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 센서

Search Result 48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tereo vision based virtual reality game using position/orientation sensors and vibrotactile device (위치/방향 센서 및 진동촉각 장치를 이용한 입체 영상 기반 가상 현실 게임)

  • Yong, Ho-Joong;Back, Jong-Won;Jang, Tae-Je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8-93
    • /
    • 2006
  • 대부분의 입체 영상물은 단지 화면을 입체로 보여주는 것만이 목적이다. 그러나 만약 입체 영상으로 표현된 가상 물체를 손가락을 뻗어 실제로 만져볼 수 있다면 현실감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입체영상 장치로 만든 가상 비누방울들을 실제 자기 손가락으로 터뜨리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가상 현실 게임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 때 두 개의 위치/방향 센서를 이용하여 손가락 끝과 머리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의 두 좌표계를 서로 일치시켜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체 제작한 진동촉각 장치를 이용하여 비누방울을 터뜨릴 때 손가락에 약한 진동 촉감을 제공하여 실제로 자신이 비누방울을 터뜨리는 듯한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입체영상 기술을 이용한 가상현실 게임에서의 진동촉각 장치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Intelligent Evaluation Algorithm for Identifying Hazards in Public Restrooms Using Virtual Reality and Sensor Data (가상현실과 센서데이터를 활용하는 공중화장실 위험요소 지능형 평가 알고리즘)

  • Shin-Sook Yoon;Jeong-Hwa S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9 no.2
    • /
    • pp.473-482
    • /
    • 2024
  • This study utilized virtual reality to construct a simulated public restroom environment to identify potential hazards. The objective was to discern actual risks in real-world public restrooms through this virtual setup. During the virtual restroom experience, data from the built-in 3-axis accelerometer and gyroscope sensors of testor's smart phones were collected. Analysis of this data helped in identifying spatio temporal factors impacting the users. The determination of these factors as risk elements was based on an evaluation algorithm grounded in data analysis.

Energy-Sharing Scheme of the Sensor System for the efficient use of Solar Power (태양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센서 시스템의 에너지 공유 기법)

  • Noh, Dong-K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11
    • /
    • pp.2569-2574
    • /
    • 2010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efficient energy management using a notion of virtual energy system for shared solar-powered sensor network. Virtual energy system is an abstraction that allow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on a node to reserve their own fractions of the shared solar cell and the shared rechargeable battery, hence achieving logically partition of a shared renewable power source. Our results show that our design and implementation are reliable, lightweight and efficient, allowing proper isolation of energy consumption among applications.

Implementation of Device Driver for Virtual Machine Based-on Android (Android 가상머신을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구현)

  • Kim, Ho-Sung;Seo, Jong-Kyoun;Park, Han-Su;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4
    • /
    • pp.1017-1023
    • /
    • 2015
  • The amount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exponentially. Due to the periodic release of high-performance smart phones and upgraded operating system, new smart phones become out-dated over 1 or 2 years. In order to solve environmental constraints of these smart phones, virtualization technology using Thin-Client terminal has been developed. However, in the case of Virtual Machine(VM), the applications associated with sensors and a GPS device can not run because they are not included. In this paper, by implementing the device driver for Android running in a virtual machine in the x86-based systems, it is to provide Android virtualization capabilities such as using the latest smart phones in the virtual machine environment. It would like to propose a method that the virtual device driver receives sensors and GPS information from the old Android smart phones(Thin-Client) that actually work and run as if the real device exists.

Augmented Reality Interaction With 3-Dimension Object using Wii-remote Sensor (Wii-remote 센서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3D 가상현실과의 상호작용)

  • Kim, Byung-Ki;Ko, Young-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905-908
    • /
    • 2009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발전으로 복합적인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할 수 있는 공간을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하여 가상 현실(컴퓨터)과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wii 리모콘에 삽입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가상의 3D객체를 실세계에서 효율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Sensors-type healthcare content system with virtual trainers (가상트레이너와 함께하는 센서형 헬스케어 콘텐츠 시스템)

  • Hyeon, Uijoo;Kim, Dongyoung;Yoon, S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151-152
    • /
    • 2019
  •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의 경우 바른 자세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감지센서가 부착된 디스플레이형 전신거울과 프리웨이트 운동기구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정보를 인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가상 트레이너를 통해 균형 운동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게임형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본 콘텐츠의 목표는 운동 시에 중요한 바른 자세를 잡기 위하여 균형 상태를 알 수 있게 하며, 가상트레이너에 의해 보다 효과적이고 흥미로우며 지속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 PDF

Efficient Energy Management for Shared Solar-powered Sensor System (공유형 태양 에너지 기반 센서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기법)

  • Noh, Dong-K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10a
    • /
    • pp.531-534
    • /
    • 2010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efficient energy management using a notion of virtual energy system for shared solar-powered sensor network. Virtual energy system is an abstraction that allow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on a node to reserve their own fractions of the shared solar cell and the shared rechargeable battery, hence achieving logically partition of a shared renewable power source with no change in design and implementation. Our results show that our design and implementation are reliable, lightweight and efficient, allowing proper isolation of energy consumption among applications.

  • PDF

An Attribute-Based Naming Architectur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속성 기반 네이밍 구조)

  • Jung, Eui-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4
    • /
    • pp.95-102
    • /
    • 2007
  • Recently, a lot of researchers focus on the sensor middleware that hide the complexity of application developments and provide the abstraction of functions to upper application layer. Although there we several factors to design sensor middleware, the attribute-based naming is considered to be an essential factor among them. However, most existing researches were not design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 networks and have the limitation of attribute-based query extension. This study adopts the concept of Virtual Counterpart to suggest the structure there attribute-based naming is supported by virtual sensor nodes of the middleware on the sink node. Unlike traditional data-centric middleware in which individual sensor nodes process attribute-based query, virtual sensor nodes mapped to physical sensor nodes are running on the middleware of the sink node and process attribute-based query as a proxy of the physical sensor. This approach enables attribute-based naming independent of physical infrastructure and easy extensibility.

  • PDF

Manufacture Interactive Virtual Reality Controller Using Flex Sensor (플렉스 센서를 활용한 체감형 가상현실 컨트롤러 제작)

  • Kim, Han-Syel;Song, Wook;H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086-1087
    • /
    • 2017
  • 최근 HMD 디바이스의 발달 및 그래픽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인해 현실과 유사한 느낌을 주는 가상현실 플랫폼 및 컨텐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가상현실 플랫폼은 가상현실 환경과 사용자를 이어주는 UI가 불확실하고 사용법이 직관적이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상현실을 위한 컨트롤러들은 다양한 형태와 각각 다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어 가상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플렉스 센서를 이용한 컨트롤러를 제작하고 이를 가상현실 내에서 출력한 모습에 대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추후 이를 활용하여 체감이 가능한 가상현실 컨텐츠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Assembler of Virtual Machine for Pervasive Computing (퍼베이시브 컴퓨팅을 위한 가상기계의 어셈블러)

  • Jeon, Byung-Jun;Yi, Chang-Hwan;Oh, S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589-592
    • /
    • 2006
  • 최근 유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소규모 장치의 개발 기술이 향상되면서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에서는 다양한 생활용품에 장착 가능한 소규모 장치와 센서 등을 사용한다. 소규모 장치와 센서들은 다양한 기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 환경과 실행 환경의 호환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가상기계 플랫폼을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기존에 개발된 가상기계는 규모가 크고 높은 컴퓨팅 파워를 요구하기 때문에 퍼베이시브 환경에는 사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퍼베이시브 환경에 적합한 가상기계의 어셈블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가상기계인 EVM의 어셈블러를 수정하여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어셈블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적은 리소스만을 제공하는 소규모 가상기계에 적합하도록 EVM의 객체 지향 특성과 불필요한 명령어를 제거한다. 수정된 새로운 가상기계 플랫폼을 위한 어셈블러를 통해서 가상기계에서 실행 가능한 실행 파일 포맷을 생성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