 8 hours in boiling in saucepot and 1 or 2 hours in cooking in pressure cooker, and the ratio of the water to the tripe (wt/wt) was above ten.

  • PDF

Chemical Conversion Pattern of Salvianolic Acid B in Aqueous Solution under Different Decoction Conditions (달임 조건에 따른 Salvianolic Acid B의 구조변환 차이)

  • Lee, Hyoung Jae;Cho, Jeong-Yong;Lee, Sang-Hyun;Jeon, Tae-Il;Park, Keun-Hyung;Moon, Jae-Ha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4 no.6
    • /
    • pp.692-698
    • /
    • 2012
  • The chemical conversion pattern of salvianolic acid B (Sal B) in aqueous solution under different boiling conditions was compared. When the duration of boiling was varied, without varying temperature or pressure, the content of chemically converted compounds (CCCs) was mostly increased over time. In addition,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pressure with the same boiling time, the content of a few compound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pressure.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high temperatures and pressures in boiling alter the final composition of CCCs of Sal B.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boiling conditions (time, temperature, and pressure) may be responsible for alter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compounds. Our investigation of the chemical conversion of compounds contained in foods and medicinal herbs ma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in clarifying the biological activity of Sal B containing foods and medicinal her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