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Cloud Computing Based Factory Automation Service (클라우드 기반의 공장자동화시스템 서비스)

  • Ryu, Gab-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691-69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전용의 NC 포스트프로세서를 범용의 NC포스트프로세서로 설계하고 이를 클라우드 컴퓨팅환경에서 기업에 서비스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NC 포스트프로세서를 인터넷 기반의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행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프로세서 엔진이 분리되어 각각이 사용자 PC, 그리고 클라우드 환경에 설치되고, 이 두 모듈 사이를 네트워크로 묶어주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의 서버-클라이언트 구조 혹은 데스크탑 가상화 등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와는 차별화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배포 및 이를 운용하기 위한 웹환경의 구축,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NC 포스트프로세서 엔진의 운용 등이 플랫폼적으로 통합된 시스템 형태를 갖도록 설계하였다.

A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BIM Design Environment based on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VDI) of Cloud Computing Technology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데스크탑 가상화 기반의 BIM 설계 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 Shin, Joonghwan;Lee, Kyuhyup;Kwon, Soonwook;Choi, Gyuseong;Ko, Hyungly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6 no.4
    • /
    • pp.118-128
    • /
    • 2015
  • Recently BIM technology has been expanded for using in construction project. Due to the high-cost of BIM infrastructure development, lack of regulations, lack of process and so forth, usage of BIM has been delayed than initial expectations. In design phase, especially, collaboration based on BIM system has been a key factor for successful next generation building project.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research trends about IT technologies, virtualization and BIM service, data exchange such as drawings, 3D model, object data, properties using cloud computing and virtual server system is defined as a most successful s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the cloud computing BIM server to provide several main functions such as editing models, 3D model viewing and checking, mark-up and snapshot in high-performance quality by proper design of VDI system. Concurrent client connection performance is a main technical index of VDI. Through testing of test-bed server client, developed VDI system's multi-connect control is evaluated. Performance-test result of BIM server VDI effect to development direction of cloud computing BIM service for commercialization.

An Efficient Dynamic Resource Allocation Scheme for Thin-Client Mobile in Cloud Environment (클라우드 환경의 Thin-Client 모바일을 위한 동적 자원 분배 기술)

  • Lee, Jun-Hyung;Huh, Eui-Nam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9A no.3
    • /
    • pp.161-168
    • /
    • 2012
  • The study of Cloud based system is emerging to become the core technology in IT field due to the tremendous growth of Cloud Computing. Researches to deliver applications to Thin-Client based mobile virtual machine and Desktop as a Service(DaaS) using Cloud Computing are conducted active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oud system to run the mobile application in the mobile Thin-Client device and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 Dynamic Resource Allocation Manager for Mobile Application(DRAMMA). Thus, through performance check, we show DRAMMA has improved the utilization of Cloud system, less migration of virtual machines and decreased the error rate of resource allocation. Also our proposed system delivers service more efficiently than the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A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Architectural Design Firm BIM Environment based on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VDI) 기술을 활용한 중소규모 설계사의 BIM 사용자 별 데스크탑 자원 할당 전략에 관한 연구)

  • Lee, Kyuhyup;Shin, Joonghwan;Kwon, Soonwook;Park, Jaew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5
    • /
    • pp.78-88
    • /
    • 2016
  • Recently BIM technology has been expanded for using in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its spread has been delayed than the initial expectations, due to the high-cost of BIM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e lack of regulations, the lack of process and so forth. In design phase, especially, collaboration based on BIM system has being a key factor for successful next generation building project.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research trend about IT technologies, virtualization and BIM service, data exchange such as drawing, 3D model, object data, properties using cloud computing and virtual server system is defined as a most successful solution.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cloud computing technology is utilized as a promising solution which can reduce time and cost of hardware infrastructure. Among the cloud computing technology, VDI is receiving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it market as an essential part cloud computing. VDI enables to host multiple individual virtual machines by using hypervisor. It has an advantage to easy main device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implements a step-by-step user's DaaS by analyzing the desktop resource data of the workers from Pre-design phase to Schematic design, Design develop and Construction design phase. It also develops BIM environment based on test of BIM modeler and designers in architectural design firm. The goal of the study is to enable the cloud computing BIM server. It provides cost saving, high-performance quality of working environment and cooperation's convenience and high security when doing BIM work in small and medium sized architectural design fir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loud based Adaptive Streaming System for High Resolution Multimedia Service (초고해상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Moon, Jongbae;Cho, Junghyun;Jang,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573-1576
    • /
    • 2015
  • 최근 Full-HD보다 4배에서 16배 이상 선명한 초고화질 멀티미디어 영상을 볼 수 있는 UHD TV가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UHD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고화질 멀티미디어 영상을 스트리밍하고 재생하기에는 저사양 PC 단말이나 모바일 단말은 자원부족으로 서비스를 제대로 받을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초고화질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저사양의 단말에서도 고품질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해결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비트율을 가진 영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QoE(Quality of Experience)를 제공하는 것을 보여준다.

Gadget Arms: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using Hand Gesture in Extended Reality (가젯암: 확장현실을 위한 손 제스처 기반 대화형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 Choi, JunYoung;Jeong, HaeJin;Jeong, Won-Ki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5 no.2
    • /
    • pp.31-41
    • /
    • 2019
  • Extended Reality (XR), such as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has huge potential for immersive data visualization and analysis. In XR, users can interact with data and other users realistically by navigating the shared virtual space, allowing for more intuitive data analysis. However, creating a visualization in XR also poses a challenge because complicated, low-level programming is required, which hinders broad adaptation in visual analytics. This paper proposes an interactive visualization authoring tool based on hand gesture for immersive data visualization-Gadget Arms.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a novel user interaction to create and place visualization in the 3D virtual world. This simple, but intuitive, user interaction enables user designs the entire visualization space in the XR without using a host computer and low-level programming. Our user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proposed user interaction significantly improves the usability of the visualization authoring tool.

Design of a embedded Linux file system usign MMDB (MMDB로 구현한 내장형 리눅스 파일 시스템 설계)

  • 이동근;김기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30-132
    • /
    • 2000
  • 내장형 파일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MMDB(Main Memory DB)는 주 기억 장치 상주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서 이동전화 단말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같이 하드디스크를 가지지 않는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 하드디스크를 고려하지 않은 점에서 기존의 MMDB와는 다른 메모리 관리 방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 내장형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가 가능하다. 내장형 파일 시스템은 리눅스의 가상 파일 시스템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형태의 파일 시스템을 쉽게 구축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OS가 필요에 따라 파일 시스템의 설정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OS의 메모리관리자와 파일 시스템의 중복 기능을 제거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킬수 있고, 데스크 탑 PC와의 데이터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Portable Projection-Based Display System (휴대형 프로젝션 기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 Oh, Ji-Hyun;Lee, Moon-Hyun;Park, Han-Noon;Kim, Jae-Soo;Park, Jong-Il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2 no.2
    • /
    • pp.137-147
    • /
    • 2007
  • Projection-based augmented reality (AR) system refers to the system that accurately project high quality virtual information at the user-specified area by using the projector. Most of projection-based AR systems use the display device to support high quality and wide screen for increasing the user-immersion. Furthermore, they are implemented on the desktop environment due to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However, these projection-based AR systems are not suited as a mobile system and thus it may be inconvenient in the user point of view. Fortunately, Miniaturization of projectors and improved capacity of the mobile processor allowed the mobile AR system to be convenient. The limitation of established mobile AR system is that it uses small display screen which does not support high-resolutions and thus it may reduce the user-immersion into the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portable projection-based display system,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both projection-based and mobile-based AR systems. We have conducted the user evalu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the utmost capacity of the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for Software On-Demand Streaming System (소프트웨어 온디맨드 스트리밍 시스템 성능평가)

  • Kim, Young-Man;Heo, Seong-Jin;Choi, Wan;Han, Wang-W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5a
    • /
    • pp.249-254
    • /
    • 2006
  • 소프트웨어 스트리밍[1][2]은 프로그램 설치 및 실행을 위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진행중인 동안에도 PC, PDA, 휴대용 개인 컴퓨터, 휴대 전화 등과 같은 데스크 탑 또는 이동 연산장치 상에서 미설치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다. 즉,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기술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다운로드, 압축해제, 인스톨과 시스템 재구성이라는 일련의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최소한의 다운로드 후에 해당 소프트웨어가 곧바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스트리밍 시스템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다양한 공개 또는 상업용 응용프로그램을 광범위하게 지원하는 사용자 투명성을 가진 가상 소프트웨어 컴퓨팅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환경에서 설계 구현된 Software On-Demand(SOD) 스트리밍 시스템을 소개하고, SOD 스트리밍 시스템의 성능평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SOD 스트리밍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한다.

  • PDF

Smart Puck System for Manipulating Digital Information via Physical Sensation (물리적 감각을 통한 디지털 정보의 조작을 위한 스마트 퍽 시스템)

  • Jo, Hyeon-Cheol;Kim, Rae-Hyeon;Park, Se-Hyeong;Han, Man-Cheo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857-86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형 화면의 tabletop display상에서 물리적인 감각을 통해 정보를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스마트 퍽 시스템을 제시한다. 기존의 데스크 탑 PC 환경의 인터페이스는 물리적인 마우스와 디지털 정보의 공간적인 불일치가 생기고 마우스의 물리적인 움직임과 모니터 상 그래픽 커서의 이동을 맵핑하여 간접적으로 정보를 조작하므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 퍽은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장치로써 tabletop display상의 디지털 정보를 직접 조작할 수 있고, 스마트 퍽을 끌거나 들어서 옮기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물리적인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지털 정보와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대형 화면의 tabletop display는 여러 사용자가 함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공유하고 조작하는데 적합하다. 스마트 퍽 시스템은 인간의 아날로그적인 지각과 반응을 통한 물리적인 인터랙션과 가상의 디지털 정보와의 거리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 시스템은 PDP 기반의 tabletop display 장치와 스마트 퍽, 그리고 tabletop display상의 스마트 퍽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장치와 스마트 퍽의 입력을 전송 받아 정보를 처리하는 메인 PC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퍽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몇 가지 예시를 보여주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