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속 모형

Search Result 27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pplication Analysis of GPU-Accelerated Kinematic Wave Model Using CUDA Fortran (CUDA FORTEAN을 이용한 GPU 가속 운동파모형 적용성 분석)

  • Kim, Boram;Kim, Hyung-Jun;Kim, Sooyoung;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46-34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가속 분포형모형을 실제 유역에 적용하여 강우 유출모의 결과의 정확성과 모의시간의 효율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포형모형의 지배방정식은 운동파모형과 Green-Ampt모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동파모형은 유한체적법을 이용하여 이산화 하였다. GPU 가속 모형은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포트란(Fortran)을 사용하여 개발된 모형으로 수치모의시 연산시간 단축을 고려한 모형이다. 모형의 정확성과 효율성은 미호천 유역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현상에 GPU 가속 운동파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치모의 결과값은 대상유역에 속한 수위관측소의 관측값과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증하였고, 수치모의 소요시간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기반 운동파모형의 수치모의 소요시간과 비교하여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GPU 가속 운동파모형의 수치모의 결과는 관측값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수치모의 소요시간은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를 기준으로 최대 100배 정도 단축되었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GPU-accelerated kinematic wave rainfall-runoff model (GPU 가속 운동파 강우유출모형의 적용 연구)

  • Kim, Boram;Yun, Gwan Seon;Kim, Hyeong-Jun;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23-323
    • /
    • 2020
  •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는 그래픽 처리 작업에 특화된 다수의 산술논리 장치(Arithmetic Logic Unit: ALU)로 구성되어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보다 한 번에 더 많은 연산 수행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GPU 가속 운동파모형을 실제 유역에 적용하여, GPU 가속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결과에 대한 정확성과 연산 소요 시간에 대한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GPU 가속 운동파모형은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수치모의 연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CUDA 포트란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분포형모형의 지배방정식은 운동파모형과 Green-Ampt모형으로 구성되었고, 운동파모형은 유한체적법을 이용하여 이산화 하였다. GPU 가속 운동파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의 미호천 유역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현상을 모의 하였고, 동일한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기반의 강우유출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GPU 가속모형의 결과는 미호천 유역 하류단에서 관측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연산소요시간은 CPU 기반의 강우유출모형의 연산소요시간보다 단축되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를 기준으로 최대 100배 정도 단축되었다.

  • PDF

The Application of the Running of a Dummy Linac and Accessories (실습을 위한 모형 선형가속기 및 부속기구 제작 활용)

  • Na, Soo-Kyung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20 no.2
    • /
    • pp.123-130
    • /
    • 2008
  • Purpose: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most universities should be equipped with medical appliances in need. As compensatory measures, Gimcheon College has produced in-house dummy linac and dummy accessories, we are going to report efficiency and its usage. Materials and Methods: Dummy linear accelerator (DLINAC-001) has the same mechanical functions as rotation of gantry and collimation in linear accelerator. In addition, to maximize practical education, we have produced and utilized in-house custom blocks, wedge filters, electron cones and head rests. Results: The in-house produced linear accelerator with the same mechanical functions as the linear accelerator, DLINAC-001 can be effectively used in practicing diverse medical instruments. Conclusion: We have produced dummy linear accelerators and dummy accessories and utilized them in practice classes, which can provide the students with clinical training in diverse fields. Consequently, the students exposed to the maximized educational effectiveness can be easily equipped with the practical competence required in real clinical fields.

  • PDF

Development of GPU-accelerated kinematic wave model using CUDA fortran (CUDA fortran을 이용한 GPU 가속 운동파모형 개발)

  • Kim, Boram;Park, Seonryang;Kim, Dae-H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11
    • /
    • pp.887-894
    • /
    • 2019
  • We proposed a GPU (Grapic Processing Unit) accelerated kinematic wave model for rainfall runoff simulation and tested the accuracy and speed up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The governing equations are the kinematic wave equation for surface flow and the Green-Ampt model for infiltration. The kinematic wave equations were discretized using a finite volume method and CUDA fortran was used to implement the rainfall runoff model. Several numerical tests were conducted. The computed results of the GPU accelerated kinematic wave model were compared with several measured and other numerical results and reasonable agreements were observed from the comparisons. The speed up performance of the GPU accelerated model increased as the number of grids increased, achieving a maximum speed up of approximately 450 times compared to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version, at least for the tested computing resources.

진공청소기 모터의 가속시험법 개발

  • 최완수;박상준;박상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11-218
    • /
    • 2000
  • 진공청소기 제품의 시장불량을 조사한 결과 모터의 불량이 전체 불량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조금씩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진공청소기 모터의 출하 전, 불량품 검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속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가속시험을 통해 사업부의 신뢰성시험 납기 단축 및 시험비용 절감 뿐아니라 모터에 대한 가속시험 기술력 확보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가속수명시험 시 스트레스인자는 모터의 브러쉬 마모 가속을 위해 정격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였다. 가속모형으로는 전압스트레스를 인가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역자승(Inverse Power) 모형을 사용하였다. 가속시험 결과 정격의 120% 전압에서 가속계수 4.3이 얻어졌다. 이는 수출 모델의 경우 현재의 시험시간 42일을 10 일로 단축하여 76%의 시험시간이 절감되어 시험 가능 횟수가 4배로 증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On/Off 시간 변환 시험을 실시하였으나 현시험법과의 고장 모드 (브러쉬 마모로 인한 회전정지) 및 고장유형이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On/Off 시간변환을 통한 가혹시험의 경우 주의를 필요로 함을 나타낸다.

  • PDF

Accelerated Lifetime Data Analysis Using Quantile Regression (분위수 회귀를 이용한 가속수명시험 자료 분석)

  • Roh, Chee-Youn;Kim, Hee-Jeong;Na, Myung-Hwa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4
    • /
    • pp.631-638
    • /
    • 2008
  • Accelerated Lifetime Test is a method of estimation of lifetime quality characteristics under operation condition with the accelerated lifetime data obtained under accelerated stress. In this paper we propose estimation method with accelerated lifetime data using quantile regression. We apply the method to real data with Arrhenius and Inverse power model.

휴대용 CST Deck부의 가속시험을 활용한 출하 수명 보증 시험법 개발

  • 허양현;고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29-233
    • /
    • 2000
  • 본 Study는 휴대용 CST Deck부의 신뢰성 개선/보증활동 중에서 출하수명 보증을 위해 개발한 가속시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CST의 사용 환경과 Deck부의 고장 특성을 고려하여 진동 Stress를 가속 인자로 검토하였고, 예비 시험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3 수준에서 실시한 수명 Data를 역거듭 제곱 모형을 적용하여 사용자 수준에서의 신뢰성 정보를 추정하였고, 이를 시장 Data와 비교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3 수준 중에서 가장 Stress가 높은 수준에서의 시험을 출하 수명 보증 시험으로 선정하였고, 이 때 가속 효과는 약 55배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Development of Fatigue Model for Asphalt Black Base by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포장가속시험을 이용한 아스팔트 안정처리층의 피로모형 개발)

  • Yeo, In-Soo;Suh, Young-Chan;Mun, Su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9 no.4
    • /
    • pp.11-20
    • /
    • 2007
  • This thesis develops a fatigue model for the asphalt black base using the APT(Accelerated Pavement Testing) and analyzes the correlation of the APT analysis result with results of previous laboratory tests. For the APT testing, aggregate of the maximum grain size of 25mm(BB-3) was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asphalt black base. The result of the APT revealed that the variable of the fatigue model, i.e. the maximum tensile stress on the bottom part of the pavement, increased as the number of loading increased while the modulus of elasticity for the pavement layer decreased gradually. The tensile strain was obtained from a strain gauge, and it was used to derive the values of $k_1=1.29{\times}10^{-6}$ and $k_2=3.02$ from the basic equation of the asphalt fatigue model, $N_f=k_1(\frac{1}{\epsilon})^{k_2}$. The fatigue life predicted from the asphalt fatigue model was greater than that obtained from laboratory experiments, given the same tensile strain. Additionally, a theory to estimate the remaining life of the pavement was developed using FWD, a non-destructive experiment.

  • PDF

Speed Prediction Models for Freeway Merging Area (고속도로 연결로 접속부에서의 속도 추정 모형)

  • 신치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3 no.3
    • /
    • pp.99-120
    • /
    • 1995
  • 가속차선이 교통류의 운영상태와 안전에 기여하는 바는 벌써부터 인식되어 왔으나 이 변속차선이 유입형 연결로 접속부 전체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거나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현장 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험적 연구는 진행되어 오지 못하엿다. 현재 널리 참고되고 있는 1985년 USHCM의 접속부 운영상태 분석 방법론은 단지 차선 1의 교통량을 예측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데 가속 차선의 길고 짧음에 따라 접속부 바로 전 차선 1의 교통량 분포가 크게 변화한다는 사실(많은 현장 관측을 통해 확인)은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접속부 운영 상태가 같은 교통량 조건하에서도 크게 차이가 나나다는 것을 뜻하며 가속차선의 존재를 무시한채 운영과 관련한 MOE를 도출하는 것이 서비스수준 산정 방법으로 충분한 것인가 하는 의문을 자연히 낳게 한다. 본 논문은 가속차선이 고속도로 연결로 접속부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다루고 있다. 가속차선의 독립적인 역할과 영향을 체계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미국내 여러 지역에서 8개의 고속도로 연결로접속부를 선택하고 각 지점에 접속부의 상하류 지역을 포함하는 2,000ft 구간내에 다섯대의 카메라를 설치, 지점별로 약 3시간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93개 자료수의 분석을 통해서 다중 회귀 모형을 구성하는 독립변수로 가속차선의 길이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지었으며, 접속부 운영의 질, 특히 속도를 추정하기 위한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관점과 방법론은 1994USHCM 고속도로 연결로 분석 방법론 설정에 일부분 반영되고 잇으며 특히 교통운영과 흐름의 방식에서 유사한 엇갈림 구간의 분석 방법과 일관성 있는 분석 체계 마련을 위해서 서비스수준 산정 절차 정립에 엇갈림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