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설시스템

Search Result 53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he Stringing Transmission Wire by the Measured Tension (장력측정에 의한 가설 송전선의 시스템 자동화)

  • Hong, Jeng-Pyo;Hong, Soon-Il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2 no.8
    • /
    • pp.31-37
    • /
    • 2008
  • As transmission line is installed by manual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scheme the automatic system for stringing transmission wire. For this necessit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developed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stringing of transmission wire. In this paper, transmission wire with suspended pattern and ac servo motor for torque generating are modeled. On the basis of wire model, algorithms to determine the reference tension is presented, so as the dip of transmission wire is keep constancy. The control scheme is proposed by the ac servo motor for torque generation and a load cell for a detected tension of transmission wire and implemented. We experimentally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tension response is satisfactory. And also proposed scheme verified the utilities for tension control of transmission wire.

Development of Temporary Facility Planning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영향요소 분석에 의한 고층건축공사의 가설계획시스템 개발)

  • Jang Myung-H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164-173
    • /
    • 2002
  •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field in the urban area is short of working space because it is surrounded by adjacent buildings and nearby roads. The insufficient space causes problems of interference and conflicts in transporting materials and working at the site. These problems can be resolved partly through the proper selection and layout of temporary facilities. A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supports a decision-maker to evaluate and select the alternatives of temporary facilities plans by establishing and analyzing processes and influence factors of them. Knowledges considered in planning temporary facilities layout are structurized and a program is implemented for a field manager. Case studies are perform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 PDF

Structural and Functional Measurements of a Space Truss Frame for Maintenance Works in Tunnels (터널의 유지보수공사 개선을 위한 가설 스페이스 트러스 프레임의 사용성 및 안정성 평가)

  • Lee, Dong Kyu;Kim, Do Hwan;Kim, Jin 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6 no.3
    • /
    • pp.92-98
    • /
    • 2012
  • This study shows details of a specific space truss frame structure devised to carry out maintenance and repair temporary works in tunn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structural safety and function of the innovative truss structure through an analysis tool, i.e.. ABAQUS, which is a suite of software application for finite element analysis and computer aided engineering. And then optimized size, i.e., thickness and diameter of truss members is evaluated in practice. In this study, construction methods in the temporary works are additionally represented by using the new space truss frame structure.

A Study on the Prediction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Failure using Big Data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가설기기의 고장예측시스템)

  • Yun, Da Young;Park, Yoon Su;Lee, Hyun Hwa;Lee, Sang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53-154
    • /
    • 2013
  • 토목 및 건설, 건축 등의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가설기기들은 기계의 자체적인 기계고장 뿐만 아니라 야외 현장의 환경에 따른 기후의 변화에도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고장들을 사후약방문의 형식으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수리 후 사용한다면 시간적/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설기기들의 종류별 기기적 특징을 미리 시스템화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고 예방한다면 불필요한 손실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설기기들과 관련된 각종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로도를 예측하여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Optimizing Mobil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For A Construction Biz. Areas (가설업에 최적화된 모바일 생산 및 경영관리시스템)

  • Sung, Ro Hee;Song, Jeo;Seo, Jeong Min;Lee, Sang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207-208
    • /
    • 2013
  • 최근 ERP 시스템은 웹을 이용하는 것은 기본이며,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각종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당연시 하고 있다. 특히 가설업종과 같은 분야에서는 야외 현장에서 처리하는 업무가 대부분이므로 업무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해야 하며, 인사, 회계, 물류, 건설, 토목 등의 업무가 복잡하고 많은 부분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처리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경영관리시스템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설업을 주업으로 하는 건설 토목 분야에 최적화된 ERP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he Stringing Transmission Wire by the Measured Tension (장력측정에 의한 송전선 가설 시스템의 자동화)

  • Bae, Jong-Woo;Hong, Soon-Ill;Jung, Seoung-Hwan;Kim, Sil-Keun;Lee, Sang-Moo;Hong, Jeng-P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440-441
    • /
    • 2008
  • 본 논문은 현수형 송전 케이블과 장력발생 교류 서보전동기의 모델을 나타내고 송전케이블의 이도를 일정히 유지하기 위한 장력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었다. 현수형 송전선 특성에 기초하여 로드셀을 이용한 장력측정에 의해 송전선 가설 시스템의 구성법이 제안되었다. 가설시스템은 장력 발생장치에 교류서보 전동기를 이용하고 케이블의 장력계측 장치는 하중변환기(load cell)를 사용한다.

  • PDF

Enhanced Quality and Safety by Expanding Field Application of System Scaffolding (시스템비계의 현장적용 확대 연구로 품질 및 안전제고)

  • Jung, woo-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31-232
    • /
    • 2022
  • 건설 현장이나 일반 제조업 현장은 작업자의 고소 위치에서의 작업시, 필요한 특정 장소로의 접근을 위한 임시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이를 가설비계라고 한다. 이러한 가설비계는 작업자의 안전 통행과 작업을 위한 받침대 역할, 장비나 공구, 자재를 임시 적치하기 위한 장소로 활용되는데 일반 건축물과 중후장대한 조선소 블록 제작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가설설비라는 특성으로 비계와 관련된 연구가 부진하고 사업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주 또한 진출을 가볍게 생각하고 있으며 해당 공사에 임하는 작업자의 산업으로의 진입문턱도 낮은 등으로 시공 품질이 떨어질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설치후에는 품질검사가 어려워 작업자의 숙련도나 진정성 등에 의한 주관적 작업 결과물이 설치된 시설물을 사용하는 주변 작업자에게는 불안전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작업자의 숙련도나 주관적 판단에 의한 가설 구조물 설치를 회피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어 왔는데 이것이 시스템비계이다. 이러한 시스템비계에 대한 사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등의 정부기관에서는 여러 가지 제약과 동시에 장려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적 발주나 일부 대기업그룹 외의 중소 현장에는 그 확산 속도가 높지않은 편이다.

  • PDF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간의 학사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여에 관한 비교연구

  • 김영문;유상진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 no.1
    • /
    • pp.125-142
    • /
    • 1997
  • 본 논문은 전국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간의 학사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에 있어서의 차이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비교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위하여 첫째로 학사관리시스템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으로 (1) 조사대상, (2) 자료의 수집방법 그리고(3) 자료의 분석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셋째, 연구가설로서 (1) 연구가설의 설정, (2) 변수의조작적 정의 및 측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넷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간에 있어서 학사관리시스템 추진부서의 현황, (3)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보유 및 확보현황, 그리고 94) 학사관리시스템 개발의 성과로 세분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가설들을 검정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Modeling Framework for Continuous Dynamic Systems Using Machine Learning of Hypothetical Model (가설적 모델의 기계학습을 이용한 연속시간 동적시스템 모델링 프레임워크)

  • Hae Sang Song;Tag Gon K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2 no.1
    • /
    • pp.13-21
    • /
    • 2023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model through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by setting a hypothetical model in the form of a gray box or black box with unknown parameters, when the big data of the actual system is given. We implements the proposed framework and conducts experiments to find an appropriate model among various hypothesis models and compares the cost and fitness of them.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proposed framework works well with continuous systems that could be modeled with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This technique is expected to be used well for the purpose of automatically updating the consistency of the digital twin model or predicting the output for new inputs using recently generated big data.

Development of Design Support System to Optimize the Temporary Work (강교량 설치 가설공사의 최적화설계 지원시스템 개발)

  • Cho, Hun-Hee;Park, Jae-Woo;Cho, Moon-Young;Kim, Jung-Yeol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6 no.6 s.28
    • /
    • pp.115-123
    • /
    • 2005
  • Design of steel $bridge^{\circ}AEs$ temporary works has conducted relying on the experiences of engineers based on the previous similar projects. Consequently, there have been arguments against over-design of temporary bents to be required at the actual construction sites, and unnecessary design changes have been issued at the construction stage.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 optimum design support system for temporary works of the steel bridge construction through establishing the database for the materials to be needed for implementation of temporary works. We've also improved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works through the design optimization for temporary works, and contributed to reduce design changes as well as to utilize the design informations at the construction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