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수

검색결과 2,875건 처리시간 0.026초

심층생성모델 기반 가수 스타일 전이형 작사 모델 구현 (Engineering a deep-generative model for lyric writing based upon a style transfer of song writers)

  • 홍혜진;김소현;이지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41-744
    • /
    • 2021
  • 본 논문은 사전 학습된 심층생성모델을 기반으로 가수 별 가사의 특성을 반영하여 새로운 가사를 생성하는 모델을 소개한다. 베이스 모델로 한국어 사전 학습 모델 KoGPT-2 를 사용하였으며, 총 가수 10 명의 노래 823 곡을 수집하여 미세조정 기법을 바탕으로 학습하였다. 특히, 가수 별로 구분한 가사를 학습 데이터로 구축하여, 가수 별로 독특하게 나타나는 가사 스타일이 전이되도록 하였다. 가수의 이름과 시작 단어를 입력으로 주고 작사를 수행한 실험 결과, (i) 가수 별로 생성되는 가사의 어휘와 스타일이 그 가수의 기존 곡들의 가사와 유사함을 확인하였고, (ii) 작사 결과 가수 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추후 설문을 통해, 개별 가수들의 가사와 생성된 가사의 어휘와 스타일 유사성을 확인하고, 가수 별 차이 또한 확인하고자 한다.

이용자 추천정보를 기반으로 한 가수 이미지 분석 (Analysis of Singer's Image Using User Recommended Song Data)

  • 최상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년도 제2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0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음원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공개앨범에서 추천한 음원 리스트에 특성가수와 동시출현한 곡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특성가수의 이미지를 네트워크 기법으로 표현하였고 동시출현한 곡의 통계분석을 통하여 해당 가수를 선택한 이용자가 선호할 만한 연관 곡을 추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추천되는 음원리스트에 동시 출현되는 가수들의 장르적 특성으로 특정가수의 이미지가 표현되었고 시기별로 가수의 이미지가 변화되는 것이 추적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이용자에게 변화하는 가수의 이미지에 따라 연관 정보를 유연하게 추천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게의 열수추출 부산물을 이용한 가수분해물의 제조 (Preparation of the Hydrolyzate Using Crab Byproduct after Water Extraction)

  • 김영명;이영철;구재근;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7-86
    • /
    • 1990
  • 5N HCl과 5N NaOH로 부산물의 일종인 꽃게의 열수수출 잔사를 12시간 가수분해하여 각각 산 가수분해물과 알칼리 가수분해물을 제조한 후 산가 수분해물의 경우 $Na_2CO_3$, NaOH 및 5N NaOH로 분해한 알칼리가수분해물등의 3가지 중화처리구, 알칼리가수분해물인 경우 HCl과 5N NCl로 분해한산가수분해물의 2가지 중화처리구 총 5가지 중화 처리구로 중화하여 시험하였다. 산 가수분해물은 알칼리 가수분해물에 의한 중화처리가, 알칼리 가수분해물은 산 가수분해물에 의한 중화처리가 total nitrogen과 formol nitrogen함량을 서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 함량을 줄일 수 있었으며, 가수분해물의 맛을 상승시킬 수 있었다. 5N HCl로 가수분해하여 $Na_2CO_3$, NaOH 및 5N NaOH로 분해한 가수분해물로 중화한 가수분해물의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2,274mg\%,\;2,105.0mg\%$$2,683.5mg\%$였으며, 5N NaOH로 가수분해하여 5N HCl과 5N HCl로 분해한 가수분해물로 중화한 가수분해물의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352.5mg\%$$2,498.8mg\%$였다. 가수분해물의 탈색 및 탈취시험은 분말활성탄외 4종의 탈색제로 탈색시험을 한 결과, 분말활성탄의 탈색율이 우수하였으며, 활성탄의 농도가 높을수록 total nitrogen과 formol nitrogen 함량이 감소하였다. 탈색과 탈취의 목적으로 활성탄 사용시 적정농도는 $1\~2\%$였다. 탈염시험은 중화처리한 가수분해물을 고농도로 농축시켜 석출하는 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39^{\circ}$ Brix이상으로 농축하면 염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한우에서 추출한 Myosin B의 Pepsin 가수분해물의 Ultrafilteration에 의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 활성 분석

  • 김영주;최담미;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168-171
    • /
    • 2005
  • 한우의 Myosin B 단백질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pepsin으로 처리한 다음 단백질의 함량과 혈압상승 펩티드 생성효소인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AC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등심이 우둔에 비해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으며, 가수분해 처리 후 우둔과 다르게 등심은 3시간 가수분해 처리구에서 단백질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활성은 등심에서는 3시간, 우둔에서는 6시간동안 가수분해시켰을 때 ACE 저해율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 6시간동안 가수분해시켰을 경우 부위 별로 유의적인 차가 있었으나(p<0.05), 0, 1시간동안 가수분해 시켰을 때는 부위간의 유의적인 차는 없었다(p>0.05). ACE 저해율이 가장 좋은 가수분해 처리구를 ultrafiltration시킨 결과, 저분자 peptide 상태의 가수분해물이 고분자에 비하여 ACE 저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ACE 억제활성도가 높은 단백질을 분리하여 가장 우수한 분획을 찾아 아미노산 염기서열을 밝혀 고혈압 억제제로 합성 개발하는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 PDF

맥아의 핵산분해효소 (Nucleic Acid Degrading Enzymes of Barley Malt)

  • 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1989
  • 네 지역에서 2년 동안 재배된 10종의 맥주맥을 제맥하여 맥아중의 핵산분해에 관련된 6종류의 효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효소는 데옥시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포드포디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 3'-뉴클레오티드 가수분해효소, 5'-뉴클레오리드 가수분해효소와 포스포모노 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 이었다. 5일 동안 발아시킨 맥아속의 효소는 맥주맥의 품종이나 재배지역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고. 현재 장려품종으로 재배되고 있는 몇몇 품종은 이러한 효소들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었다. 80시료의 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데옥시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3‘-뉴클fp오리드 가수분해효소와 5'-뉴클레오리드 가수분해효소의 평균 함량은 각각 11.2, 5.7, 5.6과 1.2 units이었다. 6조 맥의 맥아는 2조 맥의 맥아보다 데옥시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포스포디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와 3'-뉴클레오리드 가수분해효소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2조 맥의 맥아는 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합량에서 6조 맥의 맥아보다 더 높았다.

  • PDF

Pepsin으로 수식된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의 특성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epsin-modified Myofibrillar protein from Sardine, Sardinops melanostica)

  • 김병묵;김병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0-116
    • /
    • 1994
  • 효소적수식에 따른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의 특성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1/100량의 pepsin으로 $37^{\circ}C$. pH 1.65에서 각각 1, 4, 8, 12, 24시간 부분가수분해시킨 후 단백질의 물리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은 pepsin에 의하여 가수분해 1시간까지는 직선적으로 가수분해율이 증가되어 약 30%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고 가수분해 4시간에는 약 40%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에는 더 이상 가수분해되지 않아 가수분해 24시간에도 가수분해율은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전기영동상은 분자량 40,000정도의 굵은 band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비교적 분자량이 큰 것으로 보이는 상층부의 몇몇 엷은 band와 분자량이 작은 하층부의 band가 가수분해가 진행되면서 소실되었다. 중간부위에 위치하는 몇몇 엷은 band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로 뭉쳐지는 듯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Gel여과 pattern은 두개의 큰 peak와 세개의 작은 peak를 나타내 주고 있는데 가수분해 1시간에 작은 peak는 모두 사라지고 앞쪽의 큰 peak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뒷쪽의 큰 peak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약간씩 뒤로 밀려가는 경항을 나타내었다. 유화활성과 유화용량은 pepsin 가수분해에 의하여 모두 감소되었으며 특히 유화용량은 가수분해 시간이 경과되면서 현저히 감소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59%로 저하되었다. 유화활성은 가수분해기간중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가수분해 24시간에도 약 94%의 유화활성이 유지되었다. 기포력은 크게 증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대조구의 1.9배나 증가되었다. 거품안 정성은 반대로 감소되어 가수분해 8시간에는 약 0.6배로 감소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다시 증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0.8배로 감소율이 둔화되었다. 열응고성은 pepsin수식에 의하여 0.55 내지 0.69배로 감소되었으며 점도는 가수분해시간이 길어지면서 점차 증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1.36배 증대되었다. 흡수율은 현저히 떨어져 가수분해 1시간에 약 0.32배로 감소되었고 용해도는 현저히 커져 가수분해 1시간에 약 1.46배로 증대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흡수율이나 용해도 모두 더 이상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용해도의 pH의존성은, pH 5와 9부근에서 다소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며 pepsin수식에 의하여 이러한 경향은 가수분해 초기인 1시간에는 더욱 뚜렸이 나타났다가 가수분해 후기인 24시간에는 크게 둔화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한우 등심과 우둔에서 추출한 Myosin B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의 단백질 변화와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효과 (Evaluation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and Protein Changes of Enzymatic Hydrolysate Extracted from Hanwoo Loin and Round Myosin B)

  • 김영주;진구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29-136
    • /
    • 2007
  • 본 실험은 한우 육단백질의 가수분해물로부터 항고혈압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으로서 한우 등심과 우둔으로부터 추출한 myosin B를 pepsin으로 가수분해하여 가수분해물들의 전기영동 결과, 가열처리와 가수분해 시간의 증가에 따라 단백질의 소실이 증가하였다. 항 고혈압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 ug/ml의 희석된 가수분해물의 ACE 억제효과는 1시간 이상 가수분해 시키면 약 40%의 억제율을 가졌다. 가수분해물 원액으로 ACE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등심이 우둔보다 높았으며 (p<0.05), 비가열 가수분해물이 가열한 가수분해물 보다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p<0.05). 또한, 가수분해 시간별 처리구에서는 1시간 이상 가수분해 시키면 약 70% 이상의 억제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한우의 myosin B를 1시간 이상 가수분해하면 ACE 억제율이 증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말쥐치 단백의 효소 가수분해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File-fish)

  • 서형주;정수현;손종연;이효구;배송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78-683
    • /
    • 1996
  • Pronase 등 8개의 단백분해효소를 사용하여 말쥐치를 가수분해시 생성되는 펩타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 bromelain과 neutr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의 펩타이드 생성량은 4시간 가수분해시 6.13 mg/ml와 6.01 mg/ml로 높은 생성량을 보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생성량은 4시간 가수분해시 alcal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이 4.20 mg/ml로 높은 유리 아미노산의 생성량을 보였다. 가수분해도를 측정한 결과, 4시간 가수분해시 esp/sav와 alcalase의 가수분해물은 88.9%와 86.2%의 비교적 높은 가수분해도를 보였다. 또한 핵산관련 물질은 5'-GMP가 다른 핵산 관련물질에 비해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가수분해물의 펩타이드의 평균길이는 $8.5{\sim}14.5$로 bromelain에 의한 가수분해물이 가장 짧은 펩타이드 길이를 가진 반면, neutr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은 14.5로 가장 긴 펩타이드로 구성되었다.

  • PDF

장내 가수분해조건에 의한 Casein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

  • 황유진;양희진;도정룡;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290-293
    • /
    • 2005
  • 장내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에 의한 casein 분해산물들의 ACE 저해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공위액, 인공장액 및 인공위액과 장액 연속처리를 각각 반응조건으로 일정시간 casein을 가수분해한 후 각 효소 가수분해물이 혈압상승 peptide 생성효소인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각 소화액에 따른 가수분해물은 모두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시간 효소처리를 하였을 때, 인공위액, 인공장액, 인공위액과 장액 가수분해물은 각각 69%, 80% 및 88%로 최대 ACE 저해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casein의 가수분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SDS-PAGE에서는 인공위액으로 처리한 군보다 인공장액으로 처리한 군이 더 작은 분자량으로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인공위액과 장액을 함께 처리한 군에서는 1시간 안에 대부분의 분해가 이루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산양유 ${\beta}$-Casein의 효소 가수분해 특성과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mzyme 저해효과

  • 박용국;김거유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304-306
    • /
    • 2004
  • 본 연구는 산양유 ${\beta}$-casein의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특성과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양유 ${\beta}$-casein은 Mono S HR 5/5 양이온 교환 컬럼에서 분리하여 SDS-PAGE로 순수하게 분리된 것을 확인하였다. 2. 분리된 ${\beta}$-casein을 Trypsin으로 처리하여 가수분해물의 ACE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가수분해 하지 않은 ${\beta}$-casein은 1.8%의 저해활성을 나타낸 반면, 가수분해한 ${\beta}$-casein은 25.3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ACE 저해활성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3. 가수분해물의 $IC_{50}$을 측정한 결과 $308.7{\mu}{\ell}/m{\ell}$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