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 센서

Search Result 48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 Effective Method of Testing Application Software of Smart Sensors (스마트 센서 응용 소프트웨어를 테스팅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

  • Jo, Jang-Wu;Joeng, Hwan-Cheo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8
    • /
    • pp.105-111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virtual sensor system that is an effective method to test application software of smart sensors. The common way of testing sensor application is to build a test board, connect sensors to the board, and test sensor applications on the board with sensor's measurements as inputs. The problem of testing sensor application software with sensor's measurements as inputs is the restriction of test data. In other words, software testers cannot manipulate test data, because test data is generated by sensors. To solve this problem a virtual sensor syst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virtual sensor system enables software testers to manipulate measurements of sensors. In the virtual sensor system, generation of virtual sensors comprises three stages - sensor selection, sensor characterization, and determination of output patterns. Sensor's measurements that can be manipulated through the virtual sensor system make the process of testing efficient. To show the usefulness of our virtual sensor system, it is applied to sensor applications in Android platform and the result of experiments is shown.

A Method of Representing Sensors in 3D Virtual Environments (3D 가상공간에서의 센서 표현 방법)

  • Im, Chang Hyuk;Lee, Myeong Wo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4 no.4
    • /
    • pp.11-20
    • /
    • 2018
  • Applications about systems integration of sensors and virtual environments have been developed increasingl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ability to represent, control, and manage physical sensors directly in a 3D virtual environment. In this research, a method of representing physical sensor devices in a 3D virtual environment has been defined using mixed and augmented reality, including virtual and real worlds, where sensors and virtual objects co-exist. The research is intended to control and manage various physical sensors through data sharing and interchange between heterogeneous computing environm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eneral sensor types have been classified, and a sensor based 3D scene graph for representing the functions of sensors has been defined. In addition, a sensor data model has been defined using the scene graph. Finally, a sensor 3D viewer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 scene graph and the data model so as to simulate the functions of sensors in indoor and outdoor 3D environments.

Virtual Visual Sensors and Their Application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가상 시각 센서의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응용)

  • Kim, Hee Seung;Choi, Kyoung Kyu;Kim, Tae Jin
    • Magazine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8 no.4
    • /
    • pp.83-88
    • /
    • 2014
  • 구조물에 최적화된 센서 배열(Sensor Array)을 수행하는 것은 센서 네트워크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센서의 설치와 관리는 구조물이 처해 있는 환경이나, 경제성 그리고 센서의 주파수대역의 제한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문제와 환경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 센서 대용으로 가상 시각 센서(VVS: Virtual Visual Sensor)를 제안하였다. 가상 시각 센서는 설치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관리가 편하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상 시각 센서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최첨단 컴퓨터 시각 알고리즘과 마커 추출 기법의 적용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 시각 센서를 이용하여 모드 형태와 주파수를 추출하는데 용이하다는 점을 보여주며 이를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에 적용할 경우 효율적이라는 점을 입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hysical home safety sensor and actuator for home virtualization (홈안전시스템을 위한 물리홈 안전센서 및 제어장치 개발)

  • Park, Ji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245-24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현대사회의 복잡성으로 인해 각자 흩어져 살고 있는 가족 구성원들을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공간을 통해 서로 연결시켜주어 가족애를 증진시켜주고 특히 안전에 취약한 타지에 살고 있는 노부모를 가상공간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홈가상화 서비스를 위한 물리홈 안전센서와 제어장치를 제안한다. 홈가상화를 통한 홈안전시스템은 메타버스 서버와 클라이언트, 홈가상 플랫폼 게이트웨이와 물리홈 센서와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본 논문에서는 하부구조인 홈가상 플랫폼 게이트웨이와 센서 및 제어장치간의 프로토콜 및 이의 프로토타입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가상 공간에서 실공간의 홈센서 및 제어장치와 교신할 수 있어 가상공간을 통한 홈안전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A Position-based Virtual Multi-Percussion using Inertial Sensors (관성 센서를 이용한 위치기반 가상 멀티 타악기)

  • Choi, Eun-Seok;Sohn, Jun-Il;Bang, Won-Chul;Kim, Yeun-B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79-385
    • /
    • 2007
  • 관성 센서는 외부 장치의 도움 없이 3차원 공간상에서 움직임 측정이 가능하다. 최근 MEMS 기술의 발달로 소형 저가 관성 센서(가속도 센서 혹은 각속도 센서) 제작이 가능해져 관성 센서를 소형 휴대 기기에 내장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의도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성 센서가 내장된 휴대 기기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6가지 위치에 따라서 각기 다른 6가지 소리를 발생하는 가상의 멀티 타악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즉, 휴대 기기를 상/하로 흔들면 가상 타악기의 타점 위치에 왔을 때 비트 음을 발생하고, 6개의 다른 위치를 구분하여 다른 타점의 위치에서 휴대 기기를 흔들면 각각 그 위치와 미리 지정된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가상의 멀티 타악기 시스템을 위해서 3차원 공간상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휴대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가의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 기기를 움직이는 동작이 있는 상황에서 실시간으로 휴대 기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움직임 동작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가 가상의 멀티 타악기를 상/하로 흔드는 동작을 감지하고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구분하였다. 개발된 동작 감지 알고리즘과 위치 구분 알고리즘을 휴대 기기에 적용되어 실제로 가상의 타악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Virtual sensor based data generation technique to sense temperature of item in cold storage (저온저장고에서의 물품 온도 센싱을 위한 가상 센서 기반의 데이터 생성 기법)

  • Lee, Kyung-Min;Lee, Ji-Wan;Ryu, Woo-Seok;Kwon, Joon-Ho;Hong, B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172-174
    • /
    • 2012
  • 농 수산업 등 많은 신선 물류 환경에서는 저온저장고에 저장되는 물품을 신선하게 유지해야 한다.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저온저장고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며, 센서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센서 데이터 수집의 목표는 저장되는 물품이 위치한 공간의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지만, 물품에 센서를 부착하는 작업의 비효율성 또는 부착 불가능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센서를 가상 센서로 대체하여 가상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제안하며, 가상 센서 데이터 생성을 위한 기법 및 센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 적용 방법을 기술한다.

A Design of Virtual Sensor Peer for Sensor P2P (센서 P2P를 위한 가상 센서 피어 설계)

  • Kim, Nam-Gon;Seok, Seung-Joon;Song, Wang-Cheol;Choi, Deokja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975-977
    • /
    • 2009
  • 오늘날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인프라 구축 및 각종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지만 센서 네트워크 서비스는 특정 사용자에만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센서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공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최근에 이슈가 되는 것이 P2P 네트워크를 활용한 것이다. 하지만 제한된 연산 자원을 가지고 배터리를 사용하는 센서노드를 P2P의 피어(Peer)로 구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에 연결된 게이트웨이 노드에 센서 단위의 가상의 센서 피어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가상 센서 피어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P2P 서비스 기술 생성, 가상 피어 관리 기법 등에 관한 상세내용을 기술한다.

Attribute-based Naming Support for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속성 기반 네이밍 지원)

  • Seo Hanbae;Jung Euihyun;Kim Yongpyo;Park Y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78-480
    • /
    • 2005
  • 센서 네트워크는 다수의 센서 노드들이 센싱된 데이터를 보고하는 형태의 네트워크로 기존 데이터 중심(Data-centric) 통신 모델은 오버헤드와 응답 속도의 저하와 관련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속성 기반 네이밍(Attribute-based naming)이 새로운 라우팅 구조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대응체 (Virtual Counterpart) 개념을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속성 기반 네이밍을 싱크 노드내의 가상 센서 노드에서 처리해주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다른 속성 기반 네이밍 연구들과 달리 리얼센서에 대응되는 가상 센서 노드를 싱크 노드에서 운용하고, 리얼 센서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 후, 속성 기반 쿼리를 가상 센서 노드가 리얼 센서를 대행하여 처리하는 구조를 설계하였다. 이런 구조를 취함으로써 효율적인 응답 처리와 하부 네트워크에 비종속적인 속성 기반 네이밍이 가능하며, 쿼리의 확장성과 센서들의 결합을 통한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 PDF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스마트축사 활용 가상센서 기술 설계 및 구현)

  • Hyun Jun Kim;Park Man Bok;Meong Hun Lee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10
    • /
    • pp.55-62
    • /
    • 2023
  • Innovation and change are occurring rapidly in the agriculture and livestock industry,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smart bams are being introduced, and data that can be used to control equipment is being collected by utilizing various sensors. However, there are various challenges in the operation of bams, and virtual sensor technology is needed to solve these challenges. In this paper, we define various data items and sensor data types used in livestock farms, study cases that utilize virtual sensors in other fields, and implement and design a virtual sensor system for the final smart livestock farm. MBE and EVRMSE were used to evaluate the finalized system and analyze performance indicators.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managing data using virtual sensors, there was no obvious difference in data values from physical sensors, showing satisfactory results. By utilizing the virtual sensor system in smart livestock farms, innov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can be expected in various areas such as livestock operation and livestock health status monitoring. This paper proposes an innovative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by utilizing virtual sensor technology in the field of smart livestock, and has obtained important results in verifying its performance. As a future research task,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connection of digital livestock using virtual sensors.

Sensing and Control Virtual Environment Using Zigbee Sensor Technology (지그비 센서를 활용한 가상현실 제어)

  • Joo, Jae-Hong;Lee, Hyeon-Cheol;Hur, Gi Taek;Kim, E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243-247
    • /
    • 2007
  • User interface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one's presence in virtual reality systems. Due to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hardware, the virtual reality system is extensively utilized in games, broadcastings, educations, cultural contents, and so on. And, it is enlarged the necessity for researches on mobile interface to control the virtual reality system guaranteeing user's unrestricted movement. In this paper, we present a mobile interface, ZA sensor which is constructed with a Zigbee module and a Accelerometer to control the virtual environment. And, we propose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the ZA sensor as a input device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