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시 경계면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Manipulation of Microfluid Width in a Microchannel Using Gas Boundary (미세 채널에서 가스 경계면을 이용한 미세 유체의 폭 조절)

  • Son, Sang-Uk;Lee, Seung-Seob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8 no.8 s.227
    • /
    • pp.1190-1195
    • /
    • 2004
  • A novel manipulation of microfluid width in a microchannel was presented by controlling inflation of a gas boundary. The gas boundary was formed by heating water with a microheater in a semicircular shape from a chamber which was connected symmetrically to the microchannel. The formed gas boundary inflated perpendicularly to the flow direction and, consequently, the microfluid width was narrowed. The inflation and contraction were flexibly like a virtual wall and dependent on two factors: one is the flow velocity of the microfluid and the other is the pressure inside the gas boundary. Dimensions of the chamber and the microchannel width were determined empirically as same of $300\;{\mu}m$ for stable operation. The width of microfluid was manipulated manually with the microheater and could be maintained as up to $22\;{\mu}m$. The stable focusing began to be distorted when the flow velocity exceeded 17.8 mm/s.

평면 레이저 유도 형광법을 이용한 엔진 연소실 OH 라디칼 계측

  • 오승묵;조규백;이중재;고동섭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0 no.6
    • /
    • pp.468-472
    • /
    • 1999
  • 평면 레이저 유도 형광법을 사용하여, 가시와 엔진내부에서 연소 과정이 진행되느 동안 OH라디칼 분포에 대한 2차원 영상을 계측하였다. Rayleigh 산란광을 차단하기 위해서 광대역 필터인 UG11을 사용하였으며, OH 형광 영상은 ICCD카메라로 수집하였다. OH라디칼 은 Q1(11)과 P2(8) 파장으로 여기하였다. 엔진 연료로는 iso-octane을 사용하였으며, 이 연료에서는 자체 형광이 발생하지 않았다. 난류를 암시하는 주름진 화염 경계면을 명확하게 관측하였으며, 어떤 영상에서는 화염 섬(flame island)이 나타나기도 한다.

  • PDF

Design of polarization beam splitter using MacNeille prism for broadband visible and large incident angle (맥닐 프리즘을 이용한 넓은 가시광 영역, 큰 각 입사 편광광속분리 프리즘의 설계)

  • 박범호;이장훈;황보창권;문일춘;강건모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74-175
    • /
    • 2000
  • 1946년 S M MacNeille에 의해 연구된 유전체 다층 박막을 이용한 편광광속분리기는 브르스터 각 편광광속분리기(Brewster angle polarizing beam splitter) 혹은 맥닐 프리즘(MacNeille prism)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도 많은 광학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맥닐 프리즘은 두 개의 프리즘 사이의 빗면에 높은 굴절률( $n_{H}$ )을 갖는 물질과 낮은 굴절률( $n_{L}$ )을 갖는 물질을 λ/4 광학두께로 교번으로 한 고반사 다층박막 구조를 갖는다. 각 층의 경계면에서 브르스터 각으로 입사할 경우 p-편광파는 투과하고 s-편광파는 부분적으로 반사한다. 편광광속분리 정도는 p-편광파와 s-편광파의 투과율( $T_{p}$, $T_{s}$ ) 혹은 반사율( $R_{p}$, $R_{s}$ )의 비로 나타내며 이를 소광비(extinction ratio)라 한다. (중략)(중략)략)

  • PDF

Gener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Products Considering Cloud Effects Using NOAA/AVHRR Data in the TeraScan System: Case Study for May Data (TeraScan시스템에서 NOAA/AVHRR 해수면온도 산출시 구름 영향에 따른 신뢰도 부여 기법: 5월 자료 적용)

  • Yang, Sung-Soo;Yang, Chan-Su;Park, Kwa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3 no.3
    • /
    • pp.165-173
    • /
    • 2010
  • A cloud detection method is introduc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NOAA/AVHRR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ata processed during the daytime and nighttime in the TeraScan System. In daytime, the channels 2 and 4 are used to detect a cloud using the three tests, which are spatial uniformity tests of brightness temperature (infrared channel 4) and channel 2 albedo, and reflectivity threshold test for visible channel 2. Meanwhile, the nighttime cloud detection tests are performed by using the channels 3 and 4, because the channel 2 data are not available in nighttime. This process include the dual channel brightness temperature difference (ch3 - ch4) and infrared channel brightness temperature threshold tests. For a comparison of daytime and nighttime SST images, two data used here are obtained at 0:28 (UTC) and 21:00 (UTC) on May 13, 2009. 6 parameters was tes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a cloud masking in and around Korean Peninsula. In daytime, the thresholds for ch2_max cover a range 3 through 8, and ch4_delta and ch2_delta are fixed on 5 and 2, respectively. In nighttime, the threshold range of ch3_minus_ch4 is from -1 to 0, and ch4_delta and min_ch4_temp have the fixed thresholds with 3.5 and 0, respectively. It is acceptable that the resulted images represent a reliability of SST according to the change of cloud masking area by each level. In the future, the accuracy of SST will be verified, and an assimilation method for SST data should be tested for a reliability improvement considering an atmospheric characteristic of research area around Korean Peninsula.

Influence of Online Broadcasters on Conventional Offline Broadcasters and its Correspondence strategies (온라인 방송이 기존 오프라인 방송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대응 전략)

  • Lee, Sa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11a
    • /
    • pp.6-8
    • /
    • 2018
  • 인터넷과 스트리밍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방송서비스가 출연하면서 디지털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사업은 기존 오프라인 방송인 지상파 케이블 위성 IPTV 방송에 콘텐츠 제작과 수익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 보편적 대중에 전달하던 일반적인 콘텐츠 제작 및 보급이 전통적 방송의 역할이었던 반면, 디지털 온라인 방송은 특정한 분야별 그룹과 연령별 그룹에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방송하면서 개성있는 ?춤형 방송을 진행하며 레가시 미디어(legacy media)를 위협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기존의 방송국들은 더 이상 전통적 방송 제작의 특성을 고수하기 어렵게 되었고 새로운 미디어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디지털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물고 융합해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존 방송국들은 TV플랫폼만 의존하던 시청자들이 온라인 채널로 이동으로 시청률 하락과 광고 및 부가서비스 수입의 위축으로 경영의 어려움이 현실화 되고 있기 ?문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 온라인 방송환경이 기존의 오프라인 방송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존 방송국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연구하였다.

  • PDF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Baldal (Gyeong-gi-do, Paju-si) Adjacent to the DMZ (DMZ 일원 박달산(경기도 파주시)의 관속식물상)

  • Jin-Heon Song;Kyung-Ryul Byun;Jong-Won Lee;Young-Min Choi;Jaesang Chung;Hee-Young Gil;Kae Sun Ch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2-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DMZ 일원인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과 양주군 백석면에 걸쳐있는 박달산(363m) 주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파주시는 동쪽은 양주시, 서쪽은 한강을 경계로 김포시, 북부는 임진강을 경계로 북한과 접하고 있다. 남쪽은 고양시, 북쪽은 연천군에 접하고 있으며, 북위 37° 42'~38° 07', 동경 126° 41'~127° 01'에 위치한다. 박달산은 파주시 광탄면 경계에 위치하였으며, 현재 명칭은 박달나무가 많아서 박달산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예전에는 독수리가 많아서 수리봉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했다. 박달산 주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현황은 79과 211속 288종 3아종 36변종 4품종 33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양치식물은 5과 10속 11종 1변종 12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3속 5종 5분류군, 쌍자엽식물은 63과 154속 208종 3아종 22변종 3품종 236분류군, 단자엽식물 9과 44속 61종 13변종 1품종 7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희귀식물은 취약종(VU)에 속하는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 Miq.) 1분류군, 약관심종(LC)에 속하는 태백제비꽃(Viola albida Palib.),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산식물은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n Maxim.), 서울제비꽃(Viola seoulensis Nakai),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가시박(Sicyos angulatus L.),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등 2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 PDF

Improved 3D Shape Measurement Scheme for White Light Phase Shifting Interferometry (백색광 위상천이 간섭계를 위한 개선된 삼차원 형상 측정 방법)

  • Kim, Kyoung-Il;Lee, Dong-Yeol;Ko, Yun-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7 no.2
    • /
    • pp.51-60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new scheme to obtain enhanced 3D shape information rapidly for WLPSI(White Light Phase Shifting Interferometry). WLPSI is a convenient method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micro products. First we propose an effective method of limiting search interval for detecting the peak of the visibility function in order to obtain 3D shpae information rapidly. Second we propose an automatic base level decision method basad on image processing and a correction algorithm using the least square approximation method to overcome the global tilt problem of the conventional WLPSI algorithms. Third we propose an adaptive filtering method to remove the distortion known as bat-wing effect which appears near the step discontinuit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overall technique is fast and provides more enhanced 3D shape informa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LPSI algorithms.

유기 금속 화학 증착법에 의한 Si 기판 위에 GaP 층 성장시 에피의 초기 단계의 성장 매개 변수에 영향

  • Gang, Dae-Seon;Seo, Yeong-Seong;Kim, Seong-Min;Sin, Jae-Cheol;Han, Myeong-Su;Kim, H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209.1-209.1
    • /
    • 2013
  • GaP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을 얻을 수 있는 적절한 재료중의 하나로 해당영역의 파장에 대하여 높은 양자효율을 얻을 수 있고, 깊은 준위 재결합이 없기 때문에 GaP 녹색 및 As 첨가한 GaAsP 적색 LED 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온에서 2.2 eV 에 해당하는 넓은 에너지 밴드갭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음이 없는 자외선 검출기에도 적합합니다. 이 물질에 대한 소자들은 기존에 GaP 기판을 사용하였습니다. 최근, GaP 와 격자상수가 비슷한 Si 기판을 활용하여 그 위에 성장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Si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딱딱한 소재이며 대면적 기판을 쉽게 얻을 수 있어 전자 기기 및 대규모 집적 회로의 좋은 소재입니다. Si 와 대조적으로 GaP은 깨지기 쉬운 재료이며 GaP 기판은 Si와 같은 대면적 기판을 얻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한 가지 해결책은 Si 기판위에 GaP 층의 성장입니다. GaP 과 Si의 조합은 현재의 광전소자 들에 더하여 더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그러나, Si 기판위에 GaP 성장 시 삼차원적 성장 및 역위상 경계면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므로 질이 높고 균일한 결정의 GaP 를 얻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Si 에 GaP 의 성장시 초기 단계를 제어하는 성장 기술이 필요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금속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Si 기판위에 양질의 GaP를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성장조건을 얻고자 합니다. 실험 조건은 Si에 GaP의 에피택셜 성장의 초기 단계에 영향을 주는 V/III 비율, 성장압력, 기판방향 등을 가변하는 조건으로 진행하였습니다. V/III 비율은 100~6400, 성장 압력은 76~380 Torr로 진행하였고, Si 기판은 just(001)과 2~6도 기울어진 (001) 기판을 사용하였습니다.

  • PDF

A Textile Analysis of Woolen Carpet Excavated from Seongjeonggak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성정각 출토 모담(毛毯) 직물 분석)

  • Pak, Seonghee;Lee, Ryangmi;An, Boyeon;Cho, Misook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7 no.2
    • /
    • pp.120-134
    • /
    • 2021
  • A Woolen carpet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was unearthed in the process of repairing Seongjeonggak in Changdeokgung. Since relics are rarer than documentary records, the woolen carpet is highly valued as a relics. It is presumed to have been woven in the late 19th or early 20th century because there is a record of repairing Seongjeonggak in 1907. In the carpet, a pattern is made by inserting colored yarn dyed yellow and red onto a reddish-purple ground weave. The selvage of the woolen carpet used cotton thread, and jute is used for the warp and weft of the ground weave. The colored patterns is made of wool in the form of loop pile. Cut piles may appear occasionally when the colored yarn changes, but are almost invisible from the surface because they are pressed tightly with a shuttered weft. Making carpets with jute and wool is thought to be influenced by the Brussels carpets of the mid-18th century. Furthermore, the woolen carpet is torn and the pattern is completely unclear; however,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pattern is partially repeated. Microscopic and 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meter(FT-IR) analyses were performed for the above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dyes used in relics, we compared them with natural dyed fabric samples based on chromaticity measurements and Ultraviolet/Visible spectrophotometer(UV-Vis) analysis. These analyses revealed that the woolen carpet's dyed green yarn did not use indigo, and reddish-purple ground weave is estimated to have used Caesalpinia sappan.

The Differentiation of Reproductions of Educational Capitals and the Formation of the Gated City (학력자본 재생산의 차별화와 빗장도시의 형성)

  • 최은영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3
    • /
    • pp.374-390
    • /
    • 2004
  • This research analyzes the differentiation of the reproduction of the educational capital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which is determined by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reproduction of the educational capital of the region where highly educated people are segregated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 in terms of the quantity and quality. The fact that one resides in a certain special area tends to determine the future of his child, so the boundary between the social groups is being intensified through the geographic concentration of the affluence and poverty. Gangnam Gu where the different educational capital is reproduced through the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tends to become the gated city which has the invisible but strong socio-economic barriers through the sharp rise of the housing(apartment) value and the concentration of highly educated people. Through the exclusion of other classes by the high price of the housing, only the residents within the barrier have access to the good educational facilities and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