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훈련시스템

Search Result 19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OINS- I : 가상발전소 개념에 따른 원자력 극한작업을 위한 지능형 상호협조 훈련시스템의 모델링

  • Cha, K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a
    • /
    • pp.608-613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고온, 고압, 그리고 방사능 준위가 높은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의 극한환경(Hazardous Environments)에서의 점검 및 보수에 대한 작업자의 훈련을 위해 지능형 상호협조 훈련시스템 (COINS-I: COoperative INtelligent training System-I)의 개념모델을 제안하였다. 비교적 방사능준위가 높은 격납용시 구조물과 보조(Auxiliary) 빌딩을 일차적 극한작업환경으로 설정하였다. 격납용기 구조물과 보조빌딩에 대한 가상발전소 환경(Virtual Plant Environments)을 모델링하여, 극한환경에서의 점검 및 보수훈련 Pilot 연구를 COINS-I의 개발목적으로 하였다. COINS-I은 점검, 보수훈련을 위한 가상발전소 환경을 갖는 극한작업 시뮬레이터, 지능형 Tutoring 기능을 갖는 극한작업 훈련프로그램, 3차원 가상인터페이스 등의 훈련장비를 갖는 훈련설비로 구성된다. COINS-I을 통한 교육 및 훈련 궁극적으로 작업자가 경험치 못한 극한작업(예를들면, 원자로해체, 중대사고, Life-extension 등)의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훈련이 가능하여 방사능 피폭량을 저감하며, 극한작업 자동화를 위한 연구에의 활용이라 하겠다.

  • PDF

Development of training assessment system for emergency response training simulator (가상현실 기반 안전대응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훈련평가 시스템 개발)

  • Lee, Jai-Kyung;Huh, Young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811-1812
    • /
    • 2015
  •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는 대형 기계설비의 위험상황에 대한 실제 훈련은 소요시간 및 비용 증가, 훈련자 안전 확보의 어려움, 반복적인 훈련 및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 시뮬레이터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 기계설비 안전대응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된 훈련에 대한 훈련자 피드백 및 평가를 위하여 개발된 시스템을 소개한다.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에서 수행한 훈련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훈련 시나리오 내 임무수행 여부, 수행시간/거리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함께 훈련자의 훈련동작 데이터와 표준동작과의 비교를 통하여 효율적인 훈련을 위한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평가 결과의 시각화를 통해 직관적인 훈련개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훈련평가 시스템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훈련자 피드백 제공 및 반복적인 훈련 수행을 통한 안전대응 능력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철강산업의 가상 시운전 및 훈련 시스템 기술동향

  • Kim, Yong-Su;Lee, Jin-Hwi;Choe, Ja-Yeong;Kim, Seok
    • ICROS
    • /
    • v.21 no.3
    • /
    • pp.25-34
    • /
    • 2015
  • 철강산업의 플랜트 엔지니어링에서 투자비와 공기를 저감하기 위해 Virtual Factory 기술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Virtual Factory 기술은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의 설계 및 제작 단계에서 설비 간섭, 분해, 설치, 검증 등 기계 요소를 테스트하고, 시운전, 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에서 제어 프로그램 검증, 운전 훈련 등 제어 요소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컴퓨터 기반의 가상 플랜트를 구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 요소 테스트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술로서 가상 시운전 시스템과 가상 훈련 시스템의 기술 및 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 PDF

Fire safety education and virtual training system (소방안전교육 가상훈련 시스템)

  • Yoon, Ta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335-33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가상훈련 기반 소방안전교육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기존의 소방교육은 오프라인 형태로 여러 명이 모여 훈련을 받아야 하는 만큼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많다. 이러한 시공간적 제약을 없는 체감형 훈련 방안을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소방 훈련 콘텐츠를 탑재한다. 건물 내 화재 발생시 5분내 초기 대처가 중요한 만큼. 가상훈련의 실제 5분을 기준으로 훈련 방법을 제시한다. 본 소방안전교육 시스템은 HMD(Head Mounted Display)을 적용하여, 3차원의 입체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며, 훈련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공간 내 실시간 반영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한다.

  • PDF

A Atudy on NCS-based Virtual Training Content Analysis (NCS기반 가상훈련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 Song, Eun-Jee;Lee, Seok-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3
    • /
    • pp.651-656
    • /
    • 2017
  • Virtual Training generates virtual situation or environment with specific goals in order to instruct trainees as if they are in the real-world. Recently, the demand of experiencing certain incident, which we are not able to experience in real life, has been increased along with the fast developing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Particularly, Virtual Training(VT) enables us to learn various fields those require high risk and high cost. The system of VT provides interaction and allows us absorb these learning materials better which augments learning effect. Based on the demand of Virtual Training system, this research analyzes current education paradigm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in Korea and suggests possible education that utilizes Virtual Training system. At the end of the day, our future goal is to apply suggested Virtual Training contents to universities that reflect NCS curriculum like polytechnic university.

Synthetic Drill System Based on HLA (HLA 기반의 종합 훈련 시스템)

  • Hwang, Jae-Jun;Lee, Kyu-Young;Jun, Hyang-Sik;Jun, Dae-Gun;Choi, Hy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73-75
    • /
    • 2008
  • 현대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많은 모의 훈련을 대체하고 있다. 시뮬레이터는 고유의 훈련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획, 제작 되어진다. 하지만 현대와 같은 종합적인 입체훈련 체계는 고유의 훈련 임무 이외에 개개의 시뮬레이터의 임무가 가상의 종합 시뮬레이션 환경에 참가한 통합 훈련 체계의 필요성을 야기하게 되었다. 또한 각각의 시뮬레이터의 기능은 보다 세분화 되었으며 높은 성능을 요구하게 되었다. 현재 KA-32 헬기 시뮬레이터 영상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는 한국소프트스페이스(주)는 독립적인 시뮬레이터들에 HLA(High Level Architecture)를 적용하여 하나의 종합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고유의 임무를 지닌 시뮬레이테는 각각의 임무를 가상의 종합 훈련 환경에 참가하여 서로간의 훈련 효과를 극대화 시켜화 시켜준다. HLA 기반의 종합 훈련 시스템의 RTI(Run-Time Infrastructure)는 Pitch 사의 pRTI를 사용하였으며, 가상의 종합 시뮬레이션 환경의 핵심이 되는FOM(Federation Object Model)은 호환성을 및 모든 객체의 표현을 위하여 RPR FOM(Real-time Reference FOM)을 사용하였다. 본 종합 훈련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시뮬레이션간에 최고의 성능을 내기 위하여, 기능 세부화 하여 구성하였다. Terrion 사의 FLAMES는 종합 훈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진행/설정 및 분석을 담당하며, Mantis는 훈련 상황을 사실감 있는 3 차원 영상으로 참가자에게 전달하여 준다.

A Design of Emergency Response Training Platform Using Virtual Environment (가상환경을 이용한 안전대응 훈련 플랫폼의 설계)

  • Lee, Jai-Kyung;Cha, Moo Hyun;Huh, Young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453-454
    • /
    • 2011
  • 에너지 플랜트, 화학공장 등 대형 기계설비의 복잡도 증가는 그에 따른 위험요소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대형 기계설비에 대한 위험 관리와 시스템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는 위험도 기반의 안전 설계/해석, 상태 감시 및 진단을 이용한 설비 모니터링, 인적 신뢰도 향상이 요구되며 설계 단계에서부터 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까지의 시스템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지속적인 활동을 필요로 한다. 인적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설비 운영자가 응급 또는 이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즉, 안전사고 대응 능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대상 설비에 대한 실제 훈련은 시간, 비용, 훈련자의 안전 확보가 어렵고 반복적인 훈련 및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가상 환경을 이용한 안전대응 훈련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훈련자에게 몰입형 가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상현실 및 안전사고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훈련자의 안전을 유지하면서 안전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Virtual MCR Collaboration Training System (가상 MCR 협동 훈련 시스템(Virtual MCR Collaboration training System)에 관한 연구)

  • Yoo Hyeon Ju;Lee Yong-Gwan;Lee Myeong-Su;Hong Jin-Hyeok;Choe Jin-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1.07a
    • /
    • pp.124-127
    • /
    • 2001
  •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지원 교육훈련 시스템 (VR-CATS: Virtual Reality based Computer Assisted Training System) 개발에 대한 연구를 전력연구원에서는 계속 수행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New VR-CATS (울진 3호기 참조)중 가상현실에서의 공동 협동 훈련 시스템(Virtual Reality Collaboration Training System)의 설계에 관하여 서술한다. 공동작업은 발전소 MCR(Main Control Room)을 3D 데이터 모델링 후 가상현실화하고 MCR 내부를 Navigation 할 수 있도록 가상패널(Virtual Panel)을 개발 및 에에 대한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환경을 작성하여 추후 정확하고 신속한 계기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훈련생들이 시뮬레이터실로 가지 않고 MCR에서 발전소를 운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강의실에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설계기준사고 중의 하나인 LOCA 사고 복구 훈련 시나리오를 통하여 실제와 동일한 복구 훈련을 하므로서 효율적이며 현장감있는 교육훈련 수행을 가능케 한다.

  • PDF

A Study on the Quality Evaluation Model for Cyber Education Supporting System (가상학습 지원시스템의 품질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 강호영;박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32-436
    • /
    • 2000
  • 가상학습은 지식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국내외으로 새로운 교육훈련 패러다임으로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얼린 학습공간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국내외 각종 정규·사회 교육기관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학습 교육훈련을 전극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상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코스웨어 개발이냐 학습평가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가상학습 지원시스템의 품질평가 모델을 제시하여 교육 현장에서 가상학습 지원시스템 구축 시 품질평가 기준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Virtual Training Platform for City Gas Governor (도시가스 정압기 가상훈련 플랫폼 연구)

  • Lee, Jae Yong;Park, Chan-Cook;Yu, Chul 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1 no.1
    • /
    • pp.59-64
    • /
    • 2017
  • We implemented virtual reality training system for city gas virtual training platform using oculus $rift^{TM}$, gear $VR^{TM}$ and dome screen. And we carry out a survey targeting ordinary person using each device. The contents of survey are usability and reality about each training system and the goal of survey is a verification how to bring effectiveness using city gas governor safety training system. The survey method used each VR device for the ordinary person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ased on the survey it was to find out the dire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platform, could find out the possibility of a virtual training system.