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스채널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우수한 광투과도를 갖는 ZnO 기반의 투명박막트랜지스터 제작 및 특성 분석

  • Lee, Yeong-Min;Lee, Se-Jun;Lee, Jin-Yong;Kim, Hyeong-Jun;Ryu, Han-Tae;Kim, Deu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204-2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Glass 기판 위에 우수한 광 투과도를 갖는 ZnO 기반의 Thin Film Transistor (TFT)를 제작하였으며, 이에 대한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소자 구조의 제작은 Maskless Aligner를 이용한 Optical lithograph법을 이용하였다. 채널층은 ZnO로 하였고 Source/Drain 영역은 GaZnO로 하여 전체구조가 ZnO 기반의 homogeneity를 유지하게 하였다. 이때 Gate 절연막은 Bi1.5Zn1Nb1.5O7와 SiO2 두가지 종류로 하여 각각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연구에서 TFT구조의 각 층은 모두 r. f.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으로 증착하였다. 제작된 TFT들은 채널층 및 절연막 형성 등에 관여된 세부적 실험변수의 변화에 관계없이 약 75% 이상의 우수한 광투과도 특성을 보였다. 전기적 특성 평가에서, 제작된 TFT들은 전반적으로 비교적 낮은 문턱전압과 높은 이동도를 보였다. 하지만,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전송 특성의 주요 인자들인 채널-이동도, 스위칭, 누설 및 이력 등은 ZnO 채널층 혹은 Bi1.5Zn1Nb1.5O7 절연막 형성 시 주입되는 O2 가스의 분압에 의존하는 것이 관측되었다. 이를 통하여 트랜지스터의 각 세부 영역의 구조 및 형성 조건이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관계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트렌치 구조의 소스와 드레인을 이용한 AlGaN/GaN HEMT의 DC 출력특성 전산모사

  • Jeong, Gang-Min;Lee, Yeong-Su;Kim, Su-Jin;Kim, Jae-Mu;Kim, Dong-Ho;Choe, Hong-Gu;Han, Cheol-Gu;Kim, T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45-145
    • /
    • 2008
  • 갈륨-질화물(GaN) 기반의 고속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HEMT)는 최근 마이크로파 또는 밀리미터파 등의 차세대 고주파용 전력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AlGaN/GaN HEMT는 이종접합구조(heterostructure) 로부터 발생하는 이차원 전자가스(two-dimensional electron gas, 2DEG) 채널을 이용하여 높은 전자 이동도, 높은 항복전압 및 우수한 고출력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AlGaN/GaN HEMT에서 ohmic 전극 부분과 채널이 형성되는 부분과의 거리에 의한 저항의 성분을 줄이고 전자의 터널링의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recess된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recess된 소스와 드레인에 의해 AlGaN층의 제거로 AlGaN층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며 그에 따라 채널에 생성되는 전자의 농도를 변화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소스와 드레인의 Trench 구조를 제안하였다. ohmic 전극 부분과 채널간의 거리의 감소로 특성을 향상시켜서 recess 구조의 장점이 유지된다. 그리고 recess되는 소스와 드레인 영역에서 AlGaN층을 전체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고 Trench 즉 일부분만 제거하면서 AlGaN층의 두께의 변화에 따른 문제점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극 부분을 Trench구조화 시킨 AlGaN/GaN HEMT의 DC특성을 $ATLAS^{TM}$를 이용하여 전산모사하고 최적화된 구조를 제안하였다.

  • PDF

Study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in Combustor Nozzle (연소기 노즐에서의 열전달 특성 연구)

  • NamKoung, Hyuck-Joon;Kim, Hwa-Jung;Han, Poong-Gyoo;Lee, Kyoung-Hun;Kim, Young-Soo;Jeong, Hae-Seung;Lee, Sang-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4-40
    • /
    • 2006
  • For a cooling performance research of the combustor operated in a extreme environment of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e accomplished a cooling performance analysis. Generally a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in cooling passage is known well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however heat flux in the combustion chamber isn't. In this study, fluid flow combined with heat transfer and thermal structural analysis is accomplished about a combustor nozzle. We tried to analyze the cooling performance with a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of a gas and coolant side in the view point of quantity on the mass flow rate to be supplied to the cooling channel. And finally, evaluation on the thermal and structural safety of nozzle wall material was accomplished.

  • PDF

Output Ccharacteristics of XeCl Excimer Laser Excited by Transeverse-Electron-Beam (횡방향 전자빔여기 XeCl 엑시머 레이저의 출력특성)

  • 류한용;이주희;김용평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5 no.3
    • /
    • pp.386-393
    • /
    • 1994
  • We have investigated output characteristics of XeCI excimer laser excited by transeverse electronbeam. We used e-beam output of 880 kV, 21 kA (70 ns, FWHM) and controlled current density of e-beam by pulsed magnetic coil (4.7 kG) which was fabricated around an e-beam diode (A-K gap is 21 mm) and laser chamber. We have obtained 35 J (4 atm) of e-beam deposition energy injected into laser media. The deposition energy was converted from an exposure area of Radcolor film and rising pressure of gas media which is measured by pressure jump method. The excited volume of $320cm^{3}$ was calculated. The maximum efficiency of 1.7% was obtained with the mixing ratio of HCllXe/Ar==0.2/ 6.3/93.5% and total pressure of 3 atm. Also laser output energy and specific energy were obtained 0.52 J and 1.7 J/I, respectively. For the analysis of experimental results we have developed computer simulation code. From the good agreements with the results of experiment and simulation we could theoretically explain the XeCI* formation channel. relaxation channel, and absorption channel of 308 nm.308 nm.

  • PDF

Combustion Performance Tests of Fuel-Rich Gas Generator for Liquid Rocket Engine Using an Impinging Injector (충돌형 분사기 형태의 액체로켓엔진용 가스발생기 연소성능시험)

  • 한영민;김승한;문일윤;김홍집;김종규;설우석;이수용;권순탁;이창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8 no.2
    • /
    • pp.10-17
    • /
    • 2004
  • The results of the combustion performance tests of gas generator which supplies hot gas into the turbine of turbo-pump for liquid rocket engine and uses LOx and kerosene as propellant are described. The gas generator consists of a injector head with F-O-F impinging injector, a water cooled combustion chamber, a gas torch igniter, a turbulence ring and an instrument ring. The effect of turbulence ring and combustion chamber length on performance of gas generator are investigated. The ignition and combustion at design point are stable and the pressure and gas temperature at gas generator exit meets the target. The turbulence ring installed at middle of chamber effectively mixes hot gas with cold gas and the effect of residence time of hot gas in gas generator on combustion efficiency is small. Test results show that the main parameter controlling the gas temperature at gas generator exit is overall O/F ratio.

Structure design of regenerative cooling chamber of liquid rocket thrust chamber (액체로켓 연소기 재생냉각 챔버 구조설계)

  • Ryu, Chul-Sung;Choi, Hwan-Seok;Lee, Dong-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12
    • /
    • pp.109-116
    • /
    • 2005
  • Elastic-plastic structural analysis for regenerative cooling chamber of liquid rocket thrust chamber is performed. Uniaxial tension test is also conducted for the copper alloy in order to get material data necessary for th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s of uniaxial tension test reveal that copper alloy become ductile after brazing process and flow stress becomes lower as temperature becomes higher. As a result of structural analysis using the material data, the deformation of cooling channel is more increased by thermal load than by internal pressure of cooling fluid. Therefore,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structural stability and cooling performance of combustion thrust chamber which is designed to endure mechanical load and minimized a channel thickness are improved by decreased thermal load as possible.

RF Magnetron Sputtering법으로 제작된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IGZO 박막의 특성

  • Jin, Chang-Hyeon;Kim, H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38.1-338.1
    • /
    • 2014
  •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Amorphous Oxide Smeiconcuctor)를 이용하여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층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층으로 사용되고 있는 IGZO박막은 비정질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이동도와 넓은 밴드갭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RF magnetron sputtering법으로 유리기판 위에 IGZO박막을 증착시켰으며 소결된 타겟으로는 In:Ga:ZnO를 각각 1:1:2mol%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이용하였으며, $30{\times}30mm$의 XG Glass 유리기판에 sputtering 방식으로 증착하였다. 박막 증착 조건은 초기압력 $3.0{\times}10^{-6}Torr$, 증착 압력 20mTorr, 반응가스 Ar 25sccm, 공정 변수로는 RF Power 25W, 50W, 75W, 100W 각각 변화를 주어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증착온도는 실온으로 고정 하였다. 분석 결과로 RF Power 25W 일 때 XRD 분석결과 Bragg's 법칙을 만족하는 피크가 나타나지 않는 비정질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AFM 분석결과 0.5 mm 이하의 Roughness를 가졌다. UV-Visible-NIR 측정 결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87%이상의 투과도를 나타냈으며, Hall 측정 결과 Carrier concentration $3.31{\times}10^{19}$, Mobility $10.9cm^2/V.s$, Resistivity $1.8{\times}10^{-2}$,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층으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Transonic Premixed Combustion in a Diverging Channel Using Asymptotic Analysis (점근해석을 이용한 확대형 채널 내의 천음속 예혼합 연소에 관한 연구)

  • Lee, Jang-Ch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8
    • /
    • pp.75-83
    • /
    • 2005
  • A steady transonic dilute premixed combustion in a diverging channel is investigated by using asymptotic analysis. This model explores the nonlinear interactions between the near-sonic speed of the flow, the small changes in geometry from a straight channel, and the small heat release due to the one-step first-order Arrhenius chemical reaction. The reactive flow is described by a nonhomogeneous transonic small-disturbance (TSD) equation coupled with an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for the calculation of the reactant mass fraction in the combustible gas. Also the asymptotic analysis reveals the similarity parameters that govern the reacting flow problem. The results show the complicated nonlinear interaction between the convection, reaction, and geometry effects and its effect on the flow behavior.

Manipulation of Microfluid Width in a Microchannel Using Gas Boundary (미세 채널에서 가스 경계면을 이용한 미세 유체의 폭 조절)

  • Son, Sang-Uk;Lee, Seung-Seob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8 no.8 s.227
    • /
    • pp.1190-1195
    • /
    • 2004
  • A novel manipulation of microfluid width in a microchannel was presented by controlling inflation of a gas boundary. The gas boundary was formed by heating water with a microheater in a semicircular shape from a chamber which was connected symmetrically to the microchannel. The formed gas boundary inflated perpendicularly to the flow direction and, consequently, the microfluid width was narrowed. The inflation and contraction were flexibly like a virtual wall and dependent on two factors: one is the flow velocity of the microfluid and the other is the pressure inside the gas boundary. Dimensions of the chamber and the microchannel width were determined empirically as same of $300\;{\mu}m$ for stable operation. The width of microfluid was manipulated manually with the microheater and could be maintained as up to $22\;{\mu}m$. The stable focusing began to be distorted when the flow velocity exceeded 17.8 mm/s.

대기압 멀티 플라즈마 젯 소스의 균일한 방전 특성 연구

  • Park, Hye-Jin;Jo, Tae-Hun;Yun, Myeong-Su;Gwon, Gi-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63.1-263.1
    • /
    • 2014
  • 현재 대기압 플라즈마는 신재생 에너지, 반도체, 표면처리, 바이오산업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산업에서의 플라즈마는 살균, 제독, 세포재생 등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이런 대기압 플라즈마의 응용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선행연구에 따라 멀티 플라즈마 젯 소스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플라즈마의 균일한 방전조건이 화두되어 왔다. 먼저 각 소스별 방전개시전압과 가스 유량에 따른 플라즈마의 전류와 전압 변화를 알아보았고, 이에 대한 문제점들을 보안하기 위해 앞서 연구한 멀티소스를 개선하여 플라즈마 방전 특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유입방식이 다른 두 종류의 멀티 플라즈마 젯 소스를 이용하여 각 소스 채널별 유량변화에 따른 방전개시전압과 전류, OES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로 각 소스의 플라즈마 방전 특성을 측정하여 각 소스의 채널별 방전 균일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