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스채널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Geophysical studies of gas hydrate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동해 울릉분지 가스하이드레이트 지구물리탐사연구)

  • Yoo, Dong-G.;Kim, Gil-Y.;Park, Keun-P.;Lee, Ho-Y.;Ryu, Byong-J.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672-675
    • /
    • 2009
  • 동해 울릉분지에서 취득된 다중채널 탄성파자료 해석에 의하면 이 지역에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가능성을 지시하는 해저모방반사면, 탄성파침니/칼럼, 음향공백대, 증폭반사면, 가스분출 구조 등을 포함하는 5가지 탄성파 지시자가 존재한다. 가장 대표적인 지시자인 해저모방반사면은 연구지역의 남쪽사면의 경우 연속성이 양호하고 강한 진폭을 갖는 반면, 북쪽 중앙분지에서는 상대적으로 진폭이 약하고 연속성이 불량하다. 반사도 감소 및 속도 풀업 특징을 갖는 탄성파 침니/칼럼구조는 중앙분지와 북동쪽해역에 주로 분포하며 가스하이드레이트 혹은 가스유체의 부존가능성을 시사해준다. 반사강도가 약화되어 나타나는 음향공백대는 저탁류/원양성 퇴적물이 분포하는 중앙분지에 부분적으로 발달하며, 칼럼과 연계된 음향공백대는 북동쪽 사면저부에 주로 분포한다. 해저모방반사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폭반사면은 연구지역의 서쪽 사면에 분포하며 강한 음의 진폭특성으로 보아 자유가스를 함유한 층으로 해석된다. 가스분출구조는 주로 쇄설성 퇴적물이 우세한 조사지역의 남쪽 대륙사면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돔구조 혹은 폭마크 등을 수반한다.

  • PDF

A Study on the Unified Molding of a Portable Cosmetic Chest Using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가스사출성형을 이용한 휴대용 화장품 보관함의 일체화 성형 연구)

  • Lee, Ho-Sang;Ryu, Yeon-Sun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1.11a
    • /
    • pp.772-777
    • /
    • 2001
  • The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process is often perceived to be unpredictable, because of the extreme sensitivity of the gas. Since a slight change in design or process parameters can significantly change the resulting gas penetration, few designers and molders have the level of experience with the new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proces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part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unified molding for a thick cosmetic chest by using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CA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sign the part and the gas channel without inducing sink marks. And based on the part weight measurement, the processing parameters to control gas penetration percentage were chosen through the method of design of experiments. A thick cosmetic chest was successfully produced using the gas assist technology. The sink mark issue associated with the conventional injection molded parts was resolved. Weight savings and cycle-time reduction were also achieved.

  • PDF

Combustion Performance Tests of Fuel-Rich Gas Generator for Liquid Rocket Engine at Design Point (액체로켓엔진용 가스발생기의 연소성능시험)

  • Han, Yeoung-Min;Kim, Seung-Han;Moon, Il-Yoon;Kim, Hong-Jip;Kim, Jong-Gyu;Seol, Woo-Seok;Lee, Soo-Yong;Kwon, Sun-Tak;Lee, Chang-Jin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2a
    • /
    • pp.125-13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액체로켓엔진에서 터보펌프의 160kW급 터빈을 구동하고, 액체산소와 케로신을 추진제로 사용하는 가스발생기의 설계점 연소성능시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충돌형 F-O-F 인젝터, 물냉각 채널을 가진 연소실, torch ignitor, turbulence ring 그리고 측정 링을 갖는 가스발생기에 대해 기술하였고, 점화, 연소, 종료 등의 시험 cyclogram에 대해 언급하였다. 설계점에서의 연소시험 및 turbulence ring 장착여부, 연소실 길이 변화에 따른 연소시험의 결과들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소시험 결과 가스발생기는 설계점에서 안정된 작동성을 보여주었고, 연소압력 및 온도 등의 성능이 예측치에 근접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Turbulence ring은 출구에서의 가스온도를 균일하게 분포시켜 효과적인 혼합 장치임을 보여 주었고, 4-6msec 정도에서의 잔류시간에서는 연소효율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가스발생기 출구에서의 온도는 공급되는 추진제의 O/F ratio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Direct Etching of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for Microchannel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의 마이크로 채널 형성을 위한 레이저의 직접식각)

  • Shin, Sung-Kwon;Choi, Yong-Jin;Lee, Ch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286-28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유체소자 재료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는 polymethyl methacrylate (PMMA)의 레이저 직접식각에 관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식각을 위한 레이저 원으로 기본파가 1064 nm, 반복율이 10 Hz인 Nd:YAG 레이저의 4고조파 성분 ($\lambda$=266 nm)을 사용하였다. X-Y-Z 축으로 이동 가능한 스테이지의 수평 이동속도를 변화시키며, 표면으로 조사되는 펄스 수를 제어하였다. 식각 후 광학현미경으로 식각 단면을 조사하여 식각 깊이와 폭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식각 깊이로부터 식각률을 계산하고, 그 값과 레이저 빔 밀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료 표면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 밀도의 로그값과 선형적인 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채널 형상 및 채널 내벽을 관찰하였다. 마이크로 채널 내벽에 식각 과정에서 발생한 생성물의 제거를 위해, 레이저 식각과 함께 질소가스 블로잉을 해주었다. 질소 블로잉 압력 1500 torr에서 식각 잔유물이 제거된 내벽을 볼 수 있었다. 실험결과, Nd:YAG 4고조파를 이용하여 PMMA 기판상에 유체 이동을 위한 마이크로 채널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 PD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tudy of Channel Geometric Effect for Fischer-Tropsch Microchannel Reactor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Fischer-Tropsch 마이크로채널 반응기의 채널 구조 영향 분석)

  • Na, Jonggeol;Jung, Ikhwan;Kshetrimayum, Krishnadash S.;Park, Seongho;Park, Chansaem;Han, Chongh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2 no.6
    • /
    • pp.826-833
    • /
    • 2014
  • Driven by both environmental and economic reasons, the development of small to medium scale GTL(gas-to-liquid) process for offshore applications and for utilizing other stranded or associated gas has recently been studied increasingly. Microchannel GTL reactors have been prefrered over the conventional GTL reactors for such applications, due to its compactness, and additional advantages of small heat and mass transfer distance desired for high heat transfer performance and reactor conversion. In this work, multi-microchannel reactor was simulated by using commercial CFD code, ANSYS FLUENT, to study the geometric effect of the microchannels on the heat transfer phenomena. A heat generation curve was first calculated by modeling a Fischer-Tropsch reaction in a single-microchannel reactor model using Matlab-ASPEN integration platform. The calculated heat generation curve was implemented to the CFD model. Four design variables based on the microchannel geometry namely coolant channel width, coolant channel height, coolant channel to process channel distance, and coolant channel to coolant channel distance, were selected for calculating three dependent variables namely, heat flux, maximum temperature of coolant channel, and maximum temperature of process channel. The simulation results were visualiz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design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Heat flux and maximum temperature of cooling channel and process channel were found to be increasing when coolant channel width and height were decreased. Coolant channel to process channel distance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the heat transfer phenomena. Finally, total heat flux was found to be increasing and maximum coolant channel temperature to be decreasing when coolant channel to coolant channel distance was decreased. Using the qualitative trend revealed from the present study, an appropriate process channel and coolant channel geometry along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channels can be recommended for a microchannel reactor that meet a desired reactor performance on heat transfer phenomena and hence reactor conversion of a Fischer-Tropsch microchannel reactor.

Turbulent Heat Transfer and Friction in Four-Wall Convergent/Divergent Square Channels with One Ribbed Wall (한면에 리브가 설치된 4벽면 수축/확대 채널의 난류 열전달과 유체마찰)

  • Ahn, Soo Whan;Lee, Myung S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9 no.10
    • /
    • pp.773-778
    • /
    • 2015
  • The local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of developed turbulent flows in convergent/divergent channels with square axial cross-sectional area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o improve the channel design, such as a gas turbine cooling system. Square convergent/divergent channels with one ribbed wall were manufactured with a fixed rib height e of 10 mm and a ratio of rib spacing p to height e of 10.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for Reynolds numbers from 15,000 to 89,000. Convergent, divergent, and straight channels with ratios $D_{ho}/D_{hi}$ of 0.75, 1.33, and 1.0, respectively, are considered. Of the three channel types, the ribbed divergent channel was found to produce the best thermal performance under identical flow rate, pumping power, and pressure loss conditions.

1D Self-Consistent Schrodinger Poisson Solver for Quantum Well Heterostructure

  • Cha, Su-Hye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7.03a
    • /
    • pp.453-456
    • /
    • 2017
  • 이 논문에서는 HEMT 소자에서 사용되는 3-5족 물질의 1차원 구조에 대하여 self-consistent Schrodinger Poisson solver를 수치해석적으로 구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갈륨과 인듐의 비율이 줄고 알루미늄의 조성비가 증가하는 상황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알루미늄의 조성비가 더 큰 것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이차원 전자가스 채널에 더 많은 전자를 모이게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정책논단-한-산유국 협력사업의 성과와 의미

  • Lee, Hak-No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11 s.257
    • /
    • pp.38-41
    • /
    • 2006
  • 한.산유국 국제협력사업이 2006년에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정부는 에너지가 우리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과 원유.가스 등 주요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기반 구축, 에너지연관 산업의 해외진출 활성화의 중요성을 감안, 주요 산유국과의 긴밀한 협력채널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아래‘한-산유국 국제협력사업’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2006년도 동 사업의 성과와 의미를 알아보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 PDF

Numerical Analysis on Cooling Characteristics of Oxidizer-Rich Preburner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 냉각 성능 수치 해석)

  • Lee, Seon-Mi;Ha, Seong-Up;Lee, Soo 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7 no.3
    • /
    • pp.67-75
    • /
    • 2013
  • The numerical analysis for the verification of preburner's cooling characteristics applying to kerosene-LOx rocket engine has been fulfilled. The distribution of combustion gas properties in primary combustion zone was calculated by the mixture ratio based on head injector arrangement, the properties of oxygen flowing in wall channels as coolant were applied under real-gas conditions, and multi-phase mixing model was employed to calculate the mixing process of primary combustion zone with liquid oxygen which was used for wall cooling.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hence thermo-physical properties in cooling channels and a combustor could be quantitatively identified.

가스장 이온원 시스템에서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의 잡음 제거 방법

  • Han, Cheol-Su;Park, In-Yong;Jo, Bok-Rae;Park, Chang-Jun;An, Sa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22.2-422.2
    • /
    • 2014
  • 가스장 이온원(GFIS: Gas Field Ionization Source)은 전자현미경보다 분해능이 향상된 이온현미경의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연구되고 있고, 큰 각전류 밀도, 작은 크기의 가상 이온원 그리고 좁은 에너지 퍼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 GFIS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GFIS에서 발생된 이온빔의 형상을 관찰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관찰을 위한 시스템에는 주로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 (MCP: Micro Channel Plate)가 사용된다. MCP는 채널내부에 입사한 입자의 에너지에 의해서 생성된 이차전자를 수 천 배에서 수 백 만 배 이상 증폭시켜 형광판에 조사하고 발광시키는 방법으로 작은 신호를 영상으로 관찰 할 수 있도록 한다. MCP의 큰 증폭비는 작은 크기의 신호를 큰 신호로 증폭하여 관찰하는데 용이하여, GFIS 방법으로 생성된 이온빔(이온빔 전류 값은 pA 수준)을 관찰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MCP를 이용하여도 증폭된 이온빔의 세기가 매우 작기때문에 생성된 이온빔 형상을 정확하게 관찰하기 위해서는 MCP의 형광판을 촬영하는 카메라 노출시간을 길게하여 데이터 수집 시간을 늘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온빔 형상 관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MCP의 잡음이 GFIS의 이온빔 이미지 관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제거 방법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는 GFIS 방출 이온빔의 이미지에 포함된 MCP 잡음 특성을 장(전계)이온현미경 (Field Ion Microscope)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디지털 이미지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방출 이온빔 이미지에서 MCP 잡음을 제거하여 방출 이온빔 이미지만 추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GFIS 방출 이온빔 관찰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방법에 비해 노출시간을 단축하여 방출 이온빔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노이즈 제거 효과로 향상된 이온빔 형상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의 관찰시간 단축과 향상된 이온빔 형상 획득은 이온현미경 개발에 필수적인 단원자 이온빔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으며 디지털 이미지 처리로 GFIS 이온빔 생성을 자동화하는데 응용할 수 있다. 더불어 기존방법에 비해 이미지 획득을 위한 MCP의 노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실험장비 수명 단축 방지 및 관리에 큰 장점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