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설시스템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41초

장력측정에 의한 가설 송전선의 시스템 자동화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he Stringing Transmission Wire by the Measured Tension)

  • 홍정표;홍순일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31-37
    • /
    • 2008
  • 현재, 송전선등 전력케이블의 가설작업은 딥 측정으로 크레인에 의해 수작업에 의해 행해지고 있지만 안전과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가설작업의 자동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대하여 본 논문의 목적은 송전선 케이블의 가설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이다. 본 논문은 현수형 송전 케이블과 장력발생 교류 서보전동기의 모델을 나타내고 송전케이블의 딥을 일정히 유지하기 위한 장력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었다. 현수형 송전선 특성에 기초하여 로드셀을 이용한 장력측정에 의해 송전선 가설 시스템의 구성법이 제안되었다. 가설시스템은 장력 발생장치에 교류서보 전동기를 이용하고 케이블의 장력계측 장치는 하중변환기(load cell)를 사용한다.

영향요소 분석에 의한 고층건축공사의 가설계획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emporary Facility Planning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 장명훈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164-173
    • /
    • 2002
  • 도심지 고층건축공사는 인접 건물과 도로에 의해 둘러 쌓여 있어 여유공간이 부족하고, 소음과 분진 등에 의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철저한 공사계획을 통해 여유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공사 지원시설을 적절히 사용하는 가설계획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층건축공사의 가설계획의 영향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가설계획의 대안 평가와 선정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가설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을 체계화하고 대안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현장 관리자가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대안 평가 및 선정 방법과 구현된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터널의 유지보수공사 개선을 위한 가설 스페이스 트러스 프레임의 사용성 및 안정성 평가 (Structural and Functional Measurements of a Space Truss Frame for Maintenance Works in Tunnels)

  • 이동규;김도환;김진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92-98
    • /
    • 2012
  • 본 연구는 터널의 유지, 보수, 보강에 필요한 가설공사용 스페이스 트러스 프레임 구조물을 소개한다. 기존 가설공사 시공방식과 장비들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터널 설계의 핵심 구성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제안된 새로운 가설 시공기술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개발된 가설 시스템을 발주처, 시공사, 터널 이용자 관점에서 사용성 및 경제성을 분석하고, 구조적인 안전성 검토와 최적단면 산정 평가를 상용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인 ABAQUS 6.5로 구현하여 본 가설 시스템의 현장적용 기반을 구축한다.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가설기기의 고장예측시스템 (A Study on the Prediction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Failure using Big Data)

  • 윤다영;박윤수;이현화;이상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153-154
    • /
    • 2013
  • 토목 및 건설, 건축 등의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가설기기들은 기계의 자체적인 기계고장 뿐만 아니라 야외 현장의 환경에 따른 기후의 변화에도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고장들을 사후약방문의 형식으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수리 후 사용한다면 시간적/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설기기들의 종류별 기기적 특징을 미리 시스템화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고 예방한다면 불필요한 손실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설기기들과 관련된 각종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로도를 예측하여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가설업에 최적화된 모바일 생산 및 경영관리시스템 (Optimizing Mobil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For A Construction Biz. Areas)

  • 노희성;송재오;서정민;이상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207-208
    • /
    • 2013
  • 최근 ERP 시스템은 웹을 이용하는 것은 기본이며,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각종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당연시 하고 있다. 특히 가설업종과 같은 분야에서는 야외 현장에서 처리하는 업무가 대부분이므로 업무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해야 하며, 인사, 회계, 물류, 건설, 토목 등의 업무가 복잡하고 많은 부분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처리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경영관리시스템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설업을 주업으로 하는 건설 토목 분야에 최적화된 ERP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장력측정에 의한 송전선 가설 시스템의 자동화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he Stringing Transmission Wire by the Measured Tension)

  • 배종우;홍순일;정승환;김실근;이상무;홍정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440-441
    • /
    • 2008
  • 본 논문은 현수형 송전 케이블과 장력발생 교류 서보전동기의 모델을 나타내고 송전케이블의 이도를 일정히 유지하기 위한 장력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었다. 현수형 송전선 특성에 기초하여 로드셀을 이용한 장력측정에 의해 송전선 가설 시스템의 구성법이 제안되었다. 가설시스템은 장력 발생장치에 교류서보 전동기를 이용하고 케이블의 장력계측 장치는 하중변환기(load cell)를 사용한다.

  • PDF

시스템비계의 현장적용 확대 연구로 품질 및 안전제고 (Enhanced Quality and Safety by Expanding Field Application of System Scaffolding)

  • 정우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1-232
    • /
    • 2022
  • 건설 현장이나 일반 제조업 현장은 작업자의 고소 위치에서의 작업시, 필요한 특정 장소로의 접근을 위한 임시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이를 가설비계라고 한다. 이러한 가설비계는 작업자의 안전 통행과 작업을 위한 받침대 역할, 장비나 공구, 자재를 임시 적치하기 위한 장소로 활용되는데 일반 건축물과 중후장대한 조선소 블록 제작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가설설비라는 특성으로 비계와 관련된 연구가 부진하고 사업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주 또한 진출을 가볍게 생각하고 있으며 해당 공사에 임하는 작업자의 산업으로의 진입문턱도 낮은 등으로 시공 품질이 떨어질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설치후에는 품질검사가 어려워 작업자의 숙련도나 진정성 등에 의한 주관적 작업 결과물이 설치된 시설물을 사용하는 주변 작업자에게는 불안전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작업자의 숙련도나 주관적 판단에 의한 가설 구조물 설치를 회피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어 왔는데 이것이 시스템비계이다. 이러한 시스템비계에 대한 사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등의 정부기관에서는 여러 가지 제약과 동시에 장려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적 발주나 일부 대기업그룹 외의 중소 현장에는 그 확산 속도가 높지않은 편이다.

  • PDF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간의 학사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여에 관한 비교연구

  • 김영문;유상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25-142
    • /
    • 1997
  • 본 논문은 전국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간의 학사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에 있어서의 차이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비교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위하여 첫째로 학사관리시스템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으로 (1) 조사대상, (2) 자료의 수집방법 그리고(3) 자료의 분석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셋째, 연구가설로서 (1) 연구가설의 설정, (2) 변수의조작적 정의 및 측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넷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간에 있어서 학사관리시스템 추진부서의 현황, (3)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보유 및 확보현황, 그리고 94) 학사관리시스템 개발의 성과로 세분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가설들을 검정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가설적 모델의 기계학습을 이용한 연속시간 동적시스템 모델링 프레임워크 (Modeling Framework for Continuous Dynamic Systems Using Machine Learning of Hypothetical Model)

  • 송해상;김탁곤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13-21
    • /
    • 2023
  • 본 논문은 실제 시스템의 빅데이터가 확보되었고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일부 알고 있을 때 파라미터를 가진 그레이박스 혹은 블랙박스 형태의 가설모델을 설정하고 기계학습을 통해 모델을 자동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고 다양한 가설모델에 대한 실험을 통해 학습된 모델의 정합도와 가설모델의 학습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가설모델 기반 기계학습 기법으로 상미분방정식으로 기술될 수 있은 연속시스템의 그레이박스 혹은 화이트 박스 가설모델과 주어진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했을 때 상당히 좋은 성능과 정확도를 보인 모델을 찾아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기법은 최근 생성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트윈 모델의 일치성을 자동 갱신하거나 새로운 입력에 대한 출력을 예측하는 목적으로도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교량 설치 가설공사의 최적화설계 지원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Support System to Optimize the Temporary Work)

  • 조훈희;박재우;조문영;김정열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6호
    • /
    • pp.115-123
    • /
    • 2005
  • 강교량 가설공사의 설계는 그동안 과거유사사업의 자료를 토대로 설계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진행되어 왔다. 이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 소요되는 가벤트에 대하여 과대설계 논란이 있으며, 시공단계에 불필요한 설계변경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교의 설계작업 과정에서 생성되는 설계 자료와 가설공사의 수행에 필요한 자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강교 설치 가설공사의 최적화설계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설시설물에 대한 설계를 최적화하며, 설계변경을 줄이는 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설계정보를 시공단계에 활용하게 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제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