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야 문화상품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16th Best Package Design Awards Korea (특집 - 제16회 베스트 패키지 디자인 어워즈)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15
    • /
    • pp.70-74
    • /
    • 2011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는 지난 달 25일 제16회 베스트패키지디자인 수상작들을 선정, 시상식을 열었다. 학회가 주최해 온 베스트패키지디자인어워드코리아는 1995년 기업의 경쟁력을 디자인에서 찾아야 한다는 기치 아래 태동했으며, 올해 16회를 맞은 행사로, 기업과 현직 디자이너들에게 경쟁력 있는 디자인 개발의 동기를 부여함은 물론 우리 상품이 세계화로 발돋움되어 국제 경쟁력을 갖추는데 기여하고 올바른 상품 문화를 진작 시키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패키지디자인의 지속적인 연구와 학술활동을 통해서 후학양성과 상품문화 진작을 위해 창립된 한국상품 문화디자인학회는 베스트패키지디자인어워드코리아 제정으로 사회적 책무를 더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시상부문은 대상을 비롯하여 베스트패키지상에 그래픽부문, 유통부문, 용기부문, 구조부문 등이다. 특히 이번부터 브랜드부문을 확대 신설하여 시상하고 있다. 시상 기준은 최근 2년 동안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창의력이 우수한 상품, 환경친화성 상품, 자원절약과 재활용 상품, 미풍양속을 해치지 않는 건전한 실험상품 등으로 학회원의 추천과 심의에 의해 선정된다. 학회 회원 또는 공동 주최 측으로부터의 추천된 상품을 "어워드선정위원회"가 1차 심의를 통해 심의하여 총회에 상정하고, 상정된 후보 상품을 2차에 걸친 투표로 선정하는 방법이다. 제16회 베스트패키지디자인 시상식에서는 대상에 영농조합법인 이도의 '이도발효차'가 수상했으며 유통부문 베스트패키지상으로 보해양조(주)의 '매취순10', 그래픽부문 베스트패키지상에 청정제주녹차산학연협력단의 '예스그린'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외에 구조부문 베스트패키지상 부문에 (주)지비앤소울의 '나노소울플래티늄'이, 브랜드 마케팅부문 최우수상에 (주)스코리아의 '스코리아'가 차지했으며 브랜드아이덴티티부문 최우수상은 원주시 농업기술센터 '그야말로-원주(元酒)'가 수상했다.

  • PDF

21세기 키워드-컬덕트

  • Kim, Jeong-Sang
    • 프린팅코리아
    • /
    • s.56
    • /
    • pp.152-153
    • /
    • 2007
  • 최근 상품에 문화를 입힌 '컬덕트(Culduct)'가 주목받고 있다. '컬덕트'는 문화(cultrue)와 상품(product)이 합쳐져 생긴 새로운 단어로 블루오션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문화를 판다는 '컬덕트'에 대해서 소개한다.

  • PDF

Construction of Fashion Cultural Goods Design Database using Gaya Relics (가야(伽倻) 유물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 Song, Mi-Jung;Park, Hye-Won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16 no.1
    • /
    • pp.160-179
    • /
    • 2012
  • One of the representative local cultures in Gyeongnam is Gaya culture. This research aim s to develop fashion cultural goods design applying Gaya relics. Based on the study on cu ltural characte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lics, and questionnaire survey on cultural reco gnition and fashion cultural goods purchasing status of Gaya, the plan of Gaya fashion cul tural goods design was made and progressed. To develop design pattern, TexPro Design CAD was used. As to selection of relics to extract motif, Mounted vessel in the shape of warrior on horseback, Chariot wheel-shaped Pottery, Armor and Shield were selected. The main concept of design was 'Timeless Images of Gaya' to re-illuminate a long forgotten p eriod of Gaya, and to create modernization image of ancient period into modern living. By using oring image scale of IRI C or Lab, the 4 main themes of 'Timeless Images of Gaya' including 'Romantic Gaya', 'Dynamic Gaya', 'E -friendly Gaya', 'Modern Gaya'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4 themes, basic pattern, repeating pattern, application patter n were developed. And applied cases were developed to seek reality of design in the fashi on cultural goods. Also web page was constructed to develop educational and industrial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in collaboration with design patterns and fashion cultural goods ap plying cases.

The 26th Best Brand & Package Design Awards (제26회 2020 베스트 브랜드 & 패키지 디자인 어워즈)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34
    • /
    • pp.72-76
    • /
    • 2021
  • 국내 최고의 브랜드와 상품 패키지디자인을 선정하는 '제26회 2020 베스트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어워즈(The 26th Best Brand & Package Design Awards)' 수상작이 지난 1월 8일 발표되었다. (사)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회장 이해만)와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주최한 이번 어워즈에서는 충북낙농업협동조합의 '달그린치즈'가 베스트브랜드 & 패키지디자인 종합대상을 수상했다. 베스트 브랜드 & 패키지 디자인 어워즈는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에 관한 연구와 학술활동을 지속해온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에서 기업들의 상품개발 의욕과 디자인 역량 강화를 위해 1995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다음에 '제26회 베스트브랜드&패키지디자인어워즈' 수상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책의 선물문화 새롭게 열린다

  • Choe, Tae-W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82
    • /
    • pp.13-13
    • /
    • 1991
  • 도서상품권은 가맹점 마크가 부착된 전국 가맹서점에서 공통으로 판매.교환이 가능하다. 규격봉투를 이용해 우편으로 전달할 수도 있는데, 구입시 액면가의 20% 미만에 해당하는 잔액은 서점으로부터 돌려받을 수 있다. 종이상품권 외에 공중전화카드와 같은 사용방식의 프리페이드 카드의 개발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PDF

독신여성을 위한 상품기획 연구

  • 이연희;김영인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86-87
    • /
    • 2003
  • 통계청이 5년마다 조사하는 전국 인구 센서스에 따르면 2000년 전국 총 1천4백39만 가구 가운데 독신 가구는 2백 22만 가구로 전체 가구 중 15.4%를 차지하며 여성의 가구주는 2천6백 53명으로 48.25%가 혼자 살고 있으며 독신의 비율이 지난 10년 사이에 비해 많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소비자로 등장한 독신, 그 중 여성 독신자를 대상으로 그녀들이 열어 가는 1인 가족시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위 한 상품기 획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Design of cultural products for the promotion of Korean cultural image - Focuseed on application by traditional Korean patterns - (한국적 문화이미지 고양.확대를 위한 문화상품 개발 - 전통문양의 활용을 중심으로 -)

  • 박현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no.2
    • /
    • pp.203-213
    • /
    • 1998
  • The forthcoming twenty-first century is at the mercy of information and culture. A quality of humanlife is under the control of a cultural level. A nation's creative culture and a cultural level represent all things about the nation; and a national image, as a whole result of culture, is enormously influential. This new era of culturalism gives us a significant responsibility for getting ready for the late industrial society by practically harmonizing rationality of modem culture with concep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dustrializing culture and culturalizing industry will be the most important strategy for existence in these days of borderles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Cultural products which is containing a nation's own culture can not only enhance the national image, but also become high value-added industry. While general products a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convenient and practical use, cultural products are created with the intention of informing international society about a nation or a region. In order to confront with a global market system and a change of cultur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roper design with cultural inheritance for modem likes and senses, to produce the design on a commercial scale, and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on international markets. In order that a commodity is born, distributed throughout markets, and delivered to a final consumer,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complicated process such as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marketing of products and to systematize each part. Although we should not neglect any part, a political and systemical plan or a distributional and marketing idea will be beside the point in this article. This article presents importance of traditional patterns as a Korean cultural image, and it shows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developing products in order for traditional patterns to be utilized for products effectively. I expect that concrete activation and systematization for those works can be carried out successively.

  • PDF

A study on the plasticity of Gaya relice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goods (지역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가야유물의 조형성 연구)

  • Song, Mi-Jung;Park, Hye-Won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14 no.5
    • /
    • pp.158-175
    • /
    • 2010
  • Culture means a lifestyle realizing a definite object or ideal. Each local special culture is enormous in value as a local culture inheritance. If it is developed a local culture products representing local culture, it can perform an important role on one of the strategies for revitalizing local economy. One of the typical cultures in Kyung-Nam is the Gaya culture.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Gaya culture is powerful iron culture and lots of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founding as relics. Judging from a lot of iron relics, we can figure out a high level of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I studied focussing on the plasticity of Gaya relics and collected base materials for developing local cultural goods, using the motif of Gaya culture with excellent aesthetic consciousness. I classfied Gaya relics into a crown style, jewelry, harnessry, weapons, armor, earthenware, and considered its characteristic of the plastic art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document data. There exists natural, moderate, polished, indigenous, simple, rhythmical, delicate, florid, technical, symbolical, strong, diverse, naive beauty in the plastic characteristic of Gaya relics. Gaya culture with the special excellence of aesthetic resources, is worthy enough to be recreated as local cultural goods. Variable and special cultural fashion-products with the distinctive feature of Gaya culture need to be developed without de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